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으로 인쇄 신문의 발행 부수와 광고가 급격히 감소했다."
김선영 경남대 교수와 허찬행 건국대 교수는 '코로나19 이후 해외 지역신문의 동향'(주제 발표)을 이렇게 요약했다. 이에 따르면 코로나19가 본격화된 2020년에만 미국에서 100개 이상의 지역신문이 폐간했다. 또 3만7000명의 언론인이 해고됐다. 지역뉴스와 정보에 대한 접근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지역뉴스 사막화도 심화하고 있다. 한국도 마찬가지다. 한국의 지역신문도 구독률과 이용률이 모두 하락세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주요 외국 정부의 대응은 한국과는 사뭇 다르다.
천현진 건국대 디지털커뮤니케이션연구센터 선임연구원(전 지역신문발전위원회 위원)은 '지속 가능한 지역신문발전위원회 사업과 지원에 대한 혁신방안 모색'을 주제로 한 발제에서 외국의 다양한 정책을 소개했다.
이를 보면 미국은 지역 언론사에 광고하는 중소기업을 위한 세금 공제 혜택과 지역 기자 고용 또는 채용에 세금 공제, 지역언론 구독 또는 지역언론사 후원 시 소비자 보조금 지급 통신인프라 구축 등 다양한 지원책을 내놨다. 프랑스와 캐나다 등도 신문과 잡지 구독 가구에 세금 공제와 세액공제 혜택을 주고 있다. 반면 한국은 지역신문법에 의한 지원이 지역신문에 대한 정책의 전부다.
27일 오후 1시 우석대학교 전주캠퍼스 교양관에서는 '뉴미디어 시대 지역신문 혁신방안'을 놓고 고민이 깊었다. (사)바른지역연대, 지역신문발전기금주간지 우선지원선정사협의회, 한국언론정보학회가 주최한 이날 토론회에는 지역 주간신문 관련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천 연구원은 "정부마다 자치분권, 지역균형발전 등을 내놨지만 이를 지역 언론정책과 연계하지는 않았다"며 "윤석열 정부가 국정과제로 제시한 '지방시대'가 실현되려면 지역신문 활성화 정책을 수립해 함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지역신문발전법에 의한 우선지원대상 지역신문의 독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2022, '지역신문 발전을 위한 지원 계획 수립 연구' 언론재단)을 보면 독자 대부분이 지역신문에 대한 공적 지원이 지역의 여론 형성, 건강한 지역 밀착형 콘텐츠 생산을 위해 필요하다고 답했다"며 "현재 운영 중인 지역신문법에 의한 우선지원대상 지역신문사 선정과 운영방식을 독자의 요구에 맞게 전반적으로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천 연구원은 운영방식 개선안과 지역신문 발전을 위한 연도별 세부 과제를 제안하기도 했다.
허찬행 교수는 "세계 신문 시장의 흐름은 구독자와 수익 모두 종이신문 부문에서는 줄고 디지털 분야에서는 늘었다"고 밝혔다. 이어 "종이신문 독자 감소와 비용 증가로 지역신문도 디지털 부문으로 혁신과 전환은 미룰 수 없는 과제가 됐다"며 "음성 뉴스와 영상뉴스를 제공하는 등 다양한 뉴스 전달 방식에 대한 투자로 폭넓은 독자층과 접점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지역 독자와 관계를 재설정하고 정부와 지자체, 미디어 지원기구에서 이용자 데이터 수집과 분석, 독자 발굴 등에 대한 적극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김선영 교수는 일본 지역신문에 대한 사례발표를 통해 "일본 또한 신문발행 부수 등이 감소하고 있지만 지방신문이 전국지보다 감소세가 덜하다"며 "이는 일본 내 신문에 대한 신뢰도가 높은 데다 지역신문이 주민밀착형 기사로 독자와 소통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평가했다.
김 교수는 일본의 <주니치신문>(中日新聞, 일본 나고야시를 중심으로 발행하는 지역일간지)과 <니시니혼신문>(西日本新聞, 후쿠오카현 등 규슈 일원에서 발행하는 지역일간지)의 지역 밀착형 기사와 독자 주문형 탐사보도, 상향식 의제설정의 사례를 소개하기도 했다.
이날 토론은 안차수 경남대 교수의 사회로 이어졌다.
박민 참여미디어연구소 소장은 "정확한 정보 전달 등 풀뿌리 주간 지역신문의 기사만의 특성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기사의 유통을 위한 바른지역언론연대 차원의 공동앱을 개발"을 제안했다.
이서현 제주대 교수는 "지역신문법에 의한 지원에도 불구하고 지원 효율성이 크지 않다는 지적이 많다"며 "저널리즘의 본령 회복과 사회적 책무을 다하려는 초심 회복과 역할, 자구적 노력이 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우희창 충남대 교수는 "지역신문이 어려울수록 저널리즘의 원칙과 책무 등 윤리적 고민에 충실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풀뿌리 주간 지역신문이 어떻게 지역사회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다양한 지표를 통해 객관적으로 제시한다면 지역신문의 역할에 대한 공감과 확산에 기여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최종길 바른지역언론연대 대표(당진시대 발행인)는 "바른지역언론연대에 속한 많은 주간 신문사가 저널리즘의 건강성을 지키면서 혁신을 꾀하며 협업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안차수 교수는 이날 마무리 발언을 통해 "그 동안의 기금의 시혜와 수혜, 읍소 입장에서 벗어나 '지역 언론 없이는 한국민주주의는 없다'는 관점에서 권리주장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대의 민주주의 실현을 위한 저널리즘의 역할을 강화하는 한편 운영 혁신을 통해 시장에 잘 대응하는 두 가지 모델(전략)이 함께 가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