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아이를 사랑하거든

과연 요즘 아이들 잘 길러지고 있나?

등록 2008.08.24 15:16수정 2008.08.24 15:16
0
원고료로 응원

요즘 아이들, 누구 하나 가릴 것 없이 예쁘고, 덩치도 크며, 잘 생겼다. 물론 좋은 옷 입고, 먹을거리 좋은 까닭이겠지만, 어눌했던 예전의 아이들과 달리 얼굴 표정이 똘똘하다. 때론 행동이 재빨라서 오히려 버르장머리 없어 보이기도 한다.

 

분명 요즘 아이들은 예전 아이들보다 입는 것, 먹는 것이 풍부해서 대접받고 자란다. 부모 세대들은 어렸을 때 받지 못했던 물질적 사랑을 현재의 자식에게 무한히 베풂으로써 대리 만족하려는 보상 심리를 갖고 있다. 그래서 내 자식만을 더 위하고, 잘 키우겠다는 마음이 앞선다.

 

그러나 아이들이 노는 모습을 지켜보면 걱정된다. 과연 요즘 아이들이 잘 길러지고 있나? 막연한 불안감마저 든다. 애어른들만 보이고 정작 아이다운 순진함이 덜하다. 분명 요즘 아이들, 좋은 환경에 잘 먹어서 외모는 나아졌다. 그러나 황폐한 각종 사회적 갈등 상황에 노출되어 있어 정서적으로 불안정하며, 버르장머리가 없어졌다.

 

그렇다고 요새 엄마들이 아이를 잘못 길렀다는 얘기는 아니다. 근데도 영양이 좋아서 몸집이 큰 아이들에게 학원을 챙겨주고, 책이나 텔레비전 프로, 인터넷, 컴퓨터 게임까지 일일이 신경 써서 따지려면 부모 노릇이 쉽지 않다. 이미 그러한 것들은 부모들의 선택 범주에서 떠나 버렸기 때문이다. 그러니 아이들이 덩치만 컸지 예전 아이들에 비해 정서가 메말랐다.

 

사랑 받는 아이가 다시 남을 사랑할 수 있다. 그러나 사랑이 함부로 넘쳐서는 안 된다. 함부로 넘쳐나는 사랑은 모자라는 사랑보다 좋을 게 없다. 청소년들이 탈선하거나 범죄를 짓는 것이 헐벗고 굶주려서 그러는 게 아니다. 빗나간 사랑, 함부로 쏟아 붓는 고슴도치 사랑 때문이다.

 

아이들은 너무 따지고, 닦달하며, 신경 써주는 피곤한 사랑보다는 본능적으로, 저절로 우러나는 포근한 사랑을 좋아한다. 그런 사랑이라면 마음껏 쏟아주어야 한다. 그러나 사랑은 넘쳐서는 안 된다. 어린이는 무한한 가능성을 가진 존재다. 그렇기 때문에 그 가능성 중에서도 자신과 남을 소중하게 사랑할 수 있는 능력을 충분히 발현시켜야 한다.

 

더 이상 아이들을 버르장머리 없게 키워서는 안 된다. 피곤한 사랑보다는 포근한 사랑으로 감싸 안아야겠다. 자신과 남을 소중하게 사랑할 수 있는 떳떳하고, 아름다운 존재로 곧추세워야겠다.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다음미디어 블로거뉴스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2008.08.24 15:16 ⓒ 2008 OhmyNews
덧붙이는 글 이기사는 다음미디어 블로거뉴스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아름다운 존재 #버르장머리 #애어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박종국기자는 2000년 <경남작가>로 작품활동을 시작하여 한국작가회의회원, 수필가, 칼럼니스트로, 수필집 <제 빛깔 제 모습으로>과 <하심>을 펴냈으며, 다음블로그 '박종국의 일상이야기'를 운영하고 있으며, 현재 김해 진영중앙초등학교 교감으로, 아이들과 함께하고 생활합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100개의 눈을 가진 모래 속 은둔자', 낙동강서 대거 출몰
  2. 2 국가 수도 옮기고 1300명 이주... 이게 지금의 현실입니다
  3. 3 '삼성-엔비디아 보도'에 속지 마세요... 외신은 다릅니다
  4. 4 딸이 바꿔 놓은 우리 가족의 운명... 이보다 좋을 수 없다
  5. 5 전화, 지시, 위증, 그리고 진급... 해병 죽음에 엘리트 장군이 한 일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