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지난 해 '교사사냥' 학부모 단톡방이 논란이 된 강남 A초에 근조화환이 배달됐다. 
 지난 해 '교사사냥' 학부모 단톡방이 논란이 된 강남 A초에 근조화환이 배달됐다. 
ⓒ 교육언론창

관련사진보기


서울 초등교사들이 강남, 서초, 송파 등 이른바 '강남3구' 지역을 대탈출하는 바람에 '신규 발령자 61%'로 빈자리를 메우고 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이들 지역이 학급당 학생 수도 많은 데다가 학부모 민원도 많기 때문에 기존 교사들이 타 지역으로 빠져나간 결과라는 것이다.

25일 서울교사노조가 발표한 '올해 3월 1일 자 초등 일반교사 113명 신규임용 발령 현황'을 보면, 서울시교육청은 동부교육지원청 8명(7%), 서부교육지원청 2명(2%), 남부교육지원청 24명(21%), 북부교육지원청 1명(1%), 중부교육지원청 2명(2%), 강동송파교육지원청 25명(22%), 강서양천교육지원청 1명(1%), 강남서초교육지원청 44명(39%), 동작관악교육지원청 2명(2%), 성동광진교육지원청 2명(2%), 성북강북교육지원청 2명(2%)을 신규 발령 냈다.

강남3구 지역 초등학교가 소속된 강남서초교육지원청과 강동송파교육지원청 신규발령 비율이 전체의 61%를 차지한 것이다. 서울지역 교육지원청은 모두 11개다. 이를 교육지원청 별 공립초등학교 수 대비 배정 인원으로 환산하면 강남서초(0.8명), 남부(0.36명), 강동송파(0.36명), 남부(0.36명), 동부(0.2명), 중부(0.06명) 순이다.

 
올해 3월 1일자 서울지역 초등학교 신규발령자 현황. ©
 올해 3월 1일자 서울지역 초등학교 신규발령자 현황. ©
ⓒ 서울교사노조

관련사진보기



이 같은 결과에 대해 서울교사노조는 "강남3구 지역 초등학교에 근무하던 교사들이 2023~2024년 정기전보와 비정기전보를 통해 대거 이탈했기 때문"이라면서 "이제 강남·서초·송파 지역은 초등교사들의 근무 기피 지역으로 자리매김 됐다"고 지적했다.

이렇게 된 까닭에 대해 서울교사노조 정혜영 대변인은 "2023년 기준 서울 공립초등학교 학급당 학생 수는 21명인 반면에 강남서초는 24.1명으로 11개 지역청 중 가장 많아 교사들이 이 지역을 근무하기 어려운 곳으로 꼽는다"면서 "더구나 이 지역은 학부모들 민원이 다른 지역에 견줘 상대적으로 많은 게 사실이어서 교사들의 대탈출이 진행된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 해 7월 '서이초'와 '강남 학부모 교사 사냥 단톡방' 사태가 일어난 곳도 바로 이 지역이다.

이에 따라 서울교사노조는 서울시교육청에 ▲강남서초 지역의 학교 내 학부모 민원응대시스템 적극 지도·감독 ▲강남서초 지역의 과밀학급 해소를 위한 실질적인 대책 수립 등을 요구했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교육전문언론 교육언론[창](www.educhang.co.kr)에서 제공한 것입니다.


태그:#강남3구 탈출, #교육언론창윤근혁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언론다운 언론, 교육다운 교육 교육언론 독립선언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