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9월 29일 아침, 길동무 문학예술산책 참가자들이 '두륜산대흥사'라는 현판이 걸린 일주문 앞에 서 있다.
9월 29일 아침, 길동무 문학예술산책 참가자들이 '두륜산대흥사'라는 현판이 걸린 일주문 앞에 서 있다. ⓒ 한승훈

지난 9월 29일 일요일 아침, 땅끝마을 해남은 날씨가 무척 좋았다. 9월까지 폭염이 지속된 길고 긴 여름이 겨우 끝나고 이제 막 접어든 진짜 가을. 높고 푸른 하늘 아래로 펼쳐진 산과 들에 청량한 공기가 가득했다.

우리는 1박 2일 해남 여행 이틀째를 맞이하는 중이었다. 익천문화재단 길동무에서 주관한 '2024 길동무 문학예술산책' 네 번째 여행인 <김남주 시인 30주기 문학제>에 참석하기 위해 서울과 전국 각지에서 40여 명의 길동무들이 모였다.

둘째 날 아침 첫 일정으로 방문한 대흥사는 신라 후기에 창건된 천년 고찰이다. 해발 700미터 두륜산 자락 아래 넓은 분지에 위치했고, 2018년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대흥사는 임진왜란 이전에는 아직 대규모 사찰이 아니었으나 서산대사의 의발(승려의 옷과 공양 그릇)을 보관한 이후 한국 불교의 종통이 이어지는 도량으로 인정받게 되었다고 한다. 13 대종사(大宗師) 중 한 명인 초의선사로 인해 우리나라 차 문화의 성지로 거듭나게 된 곳이기도 하다.

이날 해설에 나선 김광수 시인(문화유산 해설사)은 "전쟁을 비롯한 삼재가 미치지 못할 곳(三災不入之處)이자 만 년 동안 훼손되지 않는 땅(萬年不毁之地)"이라고 했던 서산대사의 말을 빌어 대흥사의 특별함을 설명했다. 답사를 함께 하면서 나는 우선 절의 규모에 놀라고, 다음에는 사찰을 둘러싼 산세와 자연의 아름다움에 놀랐다.

삼재가 미치지 못하는, 만 년 동안 훼손되지 않는 땅

어느 곳에 눈을 두어도 절경이었다. 병풍처럼 둘러쳐진 낮고 둥근 두륜산의 여덟 봉우리 아래로 날렵한 팔작지붕을 이고 선 사찰 건물들이 그림 같은 조화를 이루고 있었다. 가는 곳마다 수백 년의 수령을 자랑하는 굵은 나무들은 천년 고찰의 역사를 증언하는 듯했다.

답사에 참가한 나희덕 시인은 "지역이나 땅이 가진 고유의 기운이 있다. 낮고 아름다운 산세를 지닌 해남은 시인이 많이 나는 고장이고, 반면 장흥은 소설가가 많이 배출되었다"고 설명하며 해남 출신 시인인 윤선도, 김남주, 고정희, 황지우, 장흥 출신 소설가로는 이청준, 한승원, 이승우 등을 언급했다.

 대흥사 본전인 대웅보전. 독특한 가람 배치로도 잘 알려진 대흥사는 천왕문을 지나 가장 큰 공간에 본전을 세우는 다른 사찰과 달리, 해탈문을 지나 왼쪽에 대웅보전이 위치해 있다.
대흥사 본전인 대웅보전. 독특한 가람 배치로도 잘 알려진 대흥사는 천왕문을 지나 가장 큰 공간에 본전을 세우는 다른 사찰과 달리, 해탈문을 지나 왼쪽에 대웅보전이 위치해 있다. ⓒ 임은경

일주문을 지나니 부도전이 나왔다. 나지막한 담장 안에 대흥사 출신 승려들의 사리를 모신, 크기와 모양이 저마다 다른 55기의 부도가 모여 있었다. 서산대사의 부도는 머리 장식인 상륜부에 정교한 용무늬가 조각되어 단연 눈에 띄었다.

부도는 승려들의 무덤과 같은 것이라는 설명에, 한국인 아내와 함께 독일에서 온 얀(Jan)이 관심을 보인다. 한국 문화에 호기심이 많은 얀은 식사 시간에도 음식의 재료와 조리법 등을 궁금해하며 이것저것 물었다. 추어탕에 생양파를 얹어 먹을 만큼 매운 음식도 거뜬하게 즐겨서 우리 일행을 놀라게 하기도 했다.

정사각형의 커다란 현판이 달린 대웅보전 앞마당에서 잠시 자유 시간이 주어졌다. 천천히 둘러보고 있는데 웬 중년 여성이 다가와 대웅보전 해설사를 자청해 이런저런 설명을 들려준다. 대웅전 맞은편 이 층 누각 안에는 법고, 목어, 운판, 범종 등 네 가지 물건(사물, 四物)이 보관되어 있는데 각각 땅 위에 사는 축생, 물속에 사는 중생, 하늘을 나는 중생, 종국에는 우주의 모든 중생까지 제도한다는 의미가 있다고 한다.

대흥사 신도라는 그녀는 설명 도중 계속해서 몰려드는 관광객을 바라보며 씁쓸한 표정을 짓기도 했다. 대흥사가 예전에는 이렇게 건물이 많지 않았는데, 최근 들어 새로 지은 건물 숫자가 늘어서 경관이 답답해졌다는 것이다. 사람이 몰려들고 물자가 모여드니 자연스레 빚어진 현상인지도 모른다. 땅끝마을 해남의 천년 고찰도 자본에 의한 변화라는 시대의 흐름을 비껴가지 못하는 모습을 보며 많은 생각이 들었다.

 500년 된 느티나무 두 그루의 뿌리가 서로 연결된 대흥사 연리근.
500년 된 느티나무 두 그루의 뿌리가 서로 연결된 대흥사 연리근. ⓒ 한승훈

천년 고찰에 깃든 자본의 숨결

김광수 시인을 따라 계속 걸으며 유명한 대흥사 연리근을 만났다. 500년 된 느티나무 두 그루의 뿌리가 서로 연결돼 하나의 울창한 나무로 자라고 있었다. 바로 옆에는 연리근의 기운을 받아 지극한 소망을 이루고자 하는 사람들이 달아둔 종이 등과 소원지가 바람에 나부낀다.

그 모습이 대웅전 옆에서 본 윤장대를 떠올리게 했다. 글을 모르는 사람도 한 바퀴 돌리기만 하면 불경을 한번 읽은 걸로 친다는 윤장대. 진심을 다해 소망을 비는 중생들의 그 발원이 나는 어쩐지 한없이 애틋하게만 느껴졌다.

정조가 현판 글씨를 직접 썼다고 해서 어서각(御書閣)이라는 이름이 붙은 표충사를 돌아보고 나오는데 길동무들이 풀밭 위에 옹기종기 모여 앉았다. 알고 보니 네잎클로버를 찾는 것이다. 세상에, 그곳은 그야말로 네잎클로버 밭이었다.

행운의 여신이 부처님께 잠시 양해를 구하고 이곳에만 축복의 집중포화를 내린 것인가. 클로버 두세 포기 중 하나는 네잎클로버였다. 마음 따뜻한 길동무들은 두 손 가득 수확한 네잎클로버를 일행들에게 기꺼이 나누어주었다. 1박 2일을 함께한 다정한 동무들의 행운을 빌며.

 네잎클로버 밭에서 수확 작업하는 길동무들
네잎클로버 밭에서 수확 작업하는 길동무들 ⓒ 임은경

올해로 3년째를 맞는 '길동무 문학예술산책'은 김판수, 염무웅 공동이사장이 설립한 익천문화재단 길동무의 여러 사회사업 중 하나이다. 익천문화재단 길동무는 청년 작가를 양성하는 길동무 문학학교, 우리와 세계를 둘러싼 현실에 대해 배우는 길동무 인문학당을 비롯해 오늘날 한국의 사회 현실에 대한 르포 및 출판 작업 등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이번 <김남주 시인 30주기 문학제>에 참가한 길동무들은 전날 해남문화예술회관에서 열린 <김남주 시인 30주기 기념 국제 학술 심포지엄>과 김남주 시인의 삶과 사랑을 다룬 총체 시극 <은박지에 새긴 사랑>을 관람했고, 이날 대흥사 답사 후 김남주 시인 생가에서 열린 <김남주 30주기 청년문학제>에 참석해 뜻깊은 시간을 가졌다.

#익천문화재단#길동무문학예술산책#해남대흥사#김남주30주기문학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대다수 사람들을 무의식적인 소비의 노예로 만드는 산업화된 시스템에 휩쓸리지 않는 깨어있는 삶을 꿈꿉니다. 민중의소리, 월간 말 기자, 농정신문 객원기자, 국제슬로푸드한국위원회 국제팀장으로 일했고 현재 계간지 선구자(김상진기념사업회 발행) 편집장, 식량닷컴 객원기자로 일하며 글을 쓰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