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경기도 평택 캠프 험프리스 모습.
 경기도 평택 캠프 험프리스 모습.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서울=연합뉴스) 정빛나 기자 = 미국 하원의원들이 한미 방위비분담금특별협정(SMA) 협상 과정에서 미국이 꺼낸 '주한미군 한국인 근로자 무급휴직 카드'와 관련, 창의적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내용의 서한을 미 국무 및 국방부 장관에게 보냈다.

12일 미국의소리(VOA) 방송에 따르면 아미 베라(민주) 미 하원외교위 동아시아태평양 소위원장과 테드 요호(공화) 하원 외교위 동아태 소위 간사는 11일(현지시간)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과 마크 에스퍼 국방장관에게 이런 견해를 밝혔다.

이들 의원은 한국과 같은 미국 동맹국들의 분담금 증액에 지지한다는 입장은 재확인했다.

다만 주한미군 한국인 근로자의 무급휴직 사태는 "역내 미군의 준비태세에 엄청난 타격을 줄 것"이라고 우려했다.

구체적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라는 공동의 내부 위협과 북한이라는 공동의 외부 위협에 직면한 중요한 시기에 미국은 이런 위협들에 대한 위험을 증가시키는 행동들에 대해 신중하게 생각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들 의원은 "SMA에 따른 한국인 근로자의 임금이 다른 수단들을 통해 지급되도록 하는 창의적인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타결될 때까지 현행 SMA를 한국인 근로자 임금만 연장하는 것도 포함된다"고 밝혔다.

앞서 미국은 방위비 협상이 타결되지 못하면 4월 1일부터 잠정적 무급휴직이 시행될 수 있다고 통보한 바 있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태그:#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바른 언론 빠른 뉴스' 국내외 취재망을 통해 신속 정확한 기사를 제공하는 국가기간뉴스통신사입니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