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병석 더불어민주당 의원 : "야당에서는 국무총리를 수행한 이후 2022년 대선에 출마하는 것 아니냐는 비판도 염두에 둔 것 같은데, 이 시점에서 대선은 어떻게 생각하나?"
박 의원의 질문에 대한 정세균 후보자의 대답은 "전혀 그런 생각 없다"였다. 7일 국무총리 후보자 인사청문회 오후 첫 질의에서 나온 질문과 답이었다.
지난 2012년 대선 경선에 참여한 경력이 있는 만큼, 총리 임기를 마치면 대권을 준비할 것이라는 세간의 추측에 답한 것이다. 박지원 대안신당 의원도 지난달 18일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앞으로 대선까지는 2년 반이 남아 이 총리처럼 총리를 잘한다면 지지도와 인지도를 높일 수 있으니 길은 살아 있다"며 "정 후보자는 총리가 되면 꾸준히 이를 계산하면서 더 잘할 것"이라고 해설한 바 있다.
"승자독식 끝내기 위한 협치내각... 거국내각 개념은 아니야"
정 후보자는 대권에 대한 답 대신 모두발언에서도 강조한 바 있는 '협치 내각'에 대한 구상을 재차 밝혔다.
정 후보자는 '거국 내각이나 연정을 뜻하는 것이냐'는 박 의원의 질문에 "거국 내각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거국 내각은 특정 정파에 귀속되지 않는 중립 내각을 뜻한다.
정 후보자는 구체적으로 "현재 과반 의석을 가진 정당이 없다. 21대 총선을 봐야 하겠지만, 지금처럼 안정적인 의석을 가진 정당이 없거나 설령 있다 해도 국회선진화법을 바꾸지 않으면 협치를 하지 않고서는 국정이 한 발짝도 나갈 수 없다"면서 "여당과 함께 국정을 책임지고 운영할 수 있는 정파와 함께 협치 내각을 구성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한 협치 내각에 대한 생각을 문재인 대통령에게 전한 사실도 함께 언급했다. 정 후보자는 "직접 (대통령에게) 말하지는 않았는데 간접적으로 그런 말을 할 수도 있다는 것은 전달했다"고 말했다. 정 후보자는 "우리가 가진 승자독식의 체제로는 대한민국이 나갈 수 없다"면서 "협치 하지 않는 상황에선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선두에 설 수 없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다만, 명시적 개념만 제시했을 뿐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았다. 인사청문위원장인 나경원 의원은 "(정 후보자의 답변이) 추상적이고 여야 정치권에만 책임을 넘긴다"고 꼬집기도 했다.
정 후보자는 "여야가 오순도순 타협, 대화해서 결론에 도달한다면 국민도 박수를 치고 편안해 할 것"이라면서 "더 이상 광화문과 서초동, 여의도에 나올 필요 없는 날을 빨리 만드는 것이 정치권의 책무다. 그런 점에서 (협치내각을) 의원들이 잘 판단해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협치 내각'은 사실 지난해 7월 청와대의 인사 관련 방침에서도 언급된 바 있다. 다만 정치적 구조 개념이 아닌, 인사 문제에 국한된 개념으로 논란만 불거진 뒤 사라진 바 있다. 당시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산적한 문제가 있고 문제 해결에 입법 절차가 반드시 필요하다"며 "입법 문제에 야당과 협치할 필요성을 느끼기에 야당에도 입각 기회를 준다는 취지다"라고 설명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