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서욱 국방부 장관이 29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있다. 이번 전체회의에서는 북한의 ICBM 발사와 관련된 긴급 현안보고가 진행된다.
 서욱 국방부 장관이 29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있다. 이번 전체회의에서는 북한의 ICBM 발사와 관련된 긴급 현안보고가 진행된다.
ⓒ 공동취재사진

관련사진보기

 
국방부는 북한이 지난 24일 발사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이 신형인 '화성-17형'이라는 북한 측 주장과 달리 이미 개발이 완료된 '화성-15형'으로 분석했다고 공식 확인했다.

국방부는 29일 국회 국방위원회에 제출한 현안보고에서 "지난 16일 (화성-17형) 발사 실패 장면을 평양 주민들이 목격한 상황에서 유언비어 차단과 체제 안정을 위해 최단 시간 내에 성공 메시지를 전달할 필요가 있어 2017년 (이미 발사에) 성공해 신뢰도가 높은 화성-15형을 대신 발사한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북한은 지난 16일 평양 순안비행장에서 신형 ICBM '화성-17형'을 발사했지만, 공중 폭발한 바 있다. 

국방부는 북한이 화성-15형을 쏜 후 화성-17형 발사에 성공했다고 주장한 배경에 대해선 "대외적으로는 비행 제원을 기만해서라도 한국·미국과 국제사회에 ICBM 능력이 고도화됐음을 강변하고, 군사강국 지위 확보 및 협상력 제고 목적"이 있었다고 분석했다.

국방부는 이번 미사일을 '화성-15'로 결론 내린 근거를 ▲비행 특성 ▲영상 속 그림자 ▲기상 ▲기술적 요소 ▲한미 평가 일치' 등 다섯 가지로 제시했다. 

국방부는 "발사 장면과 김정은 관람 영상의 그림자 방향 분석 결과 9~10시의 그림자가 실제 발사시간인 14시 33분과 달랐다"고 밝혔다. 이어 "24일 발사 당일 발사시간대 순안은 대부분이 구름으로 덮여 있었으나 북한이 공개한 발사 장면 영상은 청명한 날씨로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국방부는 또 "화성-17형은 액체연료 엔진 4개 묶음(클러스터링)으로, 엔진 2개짜리인 화성-14·15형보다 복잡한 기술이 필요하다"며 "16일 실패 이후 8일 만에 이뤄진 재발사는 실패 원인을 분석하기에는 부족한 시간"이라고 지적했다.

또 국방부는 미군도 이러한 평가에 동의했다고 전했다. 국방부는 "미국 측도 상세 분석을 진행 중"이라면서 "화성-15형으로 단정하지는 않았으나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고 밝혔다.

앞서 <워싱턴포스트>는 현지시각 28일 미국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북한의 지난 24일 ICBM은 기존의 화성-15형을 개조한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한편, 국방부는 북한이 오는 4월 정치 행사와 연계해 '화성-17형'을 발사할 가능성이 있고, 복구가 진행 중인 풍계리 핵실험장 동향과 관련해서는 "일정 수준의 공사 이후 추가적인 핵실험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했다.

태그:#북한 미사일, #ICBM, #화성-17형, #화성-15형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김도균 기자입니다. 어둠을 지키는 전선의 초병처럼, 저도 두 눈 부릅뜨고 권력을 감시하는 충실한 'Watchdog'이 되겠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