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가, 가무악극으로 무대에 서다

대구 동구문화체육회관서 가무악극 '천년유향' 공연

등록 2008.12.08 10:07수정 2008.12.08 10:11
0
원고료로 응원
a

가무악극에서 단군신화의 한 장면 가무악극에서 단군신화의 내용을 다루고 있는 '천년유향' ⓒ 김용한

▲ 가무악극에서 단군신화의 한 장면 가무악극에서 단군신화의 내용을 다루고 있는 '천년유향' ⓒ 김용한

신라인들의 삶과 애환이 묻어나는 향가가 가무악극인 ‘천년유향’으로 지난 7일 대구 동구문화체육회관 대강당에서 열렸다.

 

천년 신라인들의 호연지기를 엿보고 그들의 꿈과 사랑, 애환이 묻어나는 향가가 춤, 노래, 악극으로 총집합되어 무대에 올려졌다.

 

a

신라의 향가를 소재로 한 작품 '천년유향' 중 천년유향의 한 장면. 춤과 노래가 함께 들어있는 '천년유향'. ⓒ 김용한

▲ 신라의 향가를 소재로 한 작품 '천년유향' 중 천년유향의 한 장면. 춤과 노래가 함께 들어있는 '천년유향'. ⓒ 김용한

이번 무대에서는 단군신화, 화랑들의 유람길에 벌어진 하늘의 변고(혜성이 나타남)인 혜성가에서의 선무도 형태의 화랑풍류무와 가무악들은 관객들의 시선을 끌었다.

 

이번 공연은 대구시에서 공모한 기초예술진흥공모사업에 선정된 대형기획공연의 한 장르이다. 천년유향은 이미 2008대구컬러풀축제에서 선보인 바 있는 작품으로서 새로운 공연장르와 공연. 문화예술의 시도라는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a

천년유향의 작품을 올린 한전기 총감독 역사를 지닌 우리의 향가와 신화 등을 무대에 올리고 싶다는 한전기 총감독 ⓒ 김용한

▲ 천년유향의 작품을 올린 한전기 총감독 역사를 지닌 우리의 향가와 신화 등을 무대에 올리고 싶다는 한전기 총감독 ⓒ 김용한

또 삼국유사에서의 헌화가에서의 판소리와 무대장치들은 마치 입체적인 작품을 본 듯 했다. 이외에도 불사노동요인 공덕가를 비롯해 천수대비가, 도솔가 등을 일반 대중들이 알기 쉽게 대중적인 면으로 작품의 완성도를 높였다.

 

특히, 이번 공연에서는 가(哥). 무(舞). 악(樂)의 어울림과 현대와 과거가 어우러진 작품을 한 곳에서 볼 수 있다는 것이 새로웠다.

 

이번 작품을 쓴 한전기 대표(극단 연인무대)는 “이번 소스(향가)가 뮤지컬, 연극, 만화 등 다양한 공연문화 예술의 한 형태로서 잘 활용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한 대표는 “우리 신화가 재미도 있고 역사적인 면이 있다는 것을 알아주면 좋겠고, 우리의 역사적인 자원(향가, 신화, 삼국유사 등)을 갖고 대중적인 방법으로 접근하고 싶다”는 바람을 전했다.

 

천년유향의 향가 작품을 관람했던 금수문화예술마을협의회 최재우 회장은 “향가와 같은 힘든 작업을 한 시도가 놀라웠고, 에피소드 형태로 이어진 향가 작품이 돋보였다”고 강조했다.

a

향가에 재미를 더해 준 무용적인 요소 장유경무용단의 무용적인 요소가 향가의 작품을 빛내주고 있다. ⓒ 김용한

▲ 향가에 재미를 더해 준 무용적인 요소 장유경무용단의 무용적인 요소가 향가의 작품을 빛내주고 있다. ⓒ 김용한

a

천년유향의 커튼콜 광경 신라 향가 작품인 '천년유향'의 출연진들이 커튼콜을 위해 관객들에게 화답하고 있는 광경. ⓒ 김용한

▲ 천년유향의 커튼콜 광경 신라 향가 작품인 '천년유향'의 출연진들이 커튼콜을 위해 관객들에게 화답하고 있는 광경. ⓒ 김용한

최 회장은 “관객이 향가의 작품을 팜프렛을 미리 읽지 않고는 작품이해가 어려운 만큼 향가 작품에 대한 나레이션 기법이나 옴니버스와는 달리 하나의 스토리를 갖고 끌고 가면 또 다른 묘미가 날 것 같다”고 평했다.

 

이번 공연에는 장유경무용단(대표 장유경)을 비롯해 대구컴템포러리무용단(대표 박현옥), 작품연희에는 유랑예술단(대표 임은숙), 전통예술에는 한사위예술단(대표 윤상순) 등이 참여했다. 또 퓨전연주는 이상경씨가 작곡에는 이상만(신매체 연구소장)씨가 함께했다.

 

 

 

 

덧붙이는 글 | 이번 작품을 쓴 한전기 작가이자 연출가는 2008대구축제조직위원회 기획단장과 팔공고려문화제전 총감독을 맡은 바 있다. 한전기 연출가는 현재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문화정책연구실 실장으로 일하고 있다. 

2008.12.08 10:07 ⓒ 2008 OhmyNews
덧붙이는 글 이번 작품을 쓴 한전기 작가이자 연출가는 2008대구축제조직위원회 기획단장과 팔공고려문화제전 총감독을 맡은 바 있다. 한전기 연출가는 현재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문화정책연구실 실장으로 일하고 있다. 
#천년유향 #향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모든 사람이 기자가 될 수 있다"는 말에 용기를 얻고 글을 쓰고 있습니다. 우리가 바로 이곳의 권력이며 주인입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딸이 바꿔 놓은 우리 가족의 운명... 이보다 좋을 수 없다
  2. 2 '100개 눈 은둔자' 표범장지뱀, 사는 곳에서 쫓겨난다
  3. 3 '헌법 84조' 띄운 한동훈, 오판했다
  4. 4 카자흐스탄 언론 "김 여사 동안 외모 비결은 성형"
  5. 5 최재영 목사 "난 외국인 맞다, 하지만 권익위 답변은 궤변"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