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농촌은 '만물이 점차 생장해 가득 차오른다'는 뜻의 절기 '소만' 시기부터 본격적으로 중부지방부터 모내기가 시작되고, 남부지방에는 보리와 밀을 수확하고 이후 모내기가 시작됩니다. 이 무렵에 종종 여름 가뭄이 들기도 합니다.

과거 가난했던 시절에는 쌀독에 양식이 떨어져 힘겹게 연명하는 '보릿고개' 시기를 보냈답니다. 시절이 좋아져 우리에게 '보릿고개'라는 단어는 사전적 옛말이 되었습니다.
 
절기 '소만' 즈음 섬진강가 미실란에서는 친환경생태농업을 지향하며 건강에 좋은 발아현미 쌀 품종연구를 위한 24년 첫 손모내기를 했습니다.
▲ 친환경과 건강한 좋은 발아현미 쌀 품종연구를 위한 24년 첫 손모내기 풍경 절기 '소만' 즈음 섬진강가 미실란에서는 친환경생태농업을 지향하며 건강에 좋은 발아현미 쌀 품종연구를 위한 24년 첫 손모내기를 했습니다.
ⓒ 이동현

관련사진보기

 
올해는 '소만'을 지나 5월 여느해보다 일주일 빠른 첫 번째 손모내기 행사를 마치고 지난 5월 말 제29회 미실란 작은들판음악회를 열었습니다. 어느덧 스물아홉 번째를 맞이하는 음악회를 열며, 그리고 올가을에 열릴 서른 번째 음악회를 구상하며 우리가 왜 음악회를 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찬찬히 생각을 정리해 봅니다.
  
인근 구례 원촌초등학교 농촌유학 온 아이들과 학부모 그리고 서울에서 온 일가족이 함께 논습지와 생태농업 그리고 우리의 주식인 쌀을 이해하는 프로그램으로 모내기 체험을 왔습니다.
▲ 도시에서 농촌으로 유학온 농촌유학 어린이들과 도시아이들과 가족들이 함께한 손모내기 체험 인근 구례 원촌초등학교 농촌유학 온 아이들과 학부모 그리고 서울에서 온 일가족이 함께 논습지와 생태농업 그리고 우리의 주식인 쌀을 이해하는 프로그램으로 모내기 체험을 왔습니다.
ⓒ 이동현

관련사진보기

 
미실란 작은들판음악회는 2006년 제 짝꿍인 남근숙 씨의 제안으로 시작되었지요.  시절도 변하고 내가 농촌에 정착할 즈음 지방자치단체에서 각기 지역을 대표하는 축제를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지방자치단체는 많은 지역주민과 관광객들을 유축제장으로 유치하기 위해 트로트 가수, 유명 가수를 무대로 초대했습니다. 인기가 좋은 트로트 가수나 유명 가수도 좋지만 지역의 문화예술인들과 함께 소통할 수 있는 자리가 농촌 지역에 부족하다는 아쉬움에 우리가 먼저 그 장을 열어 보자고 이야기를 나누기 시작했습니다.

그렇게 작은 아이디어에서 출발해 넒은 옛 학교였던 미실란 운동장을 음악회 무대로 구상하면서 우리 부부는 세 가지 다짐을 했습니다. '경계가 없고', '평가가 없고', '술이 없는' 자연스럽고 평화로운 시간을 함께 공유하는 것을 지키자고 말이죠.
  
농촌에 다양한 문화가 꽃피우길 바라며 시작한 작은 들판음악회가 29회가 되었습니다.
▲ 29회 작은 들판음악회  농촌에 다양한 문화가 꽃피우길 바라며 시작한 작은 들판음악회가 29회가 되었습니다.
ⓒ 이동현

관련사진보기


1회 음악회에 출연한 출연진을 떠올려 보면 저도 모르게 흐뭇한 웃음이 납니다. 무대가 익숙지 않은 출연진들의 어설프지만 귀여운 모습이 참 예쁘고 아름다운 순간이었답니다.

소박하게 시작한 미실란 작은들판음악회는 풍경과 공간이 아름다운 덕분인지 회차를 거듭하면서 출연하고 싶다는 분들의 요청이 점점 늘어났습니다. 그래서 한 해 한번 계획했던 것에서 봄과 가을 두 번으로 회차를 늘려, 봄에는 '풍년기원 작은들판음악회'를 가을에는 '추수감사 작은들판음악회'를 운영하는 것으로 정착이 되었지요.
  
옛 학교자리 (구, 곡성동초등학교, 1998년 2월 폐교), 미실란 잔디정원에서 29회 작은 들판음악회가 열렸습니다. 평가가 없고, 경계가 없고, 술이 없는 이 음악회는 어느덧 도시와 농촌을 잇는 작은 문화 플렛폼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 작은 들판음악회에 함께 한 관객들 옛 학교자리 (구, 곡성동초등학교, 1998년 2월 폐교), 미실란 잔디정원에서 29회 작은 들판음악회가 열렸습니다. 평가가 없고, 경계가 없고, 술이 없는 이 음악회는 어느덧 도시와 농촌을 잇는 작은 문화 플렛폼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 이동현

관련사진보기


작은들판음악회를 시작하면서 미실란에 자연스럽게 문화가 스며들기 시작했습니다. 곡성이 인구 소멸 위기 지역이라고 해도 역시 사람 사는 곳에는 문화와 예술이 곁들여져야 삶이 풍성해진다는 것을 배울 수 있는 나날이었습니다.

미실란 복도 갤러리에서는 지역의 작가들과 함께 그림전, 사진전을 진행하고, 교실 한 칸을 활용한 세미나실에서는 환경과 생태를 주제로 한 다큐멘터리 상영회와 북토크를, 그리고 운동장에서는 생태판소리한마당과 지역 활동가들과 함께 하는 섬진강마을영화제까지 해를 거듭할수록 문화의 폭이 점점 넓어지고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처음 곡성에 들어와 사업을 시작하면서 작지만 매력 있고 아름답게 성장하며 지역 문화와 함께 하는 농업기업을 만들겠다는 생각이 현실로 되어 가고 있어 그저 감사할 따름입니다.

이번에 진행한 제29회 작은들판음악회는 평화로운 섬진강 들녘을 곁에 두고 선선하게 불어오는 늦봄의 온화한 날씨 속에서 서로에게 다정한 웃음과 위로를 건넬 수 있는 시간들로 채워졌습니다. 저녁식사로 준비했던 건강한 발아오색미 채식 밥상도 다들 좋아해 주셔서 더 벅차게 기쁜 마음이었지요.
  
건강한 비건 채식밥상을 만나볼 수 있는 시간
▲ 음악회때 만난 미실란 밥카페반하다의 채식밥상 건강한 비건 채식밥상을 만나볼 수 있는 시간
ⓒ 이동현

관련사진보기

 
5월 중하순에 시작한 모내기는 이번 주까지 모두 마무리했답니다. 모들이 건강하게 클 수 있도록 세심히 살피고, 잡초도 부지런히 뽑으면서 여름을 맞이하겠습니다. 6월 29일에는 저와 함께 책 모임을 하고 있는 우리 지역 농부시인의 첫 시집 출간기념회를 엽니다. 농촌에 작지만 다양한 문화행사를 통해 지역이 좀더 풍요로워졌으면합니다. 들녘의 모들이 찰랑찰랑 춤추는 풍경도 보시고 농부 시인의 등단도 함께 축하해 주세요. 
 
모내기가 끝난 논에 아이들과 함께 친환경벼농사의 또다른 농부인 우렁이를 방사합니다.
▲ 우렁이 농부를 논으로~ 모내기가 끝난 논에 아이들과 함께 친환경벼농사의 또다른 농부인 우렁이를 방사합니다.
ⓒ 이동현

관련사진보기

덧붙이는 글 | 생태책방들녘의마음, 개인 페이스북과 블러그에 기록합니다.


태그:#농촌문화만들기, #작은들판음악회, #미실란, #농사일기, #생태농업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일본 유학시절 오마이 뉴스를 만나 언론의 참맛을 느끼고 인연을 맺었습니다. 학위를 마치고 섬진강가 곡성 폐교를 활용하여 친환경 생태농업을 지향하며 발아현미와 우리쌀의 가치를 알리며 e더불어 밥집(밥카페 반하다)과 동네책방(생태책방 들녘의 마음)을 열고 농촌희망지기 역할을 하고 싶어 오마이 뉴스와 함께 합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