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세종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은 7일 오전 세종호수공원 내 세종평화의소녀상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굴욕적인 일제 강제동원 정부안 폐기와 평화의소녀상 보호조치 마련을 촉구했다.
 세종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은 7일 오전 세종호수공원 내 세종평화의소녀상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굴욕적인 일제 강제동원 정부안 폐기와 평화의소녀상 보호조치 마련을 촉구했다.
ⓒ 세종시민단체

관련사진보기

 
제3자 변제방식으로 일제 강제동원 대법원 판결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윤석열 정부의 입장(이하 정부안)에 대해 세종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이 사상 최악의 굴욕외교라며 강력 반발하고 나섰다. 이들은 또 세종평화의소녀상에 대한 테러를 용납할 수 없다며 보호조치 마련을 촉구했다.

세종민중행동, 세종여성회, 세종YMCA, 세종참여자치시민연대,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 세종지부 등 세종지역 23개 시민·사회단체들은 7일 오전 세종호수공원 내 세종평화의소녀상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윤석열 정부는 매국외교를 즉각 중단하고 굴욕적인 강제동원 배상안을 폐기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우선 이번 정부안을 '사상 최악의 굴욕외교이자 매국안'이라고 규정했다. 포스코, 한국전력, 코레일 등 1965년에 체결된 한일청구권협정에 의거해 수혜를 입은 16개의 공기업의 기부금으로 강제동원 피해자들에게 배상하겠다는 정부안은 전범국 일본과 전범기업 모두에게 우리 정부가 먼저 나서서 면죄부를 주는 격이라는 주장이다.

이들은 기자회견문을 통해 "지난 2018년 대한민국 대법원은 강제동원과 관련, 미쓰비시 중공업과 일본제철 두 전범 기업에게 배상 의무가 있다고 판결했다"며 "그럼에도 두 전범기업은 사죄는커녕, 배상금 지급을 거부해 왔다"고 비판했다.

이어 "그런데 윤석열 정부가 이번에 스스로 나서서 우리 공기업에게서 기부금을 받아 대신 배상하겠다고 하면서 일본 전범기업의 배상 책임은 완전히 물건너 가게 됐다"며 "이는 일본의 반인륜 전쟁범죄에 면죄부를 주는 사상 최악의 굴욕외교이자 역사에 남을 친일매국행위"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또 "일본은 지난 1938년부터 모집·관 알선·징용 등으로 형태를 바꿔가며 조선인을 강제 동원했다. 국내를 비롯해 일본과 사할린, 남양군도 등으로 800만 명이 끌려갔다. 이중 최소 60만 명 이상은 죽거나 행방불명됐다"고 설명하고 "규모나 내용 면에서 전 세계 전쟁사에서도 압도적인 강제징용 사례"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상황이 이러함에도 윤석열 정부는 이 모든 역사적 사실에 눈을 감고 '미래 지향적인 외교'라는 망발을 하며 일본에게 '성의'를 구걸하고 있다"며 "이것이 과연 미래지향적인 외교인가, 지나가던 개도 웃을 일"이라고 개탄했다.
  
세종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은 7일 오전 세종호수공원 내 세종평화의소녀상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굴욕적인 일제 강제동원 정부안 폐기와 평화의소녀상 보호조치 마련을 촉구했다.
 세종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은 7일 오전 세종호수공원 내 세종평화의소녀상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굴욕적인 일제 강제동원 정부안 폐기와 평화의소녀상 보호조치 마련을 촉구했다.
ⓒ 세

관련사진보기

 
세종단체들은 아울러 지난 3월 1일 일어난 세종평화의소녀상 테러행위에 대해 규탄하고 보호조치 마련을 촉구했다. 당시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는 글귀가 수놓인 세종평화의소녀상 망토와 모자를 누군가가 총 6군데를 날카롭게 찢어 놓은 흔적이 발견된 바 있다.

이들은 "일제의 어떤 사죄도, 배상도 받지 못한 상황에서 전국 각지에서, 그리고 세계 각처에서 반인륜적이고 반인권적인 전쟁 시기 성노예라는 참혹한 역사를 잊지 말자고 자발적 성금으로 세워진 평화비의 형체가 바로 평화의 소녀상"이라고 강조하고 "그러나 안타깝게도 보호조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역사를 왜곡하는 극우세력의 위협에 노출되어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평화의소녀상을 상시 직관할 수 있는 CCTV설치를 비롯해 실질적인 보호조치를 즉각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태그:#강제동원, #굴욕외교, #세종시민사회단체, #세종평화의소녀상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