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직장 다니면서 글을 만나 쓰는 재미에 푹 빠져 사는 세 남자의 이야기.[기자말]
투덜이 스머프 불만 많은 직장인을 닮은 투덜이 스머프의 모습
투덜이 스머프불만 많은 직장인을 닮은 투덜이 스머프의 모습 ⓒ Innak

회사에 다닌 날보다 다닐 날이 현저하게 짧아졌다. 쏜살같은 세월의 무상함이 야속하다.   

입사 전, 취업 불안이 주는 네버엔딩 스트레스가 상당했다. 술을 마시지 못하는 체질이었음에도 식도염, 위염, 십이지장염, 미란성 장염, 헬리코박터균 진단까지 받은 적 있다. 자존감이 바닥을 치던 취준생 시절이었다.

세상을 다 얻은 것 같은 기분을 느꼈던 커다란 기업에 입사했을 때의 흥분과 설렘. 능력이 미천했기에 이루 말할 수 없이 찬란한 순간이었다. 우여곡절 끝에 입사했는데, 부지불식간 찾아온 허탈함은 피할 수 없는 현실의 아이러니함이었다.

"누구나 한때는 자기가 크리스마스트리인 줄 알 때가 있다. 하지만 곧 자신이 그 트리를 밝히던 수많은 전구 중 하나일 뿐이라는 진실을 알게 된다. 그리고 머잖아 더 중요한 사실을 깨닫는다. 그 하찮은 전구에도 급이 있다는 것을." 

드라마 <직장의 신>에 나오는 대사다. 가슴에 콕 박혀 잊히지 않는다. 나 역시 '직장인은 보잘것없는 일개 부속품'이라는 깨달음을 얻는 데 그리 오래 걸리지 않았다. 5년 정도 지났을까. 흥분과 설렘은 순식간에 증발했고, '언제 때려치우지'라는 막막함에 사로잡혔다. 직장인이라는 굴레에 갇혀 답답했다. 왠지 모를 허탈함과 불안함에 발만 동동 굴렀다.

불만을 논하기 최적의 공간, 직장

'다른 직장인도 자신이 보잘것없는 일개 부속품이라는 사실을 모르지는 않을 텐데, 도대체 어떻게 참고 버티는 거지?'

궁금했다. 직장인 관련 기사와 책을 무턱대고 찾아 읽었다. 직장생활 이야기를 다룬 드라마나 영화도 열심히 감상했다. 수시로 다양한 미디어를 접하면서 놀라운 사실을 깨달았다. 

모두가 대동소이한 직장인의 삶을 버티고 있다는 사실이었다. 불변의 진리도 발견했다. '직장인은 누구나 불행하다'라는 미디어의 정의였다. 모두가 알면서도 마지못해 버티기에 서글프면서도 대단한 삶이었다. 

기사로 쏟아지는 직장인의 비굴한 현실은 내 이야기였고, 책에서 떠드는 '자기계발을 해!'는 나를 향한 외침이었다. TV나 영화에서 현실과 비현실의 경계를 아슬아슬 넘나드는 스토리는 실제보다 리얼했다. 엎어치나 매치나 직장인은 결국 애달픈 존재였다.

펜을 들어 동참하지 않을 수 없었다. '내가 겪은 일이 더 부조리한데? 더 어이없는데? 더 황당하고 열 받는데? 더 생생한데? 더 재미있는데?' 이렇게 내 글쓰기가 시작되었다. 처음에는 그저 무모한 직장인의 발악이었다.

"꿈은 불만에서 생겨난다. 만족하는 사람은 꿈을 꾸지 않는다. 사람은 어느 곳에서 꿈을 꾸는가? 배고프고 추운 곳이나 병원, 또는 감옥에서 사람은 꿈을 꾼다."

프랑스 극작가 앙리 드 몰테를랑의 말은 직장생활에 희망을 주었다. 세상에서 불만이 가장 많은 곳이 바로 직장 아닐까. 직장인이 꿈을 꾸기에 더없이 최적화된 공간이다. 판은 이미 깔렸다. 꿈을 키우지 않을 이유가 없었다.

책 열 권 분량은 될 듯한 5년여 간의 직장생활 여정이 머릿속을 가득 채웠다. 분노, 흥분, 설렘, 조급함 등이 뒤범벅된 감정이었다. 분노를 필두로 글을 쓰기 시작했다.

2010년은 블로그 대유행의 시기였다. 불평불만 직장생활 이야기를 블로그에 쏟아냈다. 흔하디 흔한 직장 생활 주제가 먹히다니 신기했다. 많은 직장인이 공감하니, 바쁜 줄도 힘든 줄도 피곤한 줄도 모르고 퇴근 후 매일 글 쓰는 쾌락에 빠졌다.

시간이 흐르면서 고무적인 변화도 일어났다. 처음의 불만이 점점 다듬어지면서 깨달음과 교훈으로 변했다. 새카만 마음 치유 방법을 스스로 터득하는 과정이었다. 글쓰기는 한 직장인의 불만 넘치는 직장생활을 치유하는 처방전이 되었다.

글쓰기에 중독되다
 
글쓰기 중독 글쓰기의 재미
글쓰기 중독글쓰기의 재미 ⓒ Pixabay
 
티스토리(다음) '취업직장 분야' 순위 1위에 등극하는 데 불과 2~3개월밖에 걸리지 않았다. 경쟁은 치열했고 1, 2, 3위가 수시로 바뀌었다. 짜릿한 동기부여가 되었다.

이때는 블로그 운영 시스템도 경쟁적이었다. 매달 순위에 따라 수익이 발생했다. 우수 블로거로 선정돼 '황금펜' 타이틀을 달고 상금을 받기도 했다. 파워블로거 배지도 부여받았다. 방문자가 많으니 매달 광고 수입도 들어왔다. 이 역시 동기부여였다.

가장 큰 즐거움은 바로 '중독'이었다. '내가 무언가에 이렇게 빠질 수 있다니' 신기했다. 이 중독은 독자의 공감과 만나 치유로 이어졌다. 동병상련 직장인과의 소통은 즐거움을 넘는 소중한 치유의 시간이었다.

글에 빠져 살았다. 여러 기업 블로그 팀에서 직장인 관련 원고 요청이 들어왔다. 수년간 머릿속에 봉인되었던 직장에서의 일들이 수압 높은 샤워기의 물처럼 쏟아졌다. 쾌감을 느끼며 글을 썼다.

한 대기업 블로그에 70여 편의 직장생활 노하우 글을 연재했고, 출판사 눈에 들어 다시 책으로 태어나기도 했다. 고작 대리 시절에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직장생활과 자기계발에 대한 강의를 한 적도 있다.

어느새 나는 '일하는 직장인'과 '글 쓰는 직장인' 두 개의 삶을 살고 있다. 다른 듯하지만, 따로 떼어 생각할 수 없는 상호 보완하는 관계다. 직장은 꾸준히 글을 쓰기 위한 소재의 원천이고, 글은 직장생활을 조금이라도 더 잘하기 위한 나의 다짐이다.

일상이 즐거우니 직장생활에도 활력이 돌았다. '회사에서 즐겁게 일하고 집에 가서 더 즐겁게 글 써야지'가 삶의 낙이었다. 팀장한테 혼나면서 '그래, 오늘 포스팅 주제는 바로 이거야!'라고 외칠 정도였다. 회식 자리에서, 술자리에서 떠오르는 영감을 메모장에 열심히 적어대는 나를 발견하는 놀라운 경험이었다.

불과 얼마 전까지 불만에 사로잡혀 삶이 잿빛이었는데 즐거운 일을 찾으니 인생이 봄빛이 되었다.

당당한 취미가 생기다
  
직장인 취미 직장인 취미로 무엇이 좋을까?
직장인 취미직장인 취미로 무엇이 좋을까? ⓒ MBC 무한도전
 
30대 중반까지 딱히 잘하는 게 없었다. 취미라고 특기라고 당당하게 말할 수 있는 것도 전무했다. 잘한(잘 쓴)다는 기준은 여전히 모호하지만, 평생 함께하고 싶은 '떳떳한 취미'와 '글 쓰는 직장인'이라는 부캐가 생겨 행복하다.

블로그로 시작해 카카오 브런치, 오마이뉴스 플랫폼 등에 햇수로 14년째 멈춤 없이 글을 쓰고 있다. 꾸준함(꾸준한 직장생활, 꾸준한 글쓰기)을 기반으로 '글 쓰는 직장인'이 되었다. 

이 타이틀이 뿌듯한 이유는 글쓰기가 이제는 삶의 원천이기 때문이다. 쓰는 취미를 만나 불만 많은 직장생활에 매몰되지 않고 수시로 내 삶을 돌아보고 개척하며 하루하루 설렘과 희망을 키우고 있다.

"사람은 희망이 없으면 살아갈 수 없어. 희망은 사라지지 않아 잠시 보이지 않을 뿐이지."

직장인의 애환을 담은 영화 <잠깐만 회사 좀 관두고 올게>에 나오는 대사다. 마음에 들어 글을 쓸 때 여러 번 언급한다. 직장인에게는 하루하루가 자신만의 희망을 발견하는 과정이 아닐까.

글을 쓰면서 불안함을 잠재우고, 글 속에 또 다른 내가 살아있음에 위안을 얻는다. 직장생활이 '도망'에서 '희망'으로 물들고 있음에 감사하다. 몸이 무거운 주말 오전, 이불을 박차고 일어나 즐거운 마음으로 이 글을 쓰고 있다. 아무도 시키지 않아도 나를 자발적으로 이끄는 '글쓰기', 내 인생을 시들지 않게 하는 희망의 불씨다.

직장 다니면서 글을 만나 쓰는 재미에 푹 빠져 사는 세 남자의 이야기.
#직장인글쓰기#글쓰는직장인#직장생활자기계발#글쓰기#글쓰기의쓸모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세상의 모든 경험을 소중히 여기는 직장인, 아이들과 함께 성장하는 아빠, 매 순간을 글로 즐기는 기록자. 글 속에 나를 담아 내면을 가꾸는 어쩌다 어른.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