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월 6만 5000원에 서울 지하철과 마을버스, 공공자전거를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정기교통카드를 출시한다. 시는 내년 1~5월 시범 판매를 거친 뒤 같은 해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될 예정이다.
오세훈 시장은 11일 오전 시청 브리핑룸에서 서울의 새로운 대중교통 정기권 서비스를 직접 설명했다.
내년 1~5월 시범 판매될 '기후동행카드(Climate Card)'는 6만 5000원으로 구매 후 한 달 동안 서울의 지하철(기본요금 상이한 신분당선 제외)과 버스(시내버스-마을버스), 공공자전거 따릉이를 무제한 이용할 수 있다. 독일의 월 49유로 정기권 서비스 '도이칠란드 티켓(D-Ticket)'보다 5000원 가량 저렴하다(1유로 = 1430원 환율 기준).
그러나 서울에서 승차해 경기와 인천 등 인접 지역에서 하차하는 경우에는 카드 이용이 가능하지만 서울 이외 지역에서 승차하는 경우엔 이용이 불가능하다. 기본요금이 상이한 광역버스도 서울 내에서는 이용할 수 없다.
서울과 타 지역 버스는 '노선 면허'를 얻은 지역을 기준으로 구분하며, 각 버스 노선번호를 검색하면 면허 지역을 확인할 수 있다.
공공자전거 따릉이는 '1시간 이용권'을 무제한 이용할 수 있으며, 시는 향후 리버버스 등 새롭게 도입되는 차세대 교통수단으로 기후동행카드를 확대 운영할 계획이다.
기후동행카드는 시민 이용 편의를 위해 플라스틱 카드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앱으로도 이용할 수 있으며, 플라스틱 카드는 최초 3000원으로 카드를 구매한 뒤에 매월 6만 5000원씩 충전해서 이용할 수 있다.
서울시는 2004년 '대중교통 통합환승요금제'의 도입 후에도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승용차 이용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대중교통 수단분담률'을 끌어올리기 위해 새로운 정기권 서비스를 준비해 왔다.
시는 기후동행카드 도입으로 약 50만 명의 시민이 1인당 연간 34만 원 이상의 할인 혜택을 받게 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주중 승용차로 출퇴근하거나 주말에 승용차를 이용하던 사람이 대중교통으로 이동 수단을 전환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한 예상치다.
또한 연간 1만 3000대 가량의 승용차 이용 감소, 연 3만 2000톤의 온실가스 감축 효과도 기대된다. 시는 100인 이상 사업장이 '기후동행카드'를 구매하여 임직원에게 배부할 경우 교통유발부담금 감면 등 추가적인 혜택을 부여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서울은 지난해 6~8월 한화 1만 2000원으로 대중교통을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9유로 티켓'을 도입한 독일의 사례에 주목하고 있다. '9유로 티켓' 약 5000만 장을 판매한 결과, 대중교통 이용률이 25% 증가하고, 이산화탄소 180만 톤 저감, 물가상승률 0.7% 감소 등의 사회경제적 효과를 달성했다고 한다.
독일은 '9유로 티켓'의 실험을 바탕으로 독일은 올 5월부터 월 49유로의 '도이칠란드 티켓(D-Ticket)'을 도입해 3달 여 만에 1100만 장을 판매했다. 프랑스 파리도 월 72.9 유로 정기권, 오스트리아는 연 1095 유로의 '기후 티켓'을 판매하는 등 유럽의 여러 국가가 고물가와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대중교통 정책을 도입하고 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친환경 버스 교체, 공공자전거 확대, 전기택시 보급 등 수송 분야 온실가스 저감을 위해 하드웨어를 교체하는 데는 한계가 있으며, 교통 분야 기후위기 대응은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가 핵심"이라고 새 서비스의 당위성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