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횡령 및 뇌물수수 혐의로 징역 17년형을 확정받은 이명박씨가 탄 차량이 2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검에서 동부구치소로 이동하고 있다.
횡령 및 뇌물수수 혐의로 징역 17년형을 확정받은 이명박씨가 탄 차량이 2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검에서 동부구치소로 이동하고 있다. ⓒ 공동취재사진

우리나라도 '법왜곡죄'를 도입해야 하지 않을까?

이명박 전 대통령의 이른바 다스와 BBK 사건이 마침내 13년 만에 단죄를 받았다. 그러나 당시 해당 의혹에 대해 무혐의 처분을 내렸던 특검팀은 아무런 반응도 없다. 법치란 그렇게 권한만 있고 책임은 없는 것이 아니다.

과연 우리 사회에서 '법의 정의'는 진실로 작동되고 있는 것인가? '법의 정의' 실현은 사회 정의를 실현하는 마지막 보루이다. 그러나 법률을 집행함으로써 공정한 법치주의의 실현을 솔선수범해야 할 당사자들이 "사리를 추구하여 법을 왜곡"한다면 우리 사회의 정의를 지탱하는 근거 자체가 사라지게 된다. 이러한 행위는 일반 범죄보다 범죄성이 훨씬 크다고 볼 수 있다.

양승태 전 대법원장을 비롯한 '사법 농단' 관련자들에게 예외 없이 모두 무죄 판결이 이어지고 있다. 그들에게 적용시켰던 이른바 '직권남용 혐의'란 사실상 이현령비현령(耳懸鈴鼻懸鈴), "코에 걸면 코거리, 귀에 걸면 귀거리"의 유명무실한 잣대일 뿐이다.

독일 형법 제339조는 "법관, 기타 공직자 또는 중재인이 법률 사건을 지휘하거나 재판함에 있어 당사자 일방을 유리하거나 법을 왜곡한 경우에는 1년 이상 5년 이하의 자유형에 처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른바 법왜곡죄다. 독일을 비롯하여 스페인, 노르웨이, 중국 등 적지 않은 국가에서 이러한 법왜곡죄를 규정하고 있다.

법왜곡죄가 있다면, 이명박 BBK 특검팀은 어떻게 될까?

법왜곡죄의 신설에 대하여 '법적 안정성'을 해칠 우려가 있다는 우리 사회 일각의 반론이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그것이 '법적 독점' 혹은 '농단'의 상황 하에서 이뤄지는 그런 '법적 안정성'이라면 결코 바람직한 일이 아니다. 더구나 지금 정작 '법적 안정성'을 해치고 사법부 판결에 도전하는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는 적지 않은 경우 아이러니하게도 검찰과 법원이다. 이명박 사건이나 김학의 전 차관 사건은 검찰이 명백하게 '법적 불안정성'을 야기시킨 사건에 다름 아니다. 법원 역시 예를 들어, 양승태 전 대법원장 시기에 대법원 전원합의체에서 위헌 무효로 결정해놓고도 이후 대법원 소부나 하급심에서 정치권력의 입맛에 맞게 이를 뒤집어 "긴급조치는 고도의 통치행위로서 정부의 배상 책임이 없다"는 판결을 내림으로써 스스로 '법적 안정성'을 극적으로 동요시킨 바 있다.

만약 우리나라에 법왜곡죄가 있다면 '이명박 BBK 특검팀'은 어떻게 될까? 사실 법왜곡죄가 존재하고 있는 독일, 스페인, 노르웨이, 중국 등의 국가에서도 해당 조항이 실제 적용되는 사례는 매우 적기 때문에 '상징적인 의미'가 강조되고 있는 상황이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법왜곡죄의 존재는 법왜곡 행위의 방지에 대한 아무런 통제 장치가 존재하지 않는 현실에서 법 집행을 담당하는 관계자들로 하여금 법왜곡 행위를 하지 못하도록 작동되는 '상징적 법적 기제'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것이다. 그것만으로도 법왜곡죄는 이미 충분한 존재의 의미가 있다.

#법왜곡죄#검찰견제#BBK특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국제관계학 박사, 국회도서관 조사관으로 근무하였고, 그간 <오마이뉴스>와 <프레시안> 등 여러 매체에 글을 기고해왔다. <이상한 영어 사전>, <변이 국회의원의 탄생>, <논어>, <도덕경>, <광주백서>, <사마천 사기 56>등 여러 권의 책을 펴냈다. 시민이 만들어가는 민주주의 그리고 오늘의 심각한 기후위기에 관심을 많이 가지고 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