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지난 4월 2일 오후 12시 19분경 충청남도 금산군 복수면 신대리 산 24-3 일원(대전 서구 산직동 경계)에서 산불이 발생해 53시간여 만인 4일 16시 40분에 진화가 완료됐다.
지난 4월 2일 오후 12시 19분경 충청남도 금산군 복수면 신대리 산 24-3 일원(대전 서구 산직동 경계)에서 산불이 발생해 53시간여 만인 4일 16시 40분에 진화가 완료됐다. ⓒ 오마이뉴스 장재완
 
지난 달 2일 발생한 산불로 대전 서구 산직동과 금산군 복수면 일원 889.36ha가 불에 탄 것과 관련, 환경단체가 산불피해지역에 대한 자연복원 방식 의무화를 촉구하고 나섰다.

대전환경운동연합은 3일 논평을 내 이같이 주장했다. 이들에 따르면, 대전·금산 산불 피해 현장에서는 응급복구와 현장조사가 진행 중이다.

산불이 발생하면 피해조사를 통해 응급복구와 사방사업이 진행되고, 이후 평가를 통해 거쳐 숲의 복원방식이 결정된다는 것. 국내의 경우 대체로 6:4 비율로 인공조림과 자연복원이 방식이 결정된다는 것이다.

그런데 인공조림 보다는 자연복원방식을 절대적으로 늘릴 필요가 있다는 게 대전환경운동연합의 주장이다.

이들은 "인공조림정책은 과거형이 되어야 한다. 과거 민둥산에서 이제 숲이 성숙해지면서 저항력과 복원력이 높아져 인공조림을 통한 산불복원은 이제 거의 필요 없다"며 "산불로 인한 현장은 죽은 숲처럼 보이지만 자연복원 할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실제, 2000년에 발표한 강원대 정연숙 교수의 '산불피해 생태계에서 식생복원기법의 비교연구'에 따르면, 인공조림 복원지에서는 산불발생 후 13년이 되어도 작은 나무층만 형성되고, 21년이 되어도 여전히 숲 구조를 완전히 갖추지는 못했다는 것이다.

반면 자연복원지의 경우는 13년이 되면 큰키나무가 들어서고 21년이 되면 풀-떨기나무-작은키나무-큰키나무로 이루어진 전형적인 숲 구조가 갖추어졌다는 것. 특히 나무나 식물이 덮고 있는 면적을 나타내는 피도(被度)의 수치에서도 자연복원지가 훨씬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환경운동연합은 "21년이 되었을 때에도 자연 복원지의 큰키나무 피도가 조림복원지보다 20퍼센트나 높았다"면서 "미국의 경우에는 산불자체를 자연이 복원할 수 있는 정책을 1972년부터 시행중에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특히 인공조림은 소나무를 비롯한 침엽수 빈도가 높아 더욱 문제다. 단순한 형태의 소나무 숲은 생물의 다양성과 부합하지 않는다"며 "대전과 금산에 불이 난지 한 달이 지난 지금, 단순한 인공조림을 바로 시행할 것이 아니라 다양한 전문적 논의를 토대로 방식 복원방식의 변화를 가져올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아울러 "자연의 복원능력이 더 뛰어난 상황에서 인공조림을 채택할 필요는 없다. 산불이 발생할 경우 초기 대응인 산사태 방지를 위한 사방사업과 응급복구만을 진행하고 자연복원을 의무화해야 한다. 복구대책은 숲이 아니라 건물이나 농경지 등을 중심으로 세워져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들은 끝으로 "인공조림을 하더라도 최소 5년 이상을 지켜본 후 숲의 복원력이 현저히 떨어질 경우만을 대상으로 해야 한다. 언제까지 효과가 떨어지는 인공조림을 해 나갈 수는 없다"며 "이제는 자연을 믿을 때가 됐다"고 덧붙였다.

#산불피해지복원#인공조림#자연복원#대전신직동산불#대전환경운동연합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향나무는 자기를 찍는 도끼에게 향을 묻혀 준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