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역사를 돌아보면 여러 유형의 제왕들이 있는데, 태조 이성계(재위 1392~1398)처럼 나라를 개국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했던 왕이 있는가 하면, 태종 이방원(재위 1400~1418)처럼 왕권 강화를 통해 위협의 싹을 잘라버리는 왕도 존재했다. 태조의 경우 장수로서의 능력은 출중했지만, 왕이 된 이후의 행적을 보면 그 능력이 살리지 못한 경우다.

반면 태종의 경우 왕으로서의 능력이 더 앞선 경우인데, 외척을 비롯한 공신 세력에 대한 숙청을 통해 왕권을 강화하고, 안정된 조선을 아들인 세종(재위 1418~1450)에게 물려줬다. 이러한 기반에서 세종 대에 조선은 비약적인 발전을 이룰 수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역사의 흐름은 신라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삼국통일과 나당전쟁의 승리를 통해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는 점에서 '창업'에 해당하는 문무왕에 비해 신문왕은 신라를 안정화시키고 번영을 이루었다는 점에서 '수성'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오늘은 왕권 강화를 통해 신라 중대의 안정을 이룬 신문왕의 시대를 대해 조명해보고자 한다.

저평가된 신문왕, 신라 중대 번영의 초석을 놓다

문무왕(재위 661~681) 대에 진행된 삼국통일과 나당전쟁의 승리는 신라에 있어 새로운 시대에 접어드는 기폭제가 되었다. 하지만 긴 전쟁의 후유증과 함께 외척과 공신 세력의 힘이 강했기에, 왕위에 오른 신문왕(재위 681~692)은 이러한 세력의 숙청을 통해 왕권을 강화하고자 했다.

신문왕릉 신문왕릉의 전경, 묘제 양식의 변화과정에 있어 무열왕릉과 성덕왕릉 사이에 해당한다.
신문왕릉신문왕릉의 전경, 묘제 양식의 변화과정에 있어 무열왕릉과 성덕왕릉 사이에 해당한다. ⓒ 김희태

681년 문무왕의 뒤를 이어 신문왕이 즉위하게 되는데, <삼국사기>는 즉위 원년에 김흠돌이 파진찬 흥원과 대아찬 진공과 함께 반란을 일으켰다고 기록하고 있다. 물론 이 반란은 실패하고 모두 죽음을 피하지 못했는데, 김흠돌은 신문왕의 장인이자 외척이라는 점에서 당시 반란의 성격을 읽을 수 있다. 이 여파로 인해 신문왕의 왕비는 쫓겨나게 되고, 왕권을 강화하겠다는 신문왕의 의중이 투영되었다고 볼 수 있다.

왕권을 강화하기 위한 신문왕은 귀족들의 힘을 제한하는 데 열심이었는데, 가장 대표적으로 '녹읍'의 폐지를 들 수 있다. 녹읍은 귀족들에게 지급된 토지의 수조권과 노동력을 징발할 수 있었기 때문에, 귀족들의 힘의 원천이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녹읍'을 폐지하고, '관료전'을 채택한 것은 귀족들의 힘을 약화시키기 위한 신문왕의 묘수였음을 알 수 있다. 반대로 신문왕은 '국학'을 세워 젊은 인재를 등용하고, 자신의 친위세력을 양성해 왕권을 강화했다. 

신문왕릉 다듬어진 호석과 지대석이 설치된 신문왕릉
신문왕릉다듬어진 호석과 지대석이 설치된 신문왕릉 ⓒ 김희태

한편 나당전쟁 시기에 필요에 의해 나라를 세워주었던 보덕국의 왕 안승을 서라벌로 불러들인 뒤 김씨 성과 함께 소판 벼슬을 내리며, 사실상 보덕국을 해체시키는 조치를 취했다. 이에 반발했던 보덕국의 장수 '대문'이 반란을 일으키자 신문왕은 고구려인들로 구성된 '황금서당'을 파견해 반란을 진압했다. 이를 통해 괴뢰국이던 보덕국은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된다.

이 밖에 전국을 9주 5소경으로 개편하고, 제도를 정비하는 등 신문왕의 시대는 신라 중대의 뼈대를 이룬 시기로 평가할 수 있다. 재미있는 점은 신문왕 때 수도를 서라벌에서 '달구벌(대구)'로 천도하는 계획을 세웠다는 점이다.

달성토성 대구 달성, 신문왕 때 천도가 성공했다면 대구는 신라의 수도로 남겨졌을지도 모른다.
달성토성대구 달성, 신문왕 때 천도가 성공했다면 대구는 신라의 수도로 남겨졌을지도 모른다. ⓒ 김희태

만약 천도에 성공했다면, 대구는 신라의 수도로 역사에 기록되었을지 모른다. 이 같은 천도 계획은 신라의 수도가 동남쪽에 치우쳐 있다는 점을 보완하고, 왕권을 강화하고자 했던 측면에서 추진한 것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귀족들의 반대로 결국 실행에 옮기지는 못했다.

신문왕릉이 효소왕릉으로 비정되는 이유?

<삼국사기>는 신문왕릉이 낭산의 동쪽이 있다고 했다. 낭산은 현 선덕여왕릉이 위치한 곳으로, 현 신문왕릉은 낭산의 남쪽에 해당하고 있기 때문에 신문왕릉이 아니라는 견해가 제기되었다. 지금은 작고한 고 이근직 교수를 비롯해 강인구, 김용성 박사 등의 연구자들은 공통적으로 현 신문왕릉을 효소왕릉으로 비정하고 있다.

망덕사지 망덕사지, 효소왕릉의 위치 비정에 있어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곳으로, 망덕사지의 동쪽 방향에 신문왕릉이 자리하고 있다.
망덕사지망덕사지, 효소왕릉의 위치 비정에 있어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곳으로, 망덕사지의 동쪽 방향에 신문왕릉이 자리하고 있다. ⓒ 김희태

이러한 비정의 중요한 근거는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기록된 효소왕의 장지 기록인데, 두 기록 모두에서 망덕사 동쪽에 효소왕릉이 있다고 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망덕사의 위치를 찾는다면 효소왕릉의 위치를 규명할 수가 있는 셈이다.

현재 망덕사지는 사천왕사지의 남쪽에 자리하고 있는데, 망덕사지의 동쪽에 해당하는 왕릉이 현 신문왕릉이다. 따라서 신문왕릉이 효소왕릉일 수 있다는 연구자들의 견해는 설득력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門'이 새겨진 지대석 신문왕릉의 지대석에 새겨진 ‘문(門)’, 지금은 이끼가 끼어 잘 구분이 되지 않는다.
'門'이 새겨진 지대석신문왕릉의 지대석에 새겨진 ‘문(門)’, 지금은 이끼가 끼어 잘 구분이 되지 않는다. ⓒ 김희태

묘제 양식에서도 신문왕릉은 무열왕릉에서 성덕왕릉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볼 수 있다. 이전의 선덕여왕릉이나 무열왕릉과 달리 신문왕릉인 인공적으로 다듬은 호석과 지대석이 설치가 된 점이 특징이다. 또한 신문왕릉의 지대석 중 '문(門)'이 새겨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어떤 의미인지 명확하게 밝혀진 적은 없지만 석실분의 입구로 추정하는 견해가 있다.

보통 창업보다 수성이 더 어렵다고 이야기 하는데, 이러한 범주에서 보면 신문왕은 신라 중대의 안정을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고, 그 역할을 완벽하게 수행했다고 볼 수 있다. 신문왕의 이러한 공이 있었기에, 신라는 이후 혜공왕(재위 765~780)까지 이어지는 전성기를 누리게 된다.

덧붙이는 글 | 이 글은 본인의 저서 <이야기가 있는 역사여행 : 신라왕릉답사 편>의 내용을 토대로 새롭게 작성한 글입니다.



#이야기가 있는 역사여행#신라왕릉#신문왕릉#망덕사지#김희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