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연합뉴스) 백나리 특파원 = 북한이 2017년 첫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 화성-14를 발사했을 때 미국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위치한 장소까지의 거리를 계산해 그 거리만큼 동해로 대응사격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13일(현지시간) 연합뉴스가 입수한 '워터게이트' 특종기자 밥 우드워드의 신간 '격노'의 일부 내용을 보면 북한이 한국시간으로 2017년 7월 4일 화성-14를 발사하자 당시 제임스 매티스 국방장관의 승인에 따라 빈센트 브룩스 당시 주한미군사령관이 미군 전술미사일 발사를 명령했다.
미사일은 동해상으로 186마일(299.33㎞)을 날아갔다. 우드워드는 "미국의 미사일 발사 지점과 북한의 미사일 시험발사 장소, 위성사진상 김정은이 미사일 발사를 지켜보는 텐트와 정확히 같은 거리였다"고 적었다.
이어 "의미는 분명했다. 김정은은 개인적 안전을 걱정해야 한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북한이 이를 알아챘는지에 대한 정보는 확보되지 않았다고 우드워드는 덧붙였다.
화성-14 시험발사 다음날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의 탄도미사일 도발에 대응해 한미 미사일 부대가 동해안에서 연합 탄도미사일 사격을 실시했다며 유사시 적 지도부를 정밀 타격할 수 있는 능력을 과시했다고 밝힌 바 있다.
당시 주한미군 전술지대지 미사일 에이태킴스가 동원됐는데 에이태킴스 1발에는 자탄 300여 개가 들어 있어 축구장 3∼4개 넓이를 초토화할 수 있다.
우드워드는 북미 간 긴장이 한껏 고조되던 2017년 말 당시 성당을 찾아 기도까지 했다는 매티스 장관의 고뇌를 상세히 풀어놓으면서 "매티스는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에 선제타격을 할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았지만 그런 전쟁에 대한 계획은 마련돼 있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미국 네브래스카주 전략사령부가 북한의 정권교체를 위한 작전계획 5027을 주의 깊게 연구·검토했다면서 이는 공격이 있을 때의 미국의 대응에 대한 것으로 핵무기 80개의 사용 가능성이 포함된다고 부연했다.
또 지도부 타격을 위한 '작전계획 5015'도 업데이트됐다고 우드워드는 전했다.
작계 5027은 한반도 유사시를 대비한 한미 연합작전계획이다. 5015는 5027을 대체하는 것으로 지도부 타격 등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매티스 장관은 2017년 8월 29일 북한이 중장거리탄도미사일 화성-12를 발사했을 때 좀 더 공격적 대응수단을 찾아보기 시작했고 북한에 메시지를 보내기 위해 북한의 항구 하나를 실제로 폭격해야 하는지 고민하기도 했다고 우드워드는 전했다.
당시 매티스 장관은 핵무기 사용과 관련해 승인할 수 있는 권한은 오로지 대통령에게만 있었으나 그런 결정이 자신의 제안에 달린 것으로 생각했고 수백만 명의 목숨을 앗아갈 수도 있는 상황에서 어떻게 해야할 것인지 고민했다고 한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