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청동기 시대를 공부할 때 나오는 검이 있다. 비파형동검과 세형동검인데, 청동기 시대 전기의 검이 비파형동검이라면 후기의 검은 세형동검이다. 세형(細形)은 말 그대로 '가는 모양'이란 말이다. 그러니까 세형동검은 비파형동검에 견주어 가는 동검을 말한다. 비파형동검은 그 생김새부터 참 특이하다. 도무지 검처럼 보이지 않는다. 그걸로 무얼 베거나 찌르기도 힘들 것 같다. 학자들은 이 검을 악기 비파를 닮았다고 해서 '비파형동검'이라 한다. 하지만 비파와 견주어 봐도 전혀 닮지 않았다. 더구나 당시 청동기인들은 이 검을 이렇게 일컫지 않았을 것이다.
'요령식동검'에서 '비파형동검'으로
비파형동검은 중국 동북 지역 랴오닝성(遼寧省)과 지린성(吉林省), 우리나라에서 나오고 있고 지금까지 한 60점 남짓 나왔다. 그런데 일제강점기 때에는 우리나라에서는 나오지 않고 주로 중국 랴오닝성에서 많이 나왔다. 그래서 일본 고고학자들은 '요령식(遼寧式)동검'이라 이름을 붙였다. 물론 지금도 이렇게 일컫는 사람들이 있다. 하지만 이렇게 일컬으면 이 동검이 마치 중국의 청동 기술로 만든 검 같은 느낌을 준다. 더구나 청동기 시대 랴오닝 지방은 고조선 땅이었다. 그러니까 우리나라 청동기 유물이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요즘은 주로 '비파형동검'이라 하고 있다.
제사장의 권위와 힘을 상징하는 검
비파형동검은 중국식 동검과 달리 칼 손잡이가 달려 있지 않다. 칼 손잡이를 청동이나 나무로 따로 만들어 슴베(손잡이를 연결하는 부분)에 조립한다. 그런데 슴베 길이가 고작 2~3센티미터밖에 안 된다. 이렇게 작은 슴베에 칼 손잡이를 제아무리 잘 만들어 조립한다 해도 무기가 될 수는 없다. 또 칼날 모양도 전쟁터에서 적을 찌르거나 벨 수 없게 되어 있고, 전체 길이 또한 30~40센티미터밖에 되지 않아 전쟁 무기로 쓰기에는 힘들다. 이로 미루어 짐작해 보건대 우리나라 비파형동검은 무기로 썼다기보다는 제사장(군장 또는 권력자)의 막강한 힘을 내보이는 상징물이 아니었을까 싶다. 세형동검 또한 조립식 검이고 슴베와 칼날 길이도 비파형동검과 비슷해 무기로써의 기능보다는 제사장의 권위와 힘을 상징하는 검이었거나 종교 의식을 치를 때 쓴 검으로 보는 게 맞을 것이다.
깃털동검, 물방울동검, 불꽃동검, 새싹동검
초등학생들에게 비파형동검 사진을 보여주고, 만약 자신이 역사학자라면 이 동검 이름을 무엇으로 짓고 싶은지 써 보라 했다. 김민서(광주 일곡초등학교 3학년) 어린이는 이렇게 답했다.
"내가 역사학자라면 '깃털동검'이라 이름을 지을 것이다. 이유는, 청동기 시대 사람들은 새를 '신의 사자'라 생각했다고 한다. 그러니 새의 깃털 모양을 본떠 이 동검을 만들지 않았을까, 나는 생각한다."
민서의 의견은 일리가 있다. 청동기 시대 유물에는 새 문양이 많고, 그것은 이 유물의 주인이 신의 대리인이라는 것을 뜻한다. 더구나 세형동검 슴베 바로 위에 새 문양이 새겨져 있다.
또 한 어린이는 '물방울동검'이라 했다. 물방울처럼 보이지 않는다고 하니, 하늘에서 떨어지는 빗방울을 느린 화면으로 보면 이렇게 보인다고 한다. 맨눈으로는 볼 수 없다고 하니, 청동기인 가운데 눈이 아주 밝은 사람도 있을 것 아니냐고 한다. 이 어린이 주장도 일리가 있다. 아마 당시 눈이 아주 밝은 청동기인은 빗방울이 떨어지는 모양도 볼 수 있었을 것이다. 나는 비파형동검보다는 '불꽃동검'이나 '새싹동검'이라 하면 좋겠다고 했다. 깃털동검, 물방울동검, 불꽃동검, 새싹동검은 비파형동검보다 훨씬 더 많은 이야기를 품고 있다. 또 당시 청동기인의 마음에 더 가까이 가 있는 이름이 아닐까 싶다.
덧붙이는 글 | 이 글은 광주드림에도 보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