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후보가 28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열린 주한미상공회의소(AMCHAM) 간담회에 참석, 제임스 김 주한미상공회의소 회장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후보가 28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열린 주한미상공회의소(AMCHAM) 간담회에 참석, 제임스 김 주한미상공회의소 회장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 공동취재사진

관련사진보기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가 28일 "한국 국민, 특히 청년 대부분은 중국을 싫어한다"고 말했다.

윤 후보는 주한미상공회의소 간담회에서 '한국이 미·중 사이에서 어떤 입장이어야 하느냐'는 질문에 이처럼 답하며 "중국 사람들도 청년층의 대부분은 한국을 싫어한다"고 덧붙였다. 윤 후보는 "과거에는 그렇지 않았다"면서 "우리가 한미일의 튼튼한 공조를 가지고 그에 기반해 중국을 상대했을 때는 서로가 굉장히 호감을 갖고 사업이나 문화 협력 등에 좋은 결과를 나타내고 양쪽 국민 모두 호의적이었다"고 주장했다.

이어 윤 후보는 "(하지만) 이 정부 들어서서 중국 편향적인 정책을 펴고, 미중 간의 중간자 역할을 하겠다고 했으나 결국 관계가 나쁘게 끝났다"며 문재인 정부 외교정책을 두고 중국 편향적이라 비판했지만 구체적인 정책 내용은 언급하지 않았다.

이후 간담회를 마친 뒤 "편중 정책 때문에 반중 감정이 높아졌다는 뜻인가"라는 기자 질문에 "편중 정책 때문이라는 것이 아니라, (현 정부가) 중국을 우대하는 정책을 썼는데도 이런 결과가 나왔다는 것"이라면서 "국민 감정이 정부의 특정 정책 갖고 되는 문제가 아니라는 뜻"이라고 해명했다.

본인 주장과도, 국민의힘 주장과도 모순되는 윤석열의 해명

이러한 윤 후보의 해명은 본인의 주장과 모순된다. 윤 후보는 국민 감정이 정부의 특정 정책으로 좌지우지될 수 없다고 해명했지만 과거 한미일 공조에 기반해 중국을 상대했을 때는 국민 감정이 호의적이었다고 말했다. 편중 정책이든 한미일 공조 기반 정책이든 정부의 특정 정책임은 마찬가지다.

또한 특정 정책으로 국민 감정이 좌지우지될 수 없다면 문재인 정부의 편중 정책과 한미일 공조 기반 정책을 비교할 이유가 없다. 누가 봐도 문재인 정부의 외교정책 때문이라는 뉘앙스의 발언을 해놓고 아니라는 해명을 하는 것이다.
  
애초에 한미일 공조에 기반했을 때 양국의 관계가 호감을 갖고 좋은 결과를 나타냈는지도 의문이다. 아산정책연구원의 <한반도 사드 배치와 급변하는 한국인의 주변국 인식>에 따르면 문재인 정부가 들어서기 이전인 2017년 3월에 이미 중국이 기존의 일본을 제치고 한국인이 가장 싫어하는 나라 1위를 차지했다. 아산정책연구원은 이를 2016년 주한미군이 사드를 배치하자 중국이 한한령을 통한 경제보복을 실시한 데 따른 결과라 보았다.

한편 국민의힘 논평 역시 윤 후보의 해명과 정반대다.

국민의힘 중앙선대위 장영일 상근부대변인은 "문재인 정부의 대중 굴종 외교가 우리 국민의 반중 정서를 초래했다"는 제목의 논평에서 "문재인 정부의 당당하지 못한 대중 정책이 결국 한중 관계의 악화와 양국 국민들 특히 청년 세대들의 정서적 갈등 심화로 이어지고 있음을 지적한 것"이라며 "원인은 문 정부의 외교 실패에 있다"고 주장했다. 후보는 편중 정책때문이 아니라고 하고 당은 편중 정책때문이라는 촌극을 펼치고 있는 셈이다.

이처럼 윤 후보는 한국 국민들이 중국을 싫어한다고 말한 뒤 그것이 마치 문재인 정부의 편중 정책때문인 것처럼 얘기해놓고는 그렇지 않다고 모순되게 해명했다. 결국 윤 후보가 생각하는 한국인의 반중 정서 원인이 정확히 무엇인지조차 밝히지 않은 채 한국 국민은 중국을 싫어한다는 자극적인 발언만 남게 된 꼴이다.   

태그:#윤석열, #국민의힘, #중국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