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부동산 부채 쏠림 정도가 미국·호주·영국 등 주요국의 2배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과도한 부동산 빚이 국가 경제 자원 배분의 효율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20일 한국은행이 발간한 'BOK 이슈노트: 우리나라 기업부채 현황 및 시사점'을 보면, 국내 기업부채는 지난해 말 2734조원으로 2018년 이후 모두 1036조원 증가했다. 연평균 증가율은 8.3%로, 명목 성장률 3.4%를 웃돌았다.
기업부채 급등의 주범은 부동산 대출이었다. 금융권의 부동산업 관련 대출잔액은 2018~2023년 중 301조원이나 급증했는데, 이는 같은 기간 전체 기업부채 증가 규모의 29% 수준이다. 이에 따라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부동산 대출잔액 비율은 2017년 13.1%에서 2023년 24.1%로 급등했다.
류창훈 한은 금융시장국 과장 등 연구팀은 "이러한 부동산 부문에 대한 신용공급 확대에는 금융권의 수익 추구 행태가 상당 부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된다"고 밝혔다.
"PF 대출 구조조정 추진하고, 부동산 집중 않도록 대응해야"
이어 "특히, 비은행권이 2010년대 중반 이후 수익성 높은 부동산 개발 관련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등을 중심으로 기업대출이 크게 확대했다"며 "업권별로는 새마을금고, 상호금융 등의 대출 증가세가 높았다"고 덧붙였다.
국내 부동산 빚 증가는 미국 등 주요국에 비해서도 두드러졌다. 우리나라의 GDP 대비 부동산업대출 비율은 2022년 말 24%를 기록했다. 이는 유로 지역(14.7%), 호주(12.0%), 미국(11.3%), 영국 (8.7%) 등을 크게 상회하는 수준이다.
류 과장은 "부동산업이 생산성이 높지 않은 부문임에도 대출 공급이 크게 늘면서 관련 대출 공급 비중이 상당히 커졌다"며 "결과적으로는 국가 경제 전체적으로 자원 배분의 효율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한 것 아닌가 평가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부실 우려가 큰 PF 대출에 대해선 질서 있는 구조조정을 추진하고, 점진적인 디레버리징(부채축소)을 추진해나갈 필요가 있다"며 "금융기관의 신용이 다시 부동산 부문으로 집중되지 않도록 거시건전성 정책을 통해 적절히 대응해나갈 필요가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