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지난 7일 중앙환경운동연합 활동가들(신재은, 안숙희, 박종학, 이용기)과 함께 금강을 찾았다. 세종보 상류를 먼저 답사하기로 했다. 높이 4m의 세종보는 수문을 완전 개방 해 누워 있었다. 그 사이로 빠르게 흘러가는 강물에 힘이 느껴진다. 소용돌이치며 물거품을 일으키며 흘러가는 강은 이제 진짜 강이 되어가고 있었다.

금강은 우리가 알지 못하는 사이 스스로 모래를 이동시키고 있었다. 고등학교 수업시간에 배웠던 삼각주가 곳곳에 만들어진 강을 모습을 보았다. 삼각주뿐만 아니라 작은 모래섬과 모래톱들이 강의 풍경을 바꾸고 있었다. 금강은 지금 생명의 강으로 다시 바뀌고 있다. 모래톱과 하중도에는 생명의 흔적들이 또렷하게 남아 있었다.

지난해 11월 수문개방 이후 금강은 바닥이 드러나면서 큰 지천이 아닌 작은 소하천이 금강으로 유입되는 곳에는 작은 삼각주 형태의 지형이 만들어져 있었다. 모래가 쌓이면서 부채모양을 띄고 있는 곳이 눈으로 보이기 시작한 것이다. 지난 5년간 우리가 보지 못하는 사이에도 강은 작은 하천은 강에 모래를 나르고 있었던 것이다.

수문이 개방되자 볼 수 있는 작은 삼각주 지형 .
수문이 개방되자 볼 수 있는 작은 삼각주 지형. ⓒ 이경호

공주보 상류에 작은 지천에서 들어온 삼각주 지형 .
공주보 상류에 작은 지천에서 들어온 삼각주 지형. ⓒ 이경호

이렇게 만들어지 삼각주와 모래톱에는 생명들이 수를 놓고 있었다. 작은 발자국에서 큰 동물 발자국까지 다양한 생명들이 활동 했던 흔적을 만났다. 깃털을 손질하다 빠진 듯한 깃털도 여러 곳 에서 확인했다. 강가에 만들어진 모래들은 생명들이 찾아와 물을 찾고 휴식을 취하는 곳이 되고 있는 것이다.

모래톱에 새겨진 고라니 발자국 .
모래톱에 새겨진 고라니 발자국. ⓒ 이경호

작은 새들이 이동한 발자욱 .
작은 새들이 이동한 발자욱. ⓒ 이경호

최상위 포식자인 수달 발자국과 배설물도 확인했다. 고라니 발자국은 너무 많아서 헤아릴 수가 없을 정도다. 다양한 동물들의 서식처가 되어주는 모래톱은 동물들에게는 그리웠을 고향 같은 곳이다. 고향을 5년간 빼앗겼던 동물들이 이제 다시 고향을 즐기고 있는 것이다.

수달의 배설물 .
수달의 배설물. ⓒ 이경호

미호천과 금강이 만나는 곳에는 큰고니 2마리가 놀고 있었다. 9년 만에 찾아온 큰고니는 합강리를 기반으로 기력을 보충하고 북으로 갈 것이다.(관련 기사: 4대강사업 이후 자취 감춘 큰고니, 9년 만에 돌아와) 금강정비사업으로 망가졌던 합강리는 이제 큰고니가 돌아올 정도로 생명력을 회복하고 있는 중이다.

9년만에 합강리에 찾아온 큰고니 .
9년만에 합강리에 찾아온 큰고니. ⓒ 이경호

세종보 상류의 만들어진 양화양수장은 보강공사가 진행 중이었다. 세종보 수문개방으로 취수에 문제가 있을 수 있어 진행하는 공사이다. 세종호수공원에 물을 대고 있는 양화양수장 보강이 끝나면 세종보 수문을 닫을 이유는 없어진다. 완전한 개방이 될 준비가 끝나면 세종보 상류에 찾아온 생명들의 지속가능성은 더욱 커질 것으로 기대된다.

양화취수장 보강공사중인 모습 .
양화취수장 보강공사중인 모습. ⓒ 이경호

공주보는 높이 7m의 대형 댐이다. 이 중 4m를 개방하여 수위를 낮췄다. 수문개방이 이루어지면서 청벽에는 넓은 금빛 모래톱이 드러났다. 안내를 한 김종술 기자는 "서울살이를 하다 금강 금빛모래를 보고 공주에 자리 잡기로 결심했다"며 "다시 모래를 보게 되어 감격스럽다"고 전했다. 그는 "골재로도 공주의 모래가 전국 최고로 쳤었다"고 자랑을 늘어놓기도 했다.

청벽을 지나 곰나루에서 답사를 마무리했다. 과거에 모습에 비해 아직 부족한 것이 많은 것은 어쩔 수 없는 현실이다. 곳곳에 녹조류 사체들이 떠다니고 있고 붉은깔다구 유충도 공주보 수상공연장에서 확인했다. 5년간 물속에서 썩어가고 있던 펄들이 드러나면서 악취를 내기도 했다. 비가 오고 눈이 오면서 펄이 모래로 바뀌고 있으나, 그 시간이 얼마나 더 필요할지는 아무도 장담할 수 없다.

붉은깔따구 유충의 모습 .
붉은깔따구 유충의 모습. ⓒ 이경호

모래가 쌓인 곳에 떠오른 녹조사체 .
모래가 쌓인 곳에 떠오른 녹조사체. ⓒ 이경호

그렇지만 분병 금강은 바뀌고 있었다. 생명들이 살기 좋은 공간으로 변하고 있는 모습을 직접 만났다. 모래가 이동된 곳에 남겨진 생명들의 흔적들이 이를 증명해주고 있었다. 9년 만에 찾아온 큰고니가 입증하고 있다.

이런 생명들의 자리에 사람도 함께 있기를 희망해본다. 금강의 모래사장에서 모래놀이를 하고 천렵을 하는 날을 기다려본다. 현장에서 모래사장에 잠시 쉬다 보니 자연스럽게 모래 구덩이를 만들었다. 사람의 본능이 아닌가 한다. 모래톱은 사람이 자연과 접할 수 있는 통로가 되는 느낌을 주었다.

모래사장에 만든 구덩이 .
모래사장에 만든 구덩이. ⓒ 이경호

이번 금강답사에서는 갈 길이 멀지만 한 걸음 한 걸음 더 멈추지 말고 갈 것을 생명들이 말해주고 있는 듯한 모습을 확인했다. 우리가 이 생명들의 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할 때가 왔다.


#모래톱#수문개방#금강#현장답사#대전환경운동연합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날로 파괴되어지는 강산을 보며 눈물만 흘리고 계시지 않으신가요? 자연을 위한 활동이 필요하시면 연락주세요! 대전환경운동연합 회원이 되시면 함께 눈물을 흘리고 치유 받을 수 있습니다. 회원가입하기! https://online.mrm.or.kr/FZeRvcn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