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20일 오전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3 경기 환경산업 展에서 콜린 크룩스 주한영국대사, 유영일 경기도의원, 최열 환경재단 이사장 등 참석자들과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20일 오전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3 경기 환경산업 展에서 콜린 크룩스 주한영국대사, 유영일 경기도의원, 최열 환경재단 이사장 등 참석자들과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 경기도

관련사진보기

 
'스위치 더 경기(Switch the 경기)'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는 경기도 기후위기 대응 전략의 핵심 비전이다.

김동연 지사는 20일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경기 환경산업전 개막식에서 "스위치는 하나는 내리는 것, 하나는 올리는 것, 두 가지 뜻이 있다"면서 "스위치를 내리는 것은 기후변화 시대에 적응하기 위해서 에너지를 절약하는 것이고, 스위치를 올리는 것은 신재생에너지처럼 기후변화에 대응해 선도적으로 할 수 있는 것들을 하겠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경기도는 이날 '스위치 더 경기(Switch the 경기)' 프로젝트를 통해 2030년까지 온실가스 40%를 감축하겠다며 구체적인 기후위기 대응 전략과 계획을 발표했다.

김동연 지사는 환영사를 통해 "단순히 비전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경기도가 기후위기 대응에 대해 선도적으로 실천에 옮기고 앞장서겠다는 약속과 의지를 다시 한번 말씀드린다"고 강조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20일 오전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3 경기 환경산업 展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20일 오전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3 경기 환경산업 展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 경기도

관련사진보기

 
'지구의 열기를 끄다, 지속가능성을 켜다'

스위치 더 경기(Switch the 경기)는 '지구의 열기를 끄다, 지속가능성을 켜다'를 비전으로 2030년까지 온실가스 40% 감축, 2050년 탄소중립 실현을 목표로 한 경기도의 기후위기 대응 전략이다. 한편으로는 기후위기를 새로운 기회로 보고 저탄소 혁신성장으로 경기도정을 전환시키기 위한 일종의 청사진(로드맵)이라고도 할 수 있다고 경기도는 설명했다.

이에 따라 도는 경기도정을 8대 분야로 나눠 28개 추진 과제를 담은 '스위치 더 경기(Switch the 경기)' 프로젝트를 추진할 방침이다.

8대 분야 중 '스위치 더 에너지(Switch the Energy)'는 지난 4월 경기도가 발표한 '경기 RE100' 비전을 포함한 도의 신재생에너지 정책을 담고 있다. 경기도와 산하 28개 공공기관의 신재생에너지 등 확대하여 '26년까지 사용 전력 100%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하는 공공기관 RE100,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지붕을 활용한 민관협력형 태양광 설치 사업인 산업단지 RE100 등이 주요 내용이다.

'스위치 더 시티(Switch the City)'는 도시·건축·산림 분야 기후위기 대응 대책으로 경기도는 신규 개발사업으로 감소하는 탄소 흡수량만큼 대체 흡수원을 조성하거나 부담금을 납부하는 '개발사업 탄소 총량제' 도입하고, 도로, 버스 정류소·차고지, 공영 주차장 등 도시 인프라의 에너지 자립을 위한 사업을 역점 추진할 계획이다.

'스위치 더 모빌리티(Switch the Mobility)'는 교통 분야 기후위기 대응책으로 공공분야에서 시작하여 사업용 자동차, 일반 자동차까지 단계적인 전기차 보급 관련 계획을 담고 있다. 또한 최근 도민들로부터 큰 호응을 받는 똑버스 등 스마트 모빌리티를 적극 도입하여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20일 오전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3 경기 환경산업 展에서 콜린 크룩스 주한영국대사, 유영일 경기도의원, 최열 환경재단 이사장 등과 전시장 주요 부스 라운딩을 하고 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20일 오전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3 경기 환경산업 展에서 콜린 크룩스 주한영국대사, 유영일 경기도의원, 최열 환경재단 이사장 등과 전시장 주요 부스 라운딩을 하고 있다.
ⓒ 경기도

관련사진보기

 
'스위치 더 파밍(Switch the Farming)'은 농업 분야 기후위기 대책으로 친환경 농업 면적을 대폭 확대하고, 로컬푸드 직매장 확대 같은 저탄소 유통 체계 조성 등을 통해 저탄소 농업으로의 전환을 목표로 한다.

'스위치 더 웨이스트(Switch the Waste)'는 자원순환 분야 기후위기 대응책으로 공공기관 일회용 컵 사용 금지, 바이오 가스를 활용한 신재생에너지 생산, 폐기물 처리시설 확충 등의 정책을 담고 있다.

'스위치 더 액티비티(Switch the Activity)'는 도민들의 자발적인 온실가스 감축 활동 문화조성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기후테크 육성'은 경제 분야 기후위기 대응책으로 2026년까지 기후 관련 새싹기업(스타트업) 100개 사를 발굴하여 성장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는 방안이다. '기후위기 적응'은 극단적인 재난 피해를 최소화하고 기후위기 대응 역량에 따른 기후격차 극복을 위한 방안 등을 담고 있다.

경기도는 '스위치 더 경기' 프로젝트의 과제 구체화, 도민 의견수렴 등을 거쳐 내년 4월까지 경기도 탄소중립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2030년 온실가스 배출량 40% 감축을 위한 구체적 실행에 들어간다는 방침이다.

태그:#김동연, #기후위기, #탄소중립, #스위치더경기, #경기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사실 너머의 진실을 보겠습니다. <오마이뉴스> 선임기자(지방자치팀)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