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서울 시내. 2021.4.26
서울 시내. 2021.4.26 ⓒ 권우성
 
2015년 국제사회는 ‘파리협정’을 체결함으로써 산업화시대 대비 지구의 온도가 1.5도 이상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고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것을 공동의 목표로 삼았다. 그러나 1.5도라는 최후의 마지노선이 이미 깨졌다는 보고서들이 나오기 시작했다. 1.5도라는 수치는 이 선을 넘으면 지구가 스스로의 자정능력을 회복할 수 없을 수도 있기 때문에 정해진 수치였다. 이미 그 선을 넘었다면, 인류와 지구는 이제 어떻게 되는 걸까.
 
착잡한 마음이 드는 것이 사실이나, 그럼에도 포기해서는 안 된다. 이번 연재에서는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수단 중 하나로 도시의 변화에 대해 논의하며, 실제 진행되고 있거나 성공한 세 가지 사례들을 살펴볼 것이다.

기후위기 대응 방안 중 하나로 도시의 변화를 다루는 이유는 도시에 인구가 밀집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도시의 변화는 도시에 살고 있는 무수한 사람들의 삶의 방식과 행동 패턴을 비교적 한 번에 바꿀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다. UN은 게다가 현재 전 세계 인구의 약 55%가 도시에 살고 있으며, 2050년이 되면 그 비율은 68%까지 늘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전 세계 절반 이상의 인구가 살고 있는 도시들이 변한다면 그야말로 기후위기를 초래한 우리 인간들의 환경파괴적인 삶의 양식을 바꿀 수 있는 시작점이자 열쇠가 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는 오염의 주범이다. 시민들을 먹여살리기 위해 도시는 각종 자원들을 공급하고 필요한 형태로 가공하는데, 이 과정과 그 후에 수많은 오염물질들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도시는 깨끗한 물을 필요로 하고, 강에서 물을 끌어와 정수과정을 거친 후 시민들에게 공급한다.

하지만 그 후에 도시에 남는 것은 어마어마한 양의 오수다. 이 모든 과정에서 끊임없는 오염과 낭비가 발생한다. 도시에 물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낡은 급수관으로 인해 지하로 새는 물이 한국만 해도 약 6억 8천만 톤이라고 알려져 있는데, 이는 6000억 원의 가치가 있는 정도의 물의 양이다. 하수를 깨끗하게 정화하는 과정에서 한국에서만 1년에 26만 8천 톤의 온실가스가 발생한다.

또 시민들과 도시가 필요로 하는 전기 에너지를 얻기 위해 도시는 발전소를 필요로 하는데, 이 발전소 (특히 화력 발전소)를 가동하는 과정에서 온실가스가 발생한다. 시민들이 사용하는 공산품들을 공장에서 제조하는 과정에서도 온실가스가 발생하고 시민들이 도시 내에서 이동할 때도 온실가스가 발생한다.
 
기후위기에 대응하고자 한다면 위와 같은 도시의 모습은 변화해야 한다. 하지만 정확히 어떻게 변해야 하는 걸까.

1992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리우회의에서는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개발’ (ESSD)이라는 개념을 논하며 생태도시란 사람과 자연이 공생할 수 있는 도시의 체계를 갖춘 도시를 뜻한다고 정의한 바 있다. 그리고 이 생태도시는 생물 다양성, 자연 순환성, 지속가능성 생태도시로 다시 구분된다.

생물 다양성 생태도시는 생물종 다양성 증진을 위해 녹지 및 쾌적한 하천과 다양한 생물이 서식하는 환경을 구축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자연 순환성 생태도시는 수질, 대기, 폐기물처리과정에서 친환경적이고 무공해 에너지를 사용해 자원을 절약, 재사용할 수 있는 체계가 이루어져있는 도시를 말한다. 지속가능성 생태도시는 지속가능한 개발을 추구하는 도시로, 시민의 편의를 고려하면서도 도시, 건축 및 교통계획과 인구계획이 친환경적인 도시라고 볼 수 있다.

도시들마다 이 세 가지 종류 중 어느 한 쪽에 더 중점을 두는 경향이 있기는 하지만, 결국 우리의 미래 도시는 생물 다양성과 자연 순환성, 지속가능성을 모두 갖춘 완전한 생태도시가 되어야 함이 명확해 보인다.
  
다음 연재 글에서는 생태도시로의 전환을 꾀하고 있는, 혹은 이미 성공했다고 여겨지는 세 도시의 사례들을 살펴보기 전에 한국의 상황은 어떤지 먼저 짚어볼 것이다.

#기후위기#도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다재다능한 전문가가 되고 싶은 사회학도.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