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2015년 12월 15일 오후 서울 서초구의 한 웨딩홀에서 열린 이동관 전 청와대 홍보수석 출판기념회에서 이 전 수석이 땀을 닦고 있다.
 2015년 12월 15일 오후 서울 서초구의 한 웨딩홀에서 열린 이동관 전 청와대 홍보수석 출판기념회에서 이 전 수석이 땀을 닦고 있다.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사실상 방송통신위원장으로 내정된 이동관 대통령실 대외협력특보가 자신의 아들로부터 학폭 피해를 당했지만 화해했다고 소개한 A씨가 학폭 가해 시기는 1학년(2011년) 1학기까지였다고 밝혔지만, 다른 피해 학생들의 경우 이듬해까지 지속적으로 피해를 당한 정황이 발견됐다. 

A씨는 지난 11일 언론에 보낸 입장문에서 "본인의 피해 진술 내용은 모두 1학년(2011년) 초반(3~5월경) 있었던 일을 기술한 것"이라고 밝혔는데, 또 다른 피해 학생의 진술서를 보면 2012년 1학기까지도 이 특보 아들의 학교 폭력이 지속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특보는 A씨 사례를 앞세워 아들의 학폭 및 무마 의혹을 대부분 부인했지만 다른 학생들의 피해 양상은 전혀 다를 수 있어 추가 해명이 필요해 보인다. A씨도 입장문에서 "본인의 개인적 입장은 다른 피해 학생들과 다를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다른 피해 학생 "1학년 2학기부터 시작"

학폭 사건이 하나고에서 문제가 된 2012년 당시 2학년이던 A씨는 언론에 보낸 입장문에서 "본인의 피해 진술 내용은 모두 1학년(2011년) 초반(3~5월경)에 있었던 일을 기술한 것"이라면서 "본인은 가해 학생이라 불리는 친구(이 특보 아들)로부터 사과를 받고 1학년 1학기에 이미 화해한 상황이었고, 뒤에는 문제없이 잘 지내고 있었다"고 밝혔다.

하지만 <오마이뉴스>가 13일, A씨를 포함해 두 명의 하나고 학생이 작성한 학폭 피해 진술서 전문을 확인한 결과, 두 학생 모두 2011년 1학년 1학기는 물론 같은 해 2학기와 다음 해 2학년 1학기까지 이어진 이 특보 아들의 학폭 피해 사실을 구체적으로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A씨도 입장문에서 밝혔듯 이 진술서는 2012년 4~5월쯤 작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A씨는 2011년 1학기 이후에는 이 특보 아들과 화해하고 잘 지냈다고 했지만 해당 진술서에는 최소한 A씨 외에 다른 학생들에 대한 학폭이 지속된 정황이 담겨 있다. 

한 학생은 진술서에서 "(학폭이) 작년(2011년) 2학기부터, 그때부터 시작되었던 것 같다"면서 "지금(2012년 4~5월)은 폭력행위가 눈에 띄게 줄었지만 그 횟수가 많을 때는 2~3일에 한 번 꼴로 일어났고 보통은 1주일에 한 번 정도 되었던 것 같다"고 적었다.

이 학생은 또 "올해(2012년)에 있었던 일이었는데, 그 친구(이 특보 아들)와 1인2기 축구를 같이 듣고 오는 도중에 내 팔뚝과 허벅지를 주먹으로 때렸다. 자습시간에 면학실에서 내 허벅지와 정강이를 주먹으로 때렸다. 한 번 폭력 행위를 할 때마다 보통 1~5분 사이로 지속된다"고 밝혔다. 

이 진술서를 쓴 학생은 2011년 2학기부터 학폭 피해를 당했고, 이 특보 아들의 학폭이 2012년에도 지속됐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또 다른 학생도 진술서에서 "◯◯이도 아무 이유 없이 이번 학기(2012년 1학기) 들어 몇 번 구타당했고, 명령을 이행하지 않으면 명령불복종이라며 저희를 때렸다"면서 "◯◯가 피해 다니자 '왜 자신을 피해 다니느냐'며 책상에 머리를 300번 부딪히게 하는 등의 행위를 하였다"고 명시했다.

또한 해당 진술서에는 "××도 몇 번 (2학기 때) 맞은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애들은 처음엔 말리지 않았으나 요새(2012년 1학기) ◯◯가 계속 피해를 입고 친구들에게 부탁을 하여 지금은 많이 상황이 좋아졌다"고 적었다.

이 진술서를 쓴 학생 역시 2011년 1학년 1학기뿐만 아니라 같은 해 2학기와 2012년 1학기에도 이 특보 아들의 학교 폭력이 지속됐다고 밝히고 있다. 두 개의 진술서를 종합한 결과, 학폭 피해자는 진술서를 쓴 2명의 학생 말고도 2명이 더 등장해 최소 4명인 셈이다. 

두 진술서가 보여주는 것... 3명은 2012년 1학기에 학폭 당해 
 
서울 은평구 하나고등학교.
 서울 은평구 하나고등학교.
ⓒ 권우성

관련사진보기

 
A씨가 언론에 보낸 입장문에서 "(2011년) 1학년 1학기 이후 (이 특보 아들과) 문제없이 잘 지냈다"고 밝힌 것과는 다르게, 이들 진술서에 등장하는 다른 피해 학생 3명은 그 이후에도 1년여 간에 걸쳐 더 학폭에 시달린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오마이뉴스>는 진술서를 쓴 학생들에게 페이스북 메시지를 보내 '다른 학생들의 학폭 피해 상황' 등을 물었지만 답변을 들을 수 없었다.

A씨도 다른 학생들의 학폭 피해 양상은 다를 수 있다는 점을 밝힌 바 있다. 그는 "위 글(입장문)은 '진술서'를 작성한 다른 피해 학생들과 함께 입장을 정리한 것이 아니라 본인의 개인적 입장을 글로 작성한 것이므로, 다른 피해 학생들의 입장과 다를 수 있는 점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라고 적었다. 

태그:#이동관 아들 학폭, #학생들 진술서
댓글25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에서 교육기사를 쓰고 있습니다. '살아움직이며실천하는진짜기자'가 꿈입니다. 제보는 bulgom@gmail.com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