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드론으로 찍은 남해 대장군지 유적 모습이다.(사진제공: 하철환 남해군청 홍보미디어팀 주무관)
 드론으로 찍은 남해 대장군지 유적 모습이다.(사진제공: 하철환 남해군청 홍보미디어팀 주무관)
ⓒ 남해시대

관련사진보기


남해의 삼별초 대몽항쟁 유적지 발굴조사 결과 건물터 보존 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해군은 `남해 대장군지`의 역사 문화적 가치를 규명하고 `호국성지 남해`의 위상을 강화하기 위해 지난 4월 (재)삼한문화재연구원에 발굴(시굴)조사를 의뢰한 바 있다.

최근 남해군에 따르면, 지난 6월부터 진행한 발굴(시굴)조사 결과 유적의 전체 범위가 드러났으며, ▲성지 관련 석벽 및 축대 ▲5단으로 구성된 대지 ▲건물지 ▲담장 ▲출입로 및 계단 ▲배수구 등 돌로 쌓은 구조물들이 확인됐다.

 고려시대 맛새 기와가 남해대장경지에서 발굴됐다.
 고려시대 맛새 기와가 남해대장경지에서 발굴됐다.
ⓒ 남해시대

관련사진보기


이와 함께 고려시대 청자와 문양 기와·귀신눈무늬(귀목문 또는 일휘문)와 연꽃무늬(연화문) 막새기와·전돌 등 유물이 출토됐다.

이번 조사에서 확인된 돌로 쌓은 구조물들은 조선시대부터 현재까지 반복적으로 사용되어 상부 구조물이 훼손 또는 유실됐지만, 축대와 계단, 건물터 등이 그대로 남아있어 보존 상태가 양호한 편이었다. 특히 측면 계곡부 쪽으로 설치된 계단 출입시설과 직경 2m 내외의 커다란 벽석으로 쌓은 축대와 담장 등은 마치 높은 성벽으로 둘러싼 요새와 같은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가까이에서 본 남해 대장군지 유적 모습.
 가까이에서 본 남해 대장군지 유적 모습.
ⓒ 남해시대

관련사진보기


또한 13세기 전후에 만들어진 청자·막새기와·전돌 등의 유물 등이 발굴된 것을 감안하면, 규모가 크고 중요한 고려시대 건축물이 5단의 대지를 중심으로 축조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남해 대장군지 유적은 대몽항쟁기 '유존혁' 장군의 저항 활동 중심지였을 가능성이 크다는 게 발굴단의 설명이다. 남해군은 앞으로 삼별초 대몽항쟁 유적지 문화재 지정을 추진해 복원과 관광자원화에 힘 쓴다는 계획이다.

 남해 대장군지 유적 중앙 계단과 외벽 장면이다.
 남해 대장군지 유적 중앙 계단과 외벽 장면이다.
ⓒ 남해시대

관련사진보기


해당 유적지는 고려시대 대장군인 '유존혁'이 삼별초를 이끌고 경상도 연안 일대에서 저항 활동을 하던 대몽항쟁기의 근거지로 전해져 왔다. 1999년 KBS 1TV <역사스페셜(8월 7일 39회차)>에서도 소개돼 주목 받았다. 또한 이곳은 조선시대 임진왜란 시기 의병들의 훈련장소로도 알려진 만큼 중요한 남해 호국 유적지로 인식돼 왔다.

장충남 군수는 "진도, 제주도와 더불어 삼별초의 대몽항쟁 근거지 유적을 찾았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며 "향후 조사 성과를 바탕으로 `호국성지 남해`의 역사를 복원하는 데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남해시대에도 실렸습니다.


#삼별초#대몽항쟁#근거지#유적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2006년 4월 17일 창간한 남해시대는 경남 남해를 대표하는 풀뿌리언론으로 남해가 보다 더 열린사회로, 존중하는 사회로, 존중받는 사회로 한 발 더 나아가기 위해 남해시대의 힘을 보태겠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