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NGO, 서울 중심주의를 벗자"

'동서화합을 위한 광역 광양만권 NGO 한마당' 열려

등록 2002.08.26 17:51수정 2002.08.27 10:06
0
원고료로 응원
a

이번 행사에는 60여 시민단체가 참여했으며, 서울 중심주의와 지역주의를 극복하는 자생적 모델을 찾기 위한 심도있는 토론이 이어졌다. ⓒ 조경국

전남 동부와 경남 서부를 아우르는 광역 광양만권 시민단체들이 지역주의를 극복하고 서울중심주의를 벗어나 자생적 모델을 찾기 위한 노력에 나섰다.

지난 24일부터 25일까지 이틀 동안 '전남동부와 경남서부의 동서화합을 위한 광역 광양만권 NGO 한마당'이 전남 6개 지역(여수, 순천, 광양, 구례, 보상, 고흥)과 경남 4개 지역(진주, 하동, 남해, 사천)의 60여 시민단체가 참가한 가운데 광양제철소 백운산 휴양림에서 열렸다.

24일에는 '서울 중심주의'와 '지역의 혁신과 NGO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김윤상(경북대) 교수와 오재일(전남대) 교수가 각각 강연을 했으며, 지역 현안에 대한 시민단체 참가자들의 열띤 토론이 이어졌다. 25일에는 광양 컨테이너 부두와 광양제철소를 방문했다.

강용재 광양참여연대 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완전한 지방분권화 실현과 지역적 특성이 십분 발휘되는 자주적이고 창조적인 지방자치는 단순한 정치적 구호가 아니라 지역소외를 극복하는 유일한 방안"이라고 강조했다.

또 "지역간 연합을 모색하고 자기 지역에 맞는 지방자치를 실현시키기 위해 이런 자리를 통해 시민단체들의 고민과 힘겨움을 서로 보태고 나눠, 독자적인 지방문화를 일궈내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강연에 나선 김윤상 교수는 "서울 중심주의는 '중앙' 언론에 의해 강화, 고착화된다"며 "언론은 서울의 소식을 전하기보다 지역의 소식을 전하는 데 앞장서야만 서울 중심주의를 벗어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인재가 서울로 집중되고 있는 현실에 대해 "인재가 서울로 몰려가는 현상을 완화시키려면 우리나라 어느 지역에 거주하던 기회를 동등하게 누리도록 해야 한다"며 "장관 지방할당제, 국회의원 공천 지방할당제, 대학입시에서의 지역할당제 등 제도를 도입하는 것도 서울 중심주의를 벗어날 수 있는 방법"이라고 밝혔다.

오재일 교수는 "지방혁신을 위해서는 NGO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전제한 뒤, "NGO 활동을 하고자 하는 사람은 무엇보다 'NGO 활동을 할 각오'를 다져야 하며 혼자서라도 끝까지 할 수 있는 용기를 가져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NGO는 책임성을 가지고 시민의 지지 속에서 시민과 함께 가야하며, 지방정부와는 경쟁적 관계나 의존적 관계가 아닌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상호보완적 관계가 돼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행사에 참여한 김충석 여수시장은 24일 "현재 상해, 모스코바, 여수가 경합을 벌이고 있는 2010년 세계 박람회 유치를 위해 NGO도 함께 노력해줄 것"을 당부했다.

한마당에 참가한 경남서부·전남동부 시민단체들은 결의문을 통해 "친환경적인 박람회 개최가 국가와 기업의 환경정책 및 제도 변화를 통해 환경문제 해결에 절대적인 기여를 할 분기점이 될 것"이라며 "세계 박람회 여수 유치를 적극적으로 지지한다"고 밝혔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제발 하지 마시라...1년 반 만에 1억을 날렸다
  2. 2 아파트 놀이터 삼킨 파도... 강원 바다에서 벌어지는 일
  3. 3 나의 60대에는 그 무엇보다 이걸 원한다
  4. 4 이성계가 심었다는 나무, 어머어마하구나
  5. 5 시화호에 등장한 '이것', 자전거 라이더가 극찬을 보냈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