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코로나 때문에 강의가 인터넷 줌(zoom)으로 실시된다고 했다.
코로나 때문에 강의가 인터넷 줌(zoom)으로 실시된다고 했다. ⓒ pixabay

몇 달 전 라디오에 출연해 내가 쓴 책 <다락방 미술관>에 관해 이야기를 나눈 이후 나는 여러 곳에서 강연 요청을 받았다. 첫 무대가 교육청이다 보니 자꾸 교육청에서 강의가 들어와 연구사님들 상대로도 강연했고 신규 교감 선생님 백여 분 앞에서도 강연했다.

처음엔 조금 떨렸는데 역시 나는 무대 체질(?)인지 할수록 재미가 있었다. 반응도 예상보다 뜨거워서 강의가 끝나면 내 연락처를 받으러 사람들이 줄을 섰다. 이 사실을 들은 내 친구는 다음날 바로 내 명함을 파왔다. 이러다 나 스타 강사 되는 것 아닌가, 혼자 질소가 잔뜩 든 과자 봉지처럼 부풀어 있는데, 시련이 닥쳤다.

코로나 때문에 강의가 구글 줌(zoom)으로 실시된다는 통보였다. 줌이 뭐야? 나는 메일을 보며 중얼거렸다. 옆에 있던 아들이 실시간 인터넷 강의라고 알려준다. 강의 시간이 세 시간인데 그럼 세 시간을 혼자 화면을 보며 떠들어야 한단 말이지? 그나저나 그건 어떻게 하는 건데? 아들은 줌을 깔아주며 사용법을 알려줬다. 대학생인 아들은 이미 온라인으로 수업을 받고 있었기에 잘 알고 있었다.

"ppt는 이렇게 띄우고, 동영상은 이렇게 띄워. 강의 시작할 때는 상대에게 음소거하라고 말해. 질문할 때는 음소거를 다시 누르고 질문하라고 말하고…"

정신이 혼미할 지경인데 뭐라 뭐라 설명하면서 순식간에 하는 말, "쉽지?" 난 하나도 못 알아들었는데 "쉽지?" 라니. 반복되는 나의 질문에 아들은 슬슬 지쳤는지 대충 알려주기 시작했다. 이놈의 자식, 엄마가 그동안 얼마나 잘 해줬는데. 속으로 서운해도 아쉬운 건 나. 지갑을 들고 와 용돈을 투척했다. 그제야 차분히 자세히 알려준다. 모자지간에도 어쩔 수 없이 파고든 엄혹한 자본주의.

사용법은 알았지만, 수업을 한번 해봐야 알겠는데 도대체 누구한테 해보지? 고민하는데 학원 강사로 일하는 친한 동생한테 톡이 왔다. "언니, 나 다음 주부터 줌으로 수업해야 하는데 언니 줌 알아요?" 나는 답을 보냈다. "암, 알고말고."

세 시간도 긴데 네 시간 반 분량을 하라고?

밤 열 시에 줌으로 접속해서 방을 만들고 동생을 초대했다. 아이디를 알려주고 암호를 보냈건만 나보다 더 컴퓨터 무식자인 동생은 못 들어왔다. 그렇게 개미지옥에 걸린 듯 빙글빙글 헤매다 자정이 다 돼서야 우린 서로 화면으로 얼굴을 마주했다. 둘 다 지쳐서 얼굴이 노랬다.

막상 얼굴을 보니 두 컴퓨터 무식쟁이가 이렇게 화상으로 만나니 어찌나 대견하고 웃기던지 우린 눈물이 나게 웃었다. 서로 번갈아가며 ppt도 띄워보고 연습 삼아 강의도 대충 해보았다. 21세기가 이런 거였구나. 우린 세상 참 좋아졌다고 호들갑을 떨며 시계를 보니 새벽이 다가오고 있었다.

다음 날 줌으로 수업을 해봤다는 친구랑 통화를 하는데 줌으로 수업하면 대면으로 할 때보다 강의 내용을 1.5배는 더 준비해야 한다고 했다. 농담도 못 하니 서로 웃으면서 보내는 시간이 없음은 물론, 혼자 강의하다 보면 말이 빨라져서 진도가 금방 나간다고 했다. 헐, 그럼 네 시간 반 분량을 준비해야 한단 말이지? 세 시간도 긴데 네 시간 반 분량이라니.

놀라 분열된 마음을 가라앉히고 준비한 화가와 어울리는 음악가를 엮어서 강의 내용을 수정했다. 무작정 많은 화가를 소개하는 것보다 음악과 섞으면 더 좋을 것 같았다. 미술책도 썼고 클래식 기사를 일 년 넘게 연재했던 터라 가능한 일이었다. 김환기 화백과 쇼팽, 프리다 칼로와 클라라 하스킬의 생애를 교차해서 강의를 준비했다. 만들고 보니 ppt만 백 오십 장이 넘는 대작이 되었다.
 
 나는 교육청에 직접 가서 빈 강의실에서 혼자 강의하고 대상자들은 집에서 듣는 형식이었다.
나는 교육청에 직접 가서 빈 강의실에서 혼자 강의하고 대상자들은 집에서 듣는 형식이었다. ⓒ pixabay

그런데 이번에 내가 강의하는 대상자는 지방 교육청 신규 장학사들이었다. 신규 장학사 연수 프로그램 중 하나로 내가 초청되었는데, 나는 교육청에 직접 가서 빈 강의실에서 혼자 강의하고 대상자들은 집에서 듣는 형식이었다. 옆 강의실에는 혹시라도 모를 사고(?)를 대비해 숙련가가 대기, 화면을 모니터하고 있었다. 강의가 시작되었다. 어색한 오 분이 지나자, 줌 사용이 손에 익어 드디어 '뻘 줌(줌 사용법을 잘 모르는 사람을 부르는 신조어)'에서 벗어나 몰입되었다.

강의 내용에 울컥하는 문구가 많았는데, 내가 울컥할 것 같은 문장은 대신 읽어달라고 부탁을 드렸다. 그런데 그분들이 대신 읽어주는 문구를 듣다가 난 또 눈물을 흘리고. 내가 우니 몇 분이 따라 우셨고 우는 그분들을 보고 나도 또 따라 울고, 또다시 시작된 다람쥐 지옥.

비까지 오고 온라인이 눈물바다가 되었다. 강의가 끝날 무렵이 돼서야 정신을 차린 나는 망했구나,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막상 준비한 강의의 반밖에 못 했음을 알았다. 한숨이 절로 나왔지만, 애써 생각했다. 예술이 별건가. 우리가 이렇게 공감하고 눈물을 흘릴 수 있으면 그게 예술이지.

KTX를 타고 집으로 돌아오는데, 문득 사는 게 연극 같았다. 낯선 사람들 앞에서 연기하다가 이제 무대 위에서 내려와 집으로 가는 연기를 하는 것 같았다. 돌아보니 나는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주는 광대인 것도 같았고 사람들을 괴롭게 만드는 악당인 것도 같았다.

타인의 삶을 소개하면서 문득 내 삶을 돌아본 건지, 단지 울고 나면 그 순간엔 사람이 조금은 착해지는 것인지, 선한 영향을 주는 사람이 되고 싶다는 강렬한 생각이 들었다. 제발 그러라고 나에게 하는 다짐이기도 했다.

세상이 빠르게 변해도, 결코 변치 않는 것 

집에 도착해 자려고 누웠는데 친구 작가한테 톡이 왔다. "나 줌으로 글쓰기 수업하는데 줌 해 봤어?" "그럼, 나 줌 전문가야." 진짜 세상이 난리구나! 생각하며, 벌떡 일어나 노트북을 켰다. 또 두 시간이 흐르고 마침내 헤매던 친구가 화면에 나타났을 때 난 깜짝 놀라고 말았다.

내 화면 전체에 친구의 이마가 꽉 차 있었다. 긴장한 친구가 노트북 앞에 너무 바짝 앉아 있었기에 나는 뜻하지 않게 그녀 이마의 모공까지 다 보게 되었다. 나는 노트북과 약간의 거리를 둘 것을 1차로 당부했다.

친구는 나에게 첫 줌 강의가 어땠냐고 물었다. 난 프로라면 내 감정은 조절하면서 상대에게 감동을 줘야 마땅한데 내가 먼저 울어버리는 아마추어 짓을 하고 말았다고 고백하며, 시작한 지 얼마 안 된 내 강의 인생의 종지부를 찍은 것 같다고 말했다. 친구가 웃느라 고개를 숙이는 바람에 이번엔 정수리 모공이 다 보였다. 쩝, 한밤중에 안구 테러.

친구는 안 봐도 왠지 그랬을 거 같다고 자꾸 웃었다. 이왕 선한 영향을 주는 사람이 되기로 마음먹었으니 나머지 조작법도 꼼꼼히 알려주고 작별 인사를 하니 또 새벽이 오고 있었다. 그런데 줌을 끄고 보니 메일이 와 있다.

"작가님, 잘 도착하셨는지요. 오늘 강의 너무 감동적이었고요, 장학사님들의 열렬한 요구로 한 번 더 모시고 준비하신 2부 강의를 듣고 싶습니다."

코로나로 세상이 빠르게 변하지만, 변치 않는 사실은 인생은 이렇듯 항상 내 예상과 반대로 흐른다는 것이다.

덧붙이는 글 | 이 글은 개인 브런치에도 실립니다.


#온라인도 감정이 통한다#줌을 못하면 뻘줌해져요.#코로나가 앞당긴 세상
댓글5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4,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