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함께 살자."

한국지엠(GM) 창원공장 비정규직 해고(대기발령) 사태와 관련해, 지역 노동·시민단체와 정당들이 '함께살자 경남대책위'를 구성했다.

경남대책위에는 민주노총 경남본부, 금속노조 경남지부, 금속노조 한국지엠창원비정규직지회, 정의당·노동당·민중당 경남도당, 경남진보연합, 경남여성단체연합, 경남여성회, 경남청년유니온 등이 참여하고 있다.

경남대책위는 22일 오전 경남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한국지엠 비정규직 구조조정 중단, 총고용 보장, 비정규직 철폐"를 촉구했다.

이들은 "한국지엠의 비정규직 해고 등은 글로벌 지엠의 전반적 구조조정 하에서 진행되고 있다"며 "글로벌 지엠은 한국공장에 물량을 축소하고 비정규직 인원을 줄이고 있는 것"이라 했다.

이어 "이후 정규직에 대한 고용불안도 발생할 수 있다. 지엠은 물량을 축소하고 인원을 줄이는 한편, 한국 정부로부터 지원을 받으려 한다"고 덧붙였다.

경남대책위는 "(지엠은) 최근 신차 투입을 빌미로 1조원 가량의 지원을 요구하기도 했다는 언론보도가 있었다"며 "이는 의도적으로 물량을 줄여 노동자를 해고하고, 정부 지원까지 받으려 한다는 의혹이 짙어지게 한다"고 밝혔다.

경남대책위는 "한국지엠에서 비정규직 해고사태를 시작으로 벌어지는 일들을 시민사회는 매우 우려했지만 지켜보았다"며 "그러나 한국지엠의 행태가 도를 넘어서고 있다. 이제는 시민사회가 나서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이 되었다"고 했다.

이들은 "한국지엠은 비정규직 해고를 중단하고 비정규직들의 노조할권리를 보장해야 한다. 원청의 갑질을 이제 중단해야 한다"며 "경남도, 정부가 대법원 판결도 무시하고 노조를 탄압하는 한국지엠의 작태에 나서서 해결할 것을 촉구한다"고 했다.

경남대책위에는 민주노총 경남본부, 금속노조 경남지부, 금속노조 한국지엠창원비정규직지회, 정의당·노동당·민중당 경남도당, 경남진보연합, 경남여성단체연합, 경남여성회, 경남청년유니온으로 구성된 '한국지엠 비정규직 해고 관련 함께살자 경남대책위'는 22일 경남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경남대책위에는 민주노총 경남본부, 금속노조 경남지부, 금속노조 한국지엠창원비정규직지회, 정의당·노동당·민중당 경남도당, 경남진보연합, 경남여성단체연합, 경남여성회, 경남청년유니온으로 구성된 '한국지엠 비정규직 해고 관련 함께살자 경남대책위'는 22일 경남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 윤성효

관련사진보기


김희근 한국지엠창원비정규직지회장은 "한국지엠이 계속해서 창원공장의 물량을 줄이고 있다. 비정규직부터 구조조정하려 하고, 작년에도 물량 축소를 이유로 비정규직들이 조금씩 회사를 나갔다"며 "우리는 작년 10월부터 (부분)파업을 시작했다. 물량 축소의 책임은 지엠자본에 있는 것이기에 책임을 져야 한다고 했지만 한국지엠은 우리의 요구를 무시하고 인소싱을 밀어붙였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에 정당한 노조 활동을 벌인 간부들한테 업무방해금지가처분 신청했다. 이미 한국지엠 창원공장은 두 번이나 대법원에서 불법파견 판정을 받았다. 우리는 정당한 파업을 하고 있지만 길거리로 쫓겨났다"며 "우리는 모든 비정규직의 총고용을 지켜내기 위해 함께 살자는 투쟁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지회장은 "정규직과 사무직에도 비용 절감을 위해 구조조정을 유도하고 있다. 이번 기회에 총고용을 내걸고 함께 살자고 외치며 대응하고자 한다"고 했다.

정문진 금속노조 경남지부 부지부장은 "시민사회진영이 함께 대응해 나갈 것이다. 함께 투쟁해서 승리로 이끌겠다"고 말했다.

여영국 정의당 경남도당 위원장은 "문재인 대통령은 신년 기자회견에서 노동이 존중되는 새로운 대한민국을 만들겠다고 했다. 민간시장의 노동자는 그런 말이 그림의 떡이다. 정부가 진정성이 있다면 대법원에서 두 번이나 불법파견이 난 것에 대해 먼저 해결해야 할 것"이라 말했다.

안혜린 노동당 경남도당 위원장은 "처음부터 잘못 끼워진 단추였다. 정규직이어야 하는데 비정규직을 채웠고, 두 번의 대법원 불법파견 판결인데도 해결되지 않았다. 정부가 조속히 해결해야 할 것"이라 말했다.

석영철 민중당 경남도당 위원장은 "글로벌 지엠이 철수에 대한 불안감을 악용하려는 측면도 있다. 민간의 고용 문제에 대해 정부와 경남도, 창원시가 적극 나서야 할 것"이라 말했다.

김지현 경남청년유니온 위원장은 "노사 상생이라고 하면서 왜 노동자만 참아야 하는지 의문이다. 기존 기업문화, 노사문화에 대한 회의감이 든다. 청년들은 질 좋은 노동 환경이 마련되기를 원한다. 대기업은 고용을 유발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라 했다.

한국지엠 창원공장은 지난해 비정규직이 맡아오던 일부 공정에 대해 정규직을 투입하는 '인소싱'을 단행했고, 8개 하청업체 가운데 일부는 계약해지 했다.

금속노조 한국지엠창원비정규직지회는 지난해 10월부터 부분파업을 벌였다. 한국지엠 창원공장은 비정규직지회 간부 8명에 대해 업무방해금지가처분신청을 해 법원에서 최근 인용되었고, 조합원 38명에 대해서도 출입금지가처분신청했다.

창원고용노동지청은 지난해 말부터 1월 19일까지 한국지엠 창원공장에 대해 '근로감독'을 실시했다. 현재 한국지엠 창원공장 비정규직 46명이 대기발령된 상태다.


태그:#한국지엠, #비정규직
댓글2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부산경남 취재를 맡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