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 유끼미술관장 진주멧사발
ⓒ 유끼미술관
앞의 기사에서 우리나라는 제기를 아주 신성시 여겼고, 그 제기는 (1)청동기와 유기(놋쇠)의 형태나 문양, 장식을 흉내내었고 (2)문양이나 장식이 없으면 굽을 높게 만들었으며 (3)굽이 높지 않으면 굽에 홈을 파거나 (4)청동기의 요철문양을 단순화시켜 물레선으로 제기임을 나타내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제부터는 진주사발과 제기의 연관성을 설명해 보겠습니다.

일본에서는 진주사발을 이도자완(井戶茶碗)이라고 부른다는 것을 앞서 언급했습니다. 그러나 이도자완이 명품이 되기 위해서는 사발의 형태, 색깔, 굽 깎기 등에서 반드시 갖추어야 할 ‘약속’이 있습니다. 이‘약속’에 조금이라도 위배되면 보통 일본인이 이도다완이라 부르는 명품 이도다완보다는 한 차원 격이 떨어지게 됩니다.


관련
기사
일본 국보사발은 왜 조선의 제기인가?

필자는 일본에서 주장하는 이도(井戶)의‘약속’을 통해 일본에 있는 명품 진주사발이 ‘제기’였음을 밝히고자 합니다.

진주멧사발(井戶茶碗)의 굽을 분석해보면 일본인이 대이도자완(大井戶茶碗)이라 부르는 진주사발의 첫번째 약속은 형태가 이도(井戶)형이라는 것입니다. 형태가 이도형이라는 것은 굽이 좁고 높으며, 몸체의 아랫부분에서 굽 부분까지 급격하게 깎아 내린 형태를 말합니다.

▲ 진주멧사발
ⓒ 본문참조
오른쪽의 그림은 진주부근에서 빚어진 진주멧사발들입니다. 대이도자완(大井戶茶碗)이라는 분류명을 가진 이들도 일본에서 가장 유명한 진주사발들입니다. 필자는 진주사발 중 대이도자완이라 불리는 사발을 진주멧사발이라 부릅니다. 진주멧사발이라는 분류명은 제사를 지낼 때 멧사발로 쓰여진 제기였기 때문에 부쳐진 이름입니다. 진주사발의 이름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하겠습니다.

위 사진 속의 사발들은 임진왜란 전 조선의 가치 없는 밥공기였다고 일본에서는 알려져 있습니다. 한국 또한 막사발이라 부르고 있습니다. 굽을 보십시오. 좁고 높습니다. 이 사발에 밥을 가득 담아서 숟가락으로 떠먹는다면 그릇이 엎어지지 않겠습니까?

이 사발을 빚은 조선의 사기장들은 그 당시에는 세계 최고의 도자기 기술자였습니다. 그렇다면 밥공기의 굽을 이처럼 좁고 높게 만들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 조선에서 식기였으나 일본에서 명품이 된 우리사발
ⓒ 본문참조
오른쪽의 사진은 임진왜란 전 우리 조선의 지방 가마에서 밥공기로 빚어져서 일본으로 건너가 찻 사발로 전용 된 찻 사발입니다. 굽을 보십시오. 굽이 낮고 넓지 않습니까?

필자의 눈에는 이것들은 밥공기였던 것으로 보입니다. 물론 밥공기라 해서 위대한 조선 사발의 미학을 무시하는 것은 아닙니다. 필자는 단지 우리 조상이 빚은 사발의 용도를 정확히 밝히고 싶을 뿐입니다.

위의 그림에서 일본으로 건너가서 명품이 된 진주멧사발은 진주지방의 민가용 제기였기 때문에 굽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의 제기는 제사 때만 사용되던 신성한 물건이었지 평상시에 사용되는 사발이 절대 아니었습니다.

임진왜란 전에는 민가에서는 궁중이나 향교만큼 완벽한 제기형태를 갖추지는 못하였어도 굽을 높게 하여 나름대로 제기임을 나타냈습니다.

만약 진주멧사발이 식기였다면…

▲ 식기는 겹쳐서 여러개를 한꺼번에 구운것을 알 수 있다.
ⓒ 인터넷 발췌
사진과 같이 조선시대에는 사발을 구워 내기 위하여 사발과 사발 굽 사이에 눈을 붙였습니다. 이것을 눈박이 또는 부정이라 부릅니다.

그릇이 완성 된 후에 부정 3∼4개를 놓아 사발을 겹쳐 구워 낸 후에 이것을 때어 냅니다. 이처럼 식기는 여러 개 포개 넣어 구워냅니다. 그러나 진주멧사발은 굽이 높고 좁습니다. 굽이 높고 좁은 것은 옆의 사진과 같이 많이 포갤 수 없습니다.

진주멧사발이 만약 식기였다면 대량 생산을 위해서 많이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찾았지 이처럼 굽을 좁고 높게 만들진 않았을 것입니다.

진주멧사발의 굽이 좁고 높은 것은 진주부근의 민가에서 빚어진 제기였기 때문입니다. 결론적으로 일본에서 말하는 이도자완의 약속중의 하나인‘높고 좁은 굽’은 진주부근의 민가용 제기인‘진주멧사발의 약속’중 하나였다는 것이 필자의 주장입니다.

▲ 비파나무의 노란색 열매
ⓒ 인터넷 발췌
진주사발 약속 중 하나인 비파색의 숨은 뜻은

태토의 발색이 노르스름한 것이 비파라는 과일과 닮았다해서 일본에서는 이 사발의 색깔을 비파색이라 부르고 있습니다. 사람의 피부를 닮았다 하여 살색이라 하기도 합니다. (현재 살색이란 용어는 사용하지 않으나 설명을 위해 사용)

진주사발의 가장 큰 약속 중 하나가 바로 이 노란색을 뜻합니다. 또 일본에서 청이도(靑井戶)라하여 푸른 것도 있으나 노란색 바탕 위에 푸른빛이 감도는 진주보시기 사발을 말합니다.

일본의 미학자나 한국의 일부 전문가들은 진주사발의 노란색은 가마 속에서 신의 도움으로 아주 어려운 확률로 노란색을 띠게 되었고, 그 아름다움에 의해 국보가 되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더러 있습니다. 그리고 진주사발의 노란색을 비파색이라 말하며 신이 도와 우연히 나타난 찻 사발의 발색이라고 주장합니다. 필자의 생각은 정반대입니다.

조선에서 제기로 가장 많이 사용한 것은 금색처럼 노랗게 빛나는 노란색 유기(놋쇠)입니다.
조선 초기에 유기는 아주 귀한 것이었습니다. 또한 궁궐에서는 제기로 유기(놋쇠)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습니다.

유기(놋쇠)를 전국적으로 누구든지 사용할 수 있었던 시기는 임진왜란 후인 조선 중기 이후부터입니다. 진주사발은 임진왜란 전 유기가 아주 비쌀 때 나온 사발입니다.

민가에서는 궁중이나 사대부가에서 쓰는 유기(놋쇠)를 구하기 힘들었기 때문에 유기의 노란색을 흉내내려고 노력하였을 것입니다.

이 결과로 인해 태어난 노란색을 띤 제기용 진주사발들이 지금도 대부분 일본에서 명품 찻 사발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진주사발의 노란색은 조선사기장이 인위적으로 불 때기(산화불)와 쟁임을 통해 나온 때깔입니다. 결코, 우연히 나온 것이 아닙니다. (도자기는 불을 땔 때 여러 기법이 있습니다. 사기 장들은 불 때는 기법을 이용해 도자기의 때깔(색깔)을 결정합니다. 예를 들면 노란색의 진주사발은 산화불이며, 청색의 진주사발은 환원불입니다.)

결론은 일본인들이 비파색이라 부르며, 이도자완의 가장 큰 약속이라는 진주사발의 노란색은 우연히 나온 색이 아니라 유기의 노란색을 표현하기 위해 쟁임과 불 때기를 통해서 치밀하게 계산 된 조선사기장의 창조적인 예술 행위라고 생각합니다.

아래의 사진은 우리 한반도의 유기로 된 제기 입니다.

▲ 임금님이 사용했던 궁중제기
ⓒ 궁중유물관
궁중제기의 약 90%가 유기(놋쇠)로 제작되었습니다. 진주사발의 노란색은 무위를 통한 자연색이라고 일본인은 말합니다만, 그것은 진실이 아닙니다.

앞에서 언급했지만, 조선 사기 장들이 노란색 제기를 빚기 위한 노력의 결과입니다. 일본에서 전해 내려온 조선사발 중에서 주문품을 제외하고는 가장 많은 수가 노란색을 띠는 진주사발 입니다.

이것은 진주사발이 우연히 노란 비파색을 띠었다는 논리가 맞지 않음을 증명합니다. 진주사발의 옛 고요지에 가서 사금파리를 보면 누구든지 알 수 있는 사실입니다. 대개는 환원불을 받아 푸른빛을 띠는 사금파리가 많습니다.

산화불을 받은 노란 때깔의 사금파리는 그 수가 아주 적습니다. 이유는 노란빛을 표현해야 되는 제기용 사발보다는 식기용 사발을 옛 가마터에서는 많이 만들었다는 것을 뜻합니다.

그럼으로 해서 일본으로 건너가 명품이 된 진주사발들은 임진왜란 전 조선시대에도 아주 수가 적고 만들기 또한 어려웠던 제기용 사발이었습니다. 물론 전부 다는 아닙니다. 그 당시 일본인들은 조선의 제기와 밥사발을 정확히 구별하기 힘들었습니다. 아주 극소수지만 그래서 명품 반열에 오른 식기도 있습니다.

만약 일본에 있는 명품 진주사발이 식기였다면…

진주사발은 중성불로 때다가 일정한 시점에 도달하면 산화불로 바꿔 만들어 진 것이라고 앞서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산화불로 땐 사발은 식기로는 부적합 한 경우가 많습니다. 왜냐하면 강도가 약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 사발을 찻사발로 사용 할 때는 딱딱하지 않으면서 부드러운 느낌을 줍니다. 다음에는 진주사발만이 가진 형태적인 특징을 분석하여 조선의 제기임을 설명하겠습니다.

덧붙이는 글 | 저는 도자기에 묻어 있는 일본 잔재를 청산하기 위해 '우리 옛그릇 이름 되찾기 운동'을 하고 있습니다. 일본학자가 왜곡한 우리 도자사를 바로잡을 뿐 아니라 미학자들이 왜곡한 도자기의 본질을 사기장인 제가 바로잡기 위해 노력하며 책을 쓰고 있습니다.


태그:
댓글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5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