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2023 아르헨티나 <편지> 공연
 2023 아르헨티나 <편지> 공연
ⓒ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관련사진보기


탱고의 나라인 아르헨티나 수도 부에노스아이레스의 한 가운데에서 심청의 그리움을 한국 춤사위로 풀어낸 창작 무용이 박수 갈채를 받았다.

지난 4일과 5일 양일에 걸쳐 한국 무용단체 후(后)댄스컴퍼니의 창작무용 <편지>가 부에노스아이레스의 대표적 축제인 국제공연제(FIBA, Festival Internacional de Buenos Aires)에 소개되었다.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이하 진흥원)이 문화체육관광부와 함께 추진하는 트래블링 코리안 아츠 사업의 일환이었다.

FIBA는 부에노스아이레스 시정부가 홀수년마다 주최하는 공연예술 축제이다. 진흥원에 따르면 코로나19 이전까지 매년 10만 명의 관객이 찾던 세계 주요 축제다. 진흥원, FIBA, 주아르헨티나한국문화원의 협력으로 추진된 <편지> 공연에는 양일 동안 총 2,500명의 관객이 찾았다.
  
2023 아르헨티나 <편지> 공연 홍보물
 2023 아르헨티나 <편지> 공연 홍보물
ⓒ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관련사진보기


진흥원은 "이날 공연에서 선보인 '춤을 부르는 판소리'라는 부제가 달린 이 작품은 판소리 <심청가>의 '추월만정'에서 영감을 받아 만들어졌다"면서 "후댄스컴퍼니의 안무가이자 출연 무용수인 유선후는 심청이 기러기를 불러 현시대의 한 여인에게 편지를 보냈다는 상상으로 작품을 연출했다"고 밝혔다.

진흥원은 또 "심청의 심정을 노래와 춤으로 만나본 아르헨티나 관객들은 아낌없는 박수갈채를 보냈고, 작품과 한국무용에 대한 궁금증은 예술가와 관객 간 질의응답 시간을 통해 풀었다"면서 "관객들은 '한국무용으로 부채춤만 알았는데 창작무용을 볼 수 있어서 좋았다', '야외무대에서 피아노 선율과 함께 잘 어우러졌다' 등의 평을 하였다"고 전했다.

한편, 진흥원은 2022년에도 한-아르헨티나 수교 60주년을 맞이하여 아르헨티나에서 여러 문화행사를 개최하였다. 지난 10월에는 세계 3대 공연장으로 인정받는 콜론극장에서 바이올리니스트 양인모와 부에노스아이레스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협연 공연이 있었다.  

태그:#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창작무용 편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환경과 사람에 관심이 많은 오마이뉴스 기자입니다. 10만인클럽에 가입해서 응원해주세요^^ http://omn.kr/acj7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