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조선일보 1980년 8월 23일자 3면에는 어떤 기사가 실렸을까
조선일보 1980년 8월 23일자 3면에는 어떤 기사가 실렸을까 ⓒ 오마이뉴스/freeimages

지금은 <조선일보>가 한국 최대 신문사이지만, 이는 1980년대 이후의 이야기다. 1970년대만 해도 이 정도는 아니었다고 한다.

지난 9월 26일 자유언론실천재단과 새언론포럼이 서울 정동 프란치스코교육회관에서 개최한 '조선·동아 100년 어떻게 볼 것인가' 강연회에서 한홍구 성공회대 교수는 "1970년대 이전 <동아일보>는 1등 신문이었다"면서 "<조선일보>는 2등 없는 3등에 불과했다"고 말했다. 1등 <동아일보>와 2등 <조선일보>의 격차가 그만큼 컸었다는 것이다.

그랬던 <조선일보>가 <동아일보>를 제치고 1등으로 올라선 것은 1980년 이후라고 한 교수는 말했다. <조선일보>가 <동아일보>를 따라잡게 된 것은 그해 나온 <조선일보>의 어느 기사 때문이라는 게 그의 설명이다.

그 기사는 1980년 8월 23일자 3면에 실렸다. 그런데 <조선일보> 홈페이지에서는 그 기사가 검색되지 않는다. <조선일보>는 과거의 모든 기사를 날짜별·지면별로 검색 가능하게 만들어놓았다. 그렇지만, 그날의 3면 기사는 찾을 수 없다.

<조선일보> 1980년 8월 23일자 3면에는...   

문제의 3면 기사는 '인간 전두환'이라 장문의 글이다. 단편소설이라고 해도 될 정도의 분량이다. 기사는 전두환의 성장 과정, 육사 시절, 군 복무 시절에 더해 정권 장악 시점인 1979년과 1980년을 서술하면서 그의 인간 됨됨이와 리더십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기사의 첫 문장은 "여보 나 나갑니다"이다. 전두환이 아침마다 이순자한테 그렇게 인사하고 출근한다는 것이었다. "여느 남편들처럼 '다녀오겠다'는 여운이 깃든 말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면서 "짤막한 아침인사에서도 그의 사생관(死生觀)을 읽을 수 있을 것 같다"고 기사는 말했다.

기사는 전두환을 '사사로운 집안일에 신경쓰지 않고 나랏일만 걱정하는 지도자'로 그려내면서, 그가 1980년 5·18 광주항쟁을 전후한 시기에도 오로지 국민한테만 신경 썼음을 강조했다.

광주항쟁 직후인 그해 6월 1일, 중앙정보부장서리(직무대행)이던 전두환은 중앙정보부 직원들을 대대적으로 감축했다. 무려 300명이 넘는 인원을 '숙정' 형식으로 내보냈다. 이는 박정희를 죽인 김재규가 이끌었던 중앙정보부를 견제하는 한편, 전두환 자신이 이끌었던 또 다른 정보기관인 보안사의 위상을 높이기 위한 것이었다. 하지만, 기사는 중앙정보부 감축을 국민 신뢰를 얻기 위한 결단으로 평가하면서 이렇게 말했다.
 
"중앙정보부장 서리 때 기구 개편에 따른 감원 문제가 제기됐을 때도 그랬다. 지시한 개편 지침은 단 두 가지뿐이었다. '어떻게 해야 국민의 신뢰를 받는 정보부가 되며, 국가와 국민을 위한 정보부가 될 수 있느냐'였다."
 
중앙정보부 인력이 감축된 1980년 6월 1일 당시의 국내 최고 이슈는 이른바 '광주 사태'였다. <조선일보> 기사는 이 사실은 언급도 하지 않은 채 이 시기 전두환이 국민 신뢰를 염두에 두고 오로지 국민과 국가를 위해서만 권력기관 개혁을 추진했다고 서술했다.

이 대목에서 '인간 전두환'은 전두환의 리더십을 매우 높이 평가했다. "전 장군의 밑을 거쳐 간 부하 장교는 그의 통솔 방법을 3분의 1만 흉내내면 모범적 지휘관이란 평을 얻을 수 있다는 게 군 내의 통설"이라면서 전두환은 지방색과 파벌을 가리지 않는 리더라고 칭송했다. 전라도 광주에서 대학살을 자행한 그를 두고 '지방색'을 가리지 않는 지도자라고 평했던 것이다.
 
 1980년 8월 23일자 <조선일보> 검색 결과. 2면과 4면 사이가 비어 있다.
1980년 8월 23일자 <조선일보> 검색 결과. 2면과 4면 사이가 비어 있다. ⓒ 조선일보

기사는 전두환의 청렴과 검소도 극구 찬양했다. 이 부분을 읽다 보면, 전두환의 통장 잔액이 정말로 29만 원밖에 안 될 것 같은 느낌이 들지도 모른다.
 
"그에게서 높이 사야 할 점은 수도승에게서나 엿볼 수 있는 청렴과 극기의 자세인 듯하다. 지난날 권력 주위에 맴돌 수 있었던 사람치고 거의 대개가 부패에 물들었지만 그는 항상 예외였다.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 302의 2, 그의 자택에선 요즘 흔한 족자 한 폭, 값 나가는 골동품을 찾을 수 없고, 팔목에 차고 있는 투박한 미 특수부대용 시계도 월남 연대장 시절부터 애용하고 있는 싸구려다."
 
전두환의 살림살이를 수도승의 그것에 비유했다. 그가 대통령 재임 7년간 축적한 천문학적인 재산 규모를 자동으로 생각나게 하는 기사라고 아니 할 수 없다.

이처럼 청렴성을 강조한 뒤, 기사는 12·12 쿠데타를 벌인 전두환의 동기를 설명한다. '수도승' 표현까지 거론하며 청렴성을 그렇게 열심히 강조했던 것은 12·12쿠데타에 대한 부정적 시선을 불식시키기 위해서였던 것이다.

기사는 정승화 육군참모총장에게 맞서지 않고 그쪽에 줄을 서는 편이 전두환한테 유리했을 것이라고 말한다. 그것이 개인적 영달을 위한 길이었다고 말한다. "정승화 육참총장 쪽에 서면 개인 영달은 물론 위험 부담이 전혀 없다는 걸 그도 잘 알았으리라"고 말한다.

그런데도 굳이 쿠데타를 일으킨 것은 투철한 신념 때문이었다고 말한다. 10·26 사태(박정희 피살)와 관련해 정승화 총장도 의심을 받고 있었고 또 김재규를 '의사'로 추앙하려는 움직임이 있었기 때문에 전두환이 나서지 않을 수 없었다는 것이다.
 
"'설사 온 백성을 먹여 살릴 만한 공을 이루었다 할지라도 아비를 죽인 놈이 용인되고 국가원수를 시해한 자가 의사로 칭송되는 것이 민주화의 뿌리라면, 그 뿌리는 송두리째 뽑아내 화근을 없애야 한다'는 게 당시 그의 신념이었다는 게 한 측근의 귀띔이다."
 
전두환의 측근이 기자한테 그냥 말하지 않고 '귀띔'으로 말해줬다는 표현이 재미있다. 그런데 12·12의 당위성을 설명하는 이 대목에서, 이른바 '광주사태'를 의식한 표현이 또다시 튀어나왔다. '그런 식의 민주화라면 송두리째 뽑아내도 된다'는 게 그의 신념이었다고 소개하면서, 그 직전에 벌어졌던 광주 학살을 은근히 정당화하고 있는 것이다.

수도승에 비유하며 띄운 '인간 전두환'
 
 전두환씨가 지난 3월 11일 광주지법에서 열린 5.18민주화운동 관련 고 조비오 신부에 대한 사자명예훼손 혐의 재판에 참석한 뒤 시민들의 거센 항의를 받으며 법원을 떠나고 있다.
전두환씨가 지난 3월 11일 광주지법에서 열린 5.18민주화운동 관련 고 조비오 신부에 대한 사자명예훼손 혐의 재판에 참석한 뒤 시민들의 거센 항의를 받으며 법원을 떠나고 있다. ⓒ 공동취재사진

이렇게, 전두환을 국민과 국가만을 염려하고 리더십이 출중할 뿐 아니라 청렴하고 깨끗하기까지 한 지도자로 이미지 메이킹 한 뒤, 기사는 결론 부분에서 작금의 위기 상황에서 꼭 필요한 인물은 전두환 장군이라고 역설한다.
 
"전 장군을 두고 요새 군 내에선 위기에 강한 사람이라고 일컫고 있다. 대소의 위기 때마다 아무도 앞장을 서려 하지 않을 때, 그만은 자신의 도덕관에 비추어 옳다고만 판단되면 위험 여부를 가리지 않고 앞장서서 난관을 극복해왔기 때문이리라."
 
이 정도 내용이면, 오늘날의 <조선일보> 사람들도 홈페이지에서 지우려 할 만했을 것이다. 누가 봐도, '용비어천가' 아니 '전비어천가'급 기사이기 때문이다. 보수적 유권자들조차도 전두환을 싫어하는 요즘 같은 때, 1980년 8월 23일자 3면을 그대로 두기가 무척 민망했을지 모른다.

사실 위 기사는 용비어천가의 민망함을 능가하고도 남는다. 조선 건국이 천명에 따른 것임을 선전하면서 태조 이성계의 4대조와 이성계·이방원 부자를 '승천하는 육룡'으로 묘사한 용비어천가는 육룡의 마지막인 태종 이방원이 죽고 23년 뒤인 1445년부터 제작되기 시작했다.

그에 비해 1980년 8월 23일자 기사를 포함해 당시 <조선일보>가 제작한 '전비어천가'들은 전두환이 대통령이 되기 전부터 발표됐다. 전두환이 체육관 선거로 당선된 날은 그해 8월 27일이고, 정식 취임한 날은 9월 1일이다. 전두환이 대통령 되기 전부터 <조선일보>가 요란을 떨었던 것이다. 실제 용비어천가 제작 과정과 대비되는 대목이다.

<조선일보>가 기사를 지운 것은 그것이 시대 상황에 맞지 않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그들도 그 기사를 대하기가 무척 민망했을 수 있다.

그런데 그 기사는 조회 건수가 낮은 기사가 아니었다. 당시 여론에 큰 영향을 미친 주요 기사였다. 전두환 정권의 탄생에 도움을 준 전비어천가 급 기사들의 대표 격이었다. 그런 대표적 기사가 오늘날 상황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면, 한번쯤 공개 사과한 뒤 지웠어야 마땅하다. 구렁이 담 넘어가듯이 몰래 삭제할 기사가 아닌 것이다.

잘못을 솔직히 인정하는 것은 아무나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떳떳하고 용감한 사람이 할 수 있는 일이다. <조선일보>가 기사를 몰래 삭제한 것은 그들이 국민과 시대 앞에 떳떳하지 못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럴 만한 능력과 도덕성이 없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들이 솔직하게 사과하고 공개적으로 삭제했기를 기대하기 힘든 이유다.

#전비어천가#용비어천가#조선일보#전두환#제5공화국
댓글58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16,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kimjongsung.com.시사와역사 출판사(sisahistory.com)대표,제15회 임종국상.유튜브 시사와역사 채널.저서:친일파의 재산,대논쟁 한국사,반일종족주의 무엇이 문제인가,조선상고사,나는 세종이다,역사추리 조선사,당쟁의 한국사,왜 미국은 북한을 이기지못하나,발해고(4권본),한국 중국 일본 그들의 교과서가 가르치지 않는 역사 등등.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