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대전광역시 교육청(자료사진).
 대전광역시 교육청(자료사진).
ⓒ 장재완

관련사진보기

 
학생들의 코로나19 감염이 늘어남에 따라 교원단체가 대전교육청 내에 '코로나19 대응전담팀'을 조속히 구성해야 한다고 촉구하고 나섰다.

전교조대전지부는 27일 성명을 통해 "대전교육청은 하루빨리 '코로나19 대응전담팀'을 꾸려 체계적인 위기관리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지난 15일 광복절 이후 대전지역에서는 9명의 초·중·고 학생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 각 학교마다 여름방학을 마치고, 부분적 등교수업을 진행하고 있는 상황에서 학생들의 확진 판정은 학생과 학부모, 교원 등 모두를 불안하게 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대전교육청은 제대로 된 대책을 마련하지 못한 채 허둥지둥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어 불안감을 키우고 있다는 게 전교조대전지부의 지적이다.

전교조대전지부는 성명에서 "대전시교육청의 방역망에 큰 구멍이 뚫린 것으로 드러나, 하루빨리 '코로나-19 대응전담팀'을 꾸려 체계적인 위기관리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며 "학생들의 확진이 늘고 있어 모두가 불안에 떨고 있는데, 정작 방역의 사령실(control tower) 역할을 맡아야 할 교육청이 허둥지둥 갈피를 못 잡고 있어 불안감을 키우고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지난 23일 확진 판정을 받은 인터넷 언론 기자 A씨는 코로나 의심증상이 있는 상태에서 18일과 19일 이틀 동안 대전시교육청 기자실과 구내식당 등을 이용했지만, 1층 열화상감지 카메라는 무용지물이나 다름없었다"면서 "게다가 대전시교육청은, 해당 기자의 확진 사실이 알려진 24일 기자실은 폐쇄했으나 구내식당은 그대로 운영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대전교육청의 안일한 대처를 비판했다.

전교조대전지부는 또 "문제는 이러한 혼선과 허술한 대응이 한두 번이 아니라는 사실"이라며 "대전교육청은 지난 4월 '불량 마스크 전량회수' 사태를 일으켰고, 1학기 내내 등교 방식조차 독자적으로 결정하지 못해 원성을 샀다. 뭐든 물어보면 '교육부와 협의하고 있다'는 말만 되풀이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심지어 '코로나-19가 확연한 진정세를 보일 때까지는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이나 야간자율학습 운영을 전면 금지하라'는 우리의 요구에도 '학교의 자율성' 운운하며 '권고' 딱지를 떼지 못했다"면서 "심지어 지난 19일에는 처음으로 결단력을 발휘해 '9월 11일까지 모든 학교의 등교 인원을 전체 2/3로 유지하라'고 권고했으나, 22일 정부가 '사회적 거리 두기 2단계 조치를 23일부터 전국으로 확대한다'고 발표함으로써 '늑대소년'이 되고 말았다"고 비판했다.

정부의 발표로 인해 대전교육청의 '모든 학교 2/3 등교' 지침이 단 며칠 만에 '유·초·중 1/3, 고등 2/3'로 바뀌게 된 것.

전교조대전지부는 "대전시교육청이 이렇게 늘 '뒷북'만 치는 가장 큰 이유는 코로나19 전담부서나 인력이 없기 때문"이라면서 "그동안 코로나-19 감염병 대응 관련 업무는 사실상 체육예술건강과장과 담당 사무관 등 2~3명이 교육부 공문에 근거해 '받아쓰기' 또는 '임시변통'을 되풀이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고 비판했다.

전교조대전지부는 끝으로 "경기도교육청의 경우, 지난 7월 23일부터 내년 6월 30일까지 코로나19 대응 정규 전담팀을 새롭게 구성해 운영을 시작했다"며 "대전시교육청도 신속하고 정확한 상황 파악, 체계적인 감염병 대응 및 위기관리를 위해 임시가 아닌 정규 대응팀을 즉각 구성하라"고 촉구했다.

태그:#코로나19, #대전교육청, #전교조대전지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향나무는 자기를 찍는 도끼에게 향을 묻혀 준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