(
서울=연합뉴스) 이상헌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27일 하루 연차휴가를 내고 관저에서 휴식 모드에 들어갔다. 넉 달 만의 휴가로서 말 그대로 쉬는 게 목적이라고 청와대가 밝혔지만 산적한 현안 탓에 정국 구상에 상당한 시간을 써야 할 것으로 보인다.
올해를 한 달여 남겨둔 현시점이 지나온 일들을 돌아보고 연내에 해결해야 할 사안을 정리하는 시간을 가지면서 취임 첫해를 매듭지는 적기로 판단한 셈이다.
당장 문 대통령 앞에 놓인 우선 과제는 다음 달 중순으로 잡힌 중국 국빈 방문이다.
10·31 합의에 이은 시진핑 국가주석, 리커창 총리와의 잇따른 회담으로 한중관계 정상화의 물꼬를 튼 문 대통령은 이번 방중을 관계 회복에 쐐기를 박는 다시없는 기회로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중국 서열 1·2위와의 담판으로 정치적 관계 복원은 물론 경제·문화적 교류 정상화의 큰 틀을 잡았다면 중국 한복판으로의 국빈방문을 통해 더욱 구체적인 사안들을 놓고 진지한 대화가 이뤄질 것이라는 게 청와대의 설명이다.
관심은 '봉인'하기로 했던 사드 이견을 이번 정상회담에서 시 주석이 제기할 것인지, 한다면 어느 수준이 될 것인지에 쏠려 있다.
한중 양국은 이미 10·31 합의에서 이 문제를 재론하지 않기로 했다는 게 청와대의 설명이었지만 이후 베트남·필리핀에서의 정상회동에서 시 주석과 리 총리가 거듭 이 문제를 제기했다. 지난 22일 중국에서 열린 한중외교장관 회담에서도 왕이 외교부장이 강경화 외교부 장관에게 사드의 적절한 처리를 촉구했다.
한중 간 사드 이견을 해소한 게 아니라 묻어두기로 한 만큼 입장 제기야 언제든지 있을 수 있지만, 정상회동에서 또다시 사드가 이슈화되는 되는 것은 국민에게 봉인이라기보다는 '현재진행형'이라는 인식을 심어주기에 충분하다.
문 대통령의 고민 지점이 바로 여기에 있다. 이번 방중에서 구체적인 경제적 성과 못지않게 사드 문제가 또다시 수면 위로 떠오를지를 눈여겨봐야 하는 까닭이다.
여의도 정가 상황도 관심사다. 적폐청산과 새로운 대한민국의 깃발을 들고 출범한 문재인 정부의 가시적인 성과물이 연말 예산국회 상황에 달려 있어서다.
특히 처리 시한이 닷새 앞으로 다가온 내년도 예산안의 최대 쟁점이 새 정부의 정체성과도 맞물린 공무원 증원 및 최저임금 지원 등 일자리 예산이라는 점에서 문 대통령으로서는 여간 신경이 쓰이는 대목이 아닐 수 없다. 문 대통령은 원만한 예산안 처리를 위해 대(對)국회 소통 강화 방안에 대해서도 고심할 것으로 보인다.
예산안과 더불어 그간 공들여 온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 신설을 위해 야당의 협조를 끌어내야 하는 과제도 간과할 수 없다. 제1야당인 자유한국당의 당론반대를 설득과 압박으로 정면돌파해야 하는 상황에 처한 것이다.
문 대통령 취임 첫해 내내 골머리를 앓게 했던 인선 작업을 마무리 짓는 것 역시 휴가 구상 목록에 들어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
지난 21일 홍종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을 임명하는 것으로 195일 만에 비로소 조각을 마무리했지만, 전병헌 전 수석의 하차로 공석이 된 청와대 정무수석과 감사원장에 대한 인선이 한창인 터라 문 대통령은 고심을 거듭하고 있다.
특히 청와대의 대야관계 컨트롤타워인 정무수석에 대한 인선이 하루속히 이뤄져야 연말 국회 현안을 비롯해 여야정 국정협의체에 대한 논의도 다시 본격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적임자 찾기에 골몰하고 있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