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공주보 상류 작은 모래톱에 왜가리, 백로, 오리들이 옹기종기 모여 있다.
 공주보 상류 작은 모래톱에 왜가리, 백로, 오리들이 옹기종기 모여 있다.
ⓒ 김종술

관련사진보기


백제보 상류부터 하류까지 온통 강물은 녹조로 물들었다.
 백제보 상류부터 하류까지 온통 강물은 녹조로 물들었다.
ⓒ 김종술

관련사진보기


4대강 수문이 열린 곳과 닫힌 곳의 차이는 '극과 극'이다.

금강은 4대강 사업으로 세종보, 공주보, 백제보 등 3개 보가 만들어졌다. 이 중 하류 백제보를 제외한 두 개 보의 수문이 전면 개방 중이다.

30일 찾아간 공주보 상류는 평화로워 보였다. 수문 개방으로 드러난 작은 모래톱에 왜가리, 백로, 오리 등이 옹기종기 모여서 휴식을 취하고 물고기 사냥을 하면서 살아가는 낙원처럼 보였다.

반면 백제보 하류는 여전히 녹조가 창궐하고 있다. 녹색 페인트를 풀어 놓은 듯 녹색으로 물든 강물은 죽음의 모습만 보였다. 악취가 진동하는 강물엔 죽은 물고기가 둥둥 떠다니고 썩고 있다. 바람에 밀려든 녹조는 엉겨 붙은 모습이다.

수질은 물론 수생태계 변화까지 수문이 열린 곳과 닫힌 곳의 차이는 확연하다. 그런데도 하류 백제보의 수문 개방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이유는 있다. 환경부는 농민 반대에 부딪혀 개방하지 못한다고 한다.

그러나 농민들의 생각은 다르다. 백제보 인근 시설재배 농민은 "우리도 무작정 수문 개방만 반대하지는 않는다. 다만 지난해 개방으로 인한 피해보상과 수문 개방으로 인해 떨어질 지하수위를 고려해서 대형 관정 등 대안을 제시해 달라는 것이다"라고 주장했다.
공주보 상류 작은 모래톱에 왜가리, 백로, 오리들이 옹기종기 모여 있다.
 공주보 상류 작은 모래톱에 왜가리, 백로, 오리들이 옹기종기 모여 있다.
ⓒ 김종술

관련사진보기


백제보 상류부터 하류까지 온통 강물은 녹조로 물들었다.
 백제보 상류부터 하류까지 온통 강물은 녹조로 물들었다.
ⓒ 김종술

관련사진보기


양준혁 대전충남녹색연합 간사는 "현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환경부 산하 금강유역환경청 담당자와 통화했다. 지난해 11월 개방으로 인해 발생한 피해 농가와 피해 규모, 피해 금액 등을 물어봤는데, 전혀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는 얘기를 들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8개월이 넘는 기간 동안 환경부가 무슨 일을 했는지, 알 수가 없다. 수문 개방을 하려는 의도가 있는지조차 의심스러웠다. '이명박근혜' 정권을 넘어오면서 4대강 부역자 관피아들의 저항만 굳건해진 듯 보였다. 수문 개방을 농민들에게 떠넘기고 시간만 끌려는 의도가 엿보였다"고 지적했다.
백제보 상류부터 하류까지 온통 강물은 녹조로 물들었다.
 백제보 상류부터 하류까지 온통 강물은 녹조로 물들었다.
ⓒ 김종술

관련사진보기


한편, 백제보 인근 시설재배 농가들은 30일 부여군청 앞에서 집회를 열고 정부의 성의 있는 대화를 요구했다. 수문 개방으로 지하수위가 떨어질 것이 뻔한 상황에서도 4대강 수문개방을 못하는 것을 농민들에게만 떠넘기고 있다고 비난했다.


태그:#4대강 사업, #수문개방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