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사춘기 조절 가능" 이병주 교수 논문 화제

<엔도크리놀로지> 12월호 표지 장식..."조숙에 의한 성장장애 예방 근거 제시"

등록 2008.12.11 15:16수정 2008.12.11 15:17
0
원고료로 응원
a

울산대학교 생명과학부 이병주 교수 ⓒ 이병주

울산대학교 생명과학부 이병주 교수 ⓒ 이병주

현대문명의 영향에 의해 넘치는 정보, 과도한 영양이 불러온 때이른 사춘기로 고민하는 학생과 학부모가 많다.

 

조숙으로 뼈 성장판이 빨리 닫히고, 이에 따라 키가 더 이상 크지 않는다고 하소연하는 이들에게 기쁜 소식이 날아들었다. 국내 한 대학교수가 사춘기 조절을 통해 성장 장애를 예방하는 기초과학을 증명해 보였기 때문.

 

울산대학교 생명과학부 이병주(49·신경분자생물학 전공) 교수가 쓴 논문 '키네신 결합단백질 KAP3가 글루타메이트 신경세포에서 특이적으로 합성되어 글루타메이트의 분비를 조절함으로써 여성의 사춘기를 조절함'이 내분비학 분야 세계적 권위지 <엔도크리놀로지(Endocrinology)>에 실리면서 이 책자 2008년 12월호 표지도 장식했다.

 

논문은 뇌 시상하부에서 KAP3의 합성을 억제하면 축색돌기 말단에서 시냅스 소낭이 감소하며 글루타메이트의 분비가 억제되고, 뒤이어 생식소 자극 호르몬 분비호르몬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GnRH)' 분비가 억제돼 사춘기 개시가 지연됨을 발견한 내용을 적었다.

 

a

세계적 권위지 'Endocrinology' 2008년 12월호 표지. KAP3 단백질(그림의 녹색 부분)이 뇌 시상하부 지역의 제 3뇌실 전벽 종판기관에 집중 존재하는 생식소 자극 호르몬 분비호르몬 신경세포 말단(그림의 빨간색 부분) 근처에 존재함을 보여주는 형광 현미경 사진으로 소개됐다. ⓒ 이병주

세계적 권위지 'Endocrinology' 2008년 12월호 표지. KAP3 단백질(그림의 녹색 부분)이 뇌 시상하부 지역의 제 3뇌실 전벽 종판기관에 집중 존재하는 생식소 자극 호르몬 분비호르몬 신경세포 말단(그림의 빨간색 부분) 근처에 존재함을 보여주는 형광 현미경 사진으로 소개됐다. ⓒ 이병주

KAP3가 포유동물 뇌 시상하부의 글루타메이트 신경세포에서 특이적으로 합성되어 신경전달 물질인 글루타메이트의 분비를 조절함으로써 여성의 사춘기를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병주 교수는 기자와의 통화에서 "학생들과 10년 전부터 이 단백질을 연구해 왔고, 그 노력의 결과"라고 말했다.

 

세계적 권위지 <엔도크리놀로지>에는 이 교수의 연구 내용이 실렸고,  표지에는 KAP3 단백질이 뇌 시상하부 지역의 제 3뇌실 전벽 종판기관에 집중 존재하는 생식소 자극 호르몬 분비호르몬 신경세포 말단 근처에 존재함을 보여주는 형광 현미경 사진으로 소개됐다.

 

이 교수는 뇌 신경세포의 발생과 분화과정 조절에 관한 연구를 주로 수행하면서 지난 2000년 미국 오레곤 국립영장류연구소 서지오 오제다(Sergio R. Ojeda) 박사와의 공동연구로 사춘기 개시기작에 대한 총설을 내분비학 분야 대표적 리뷰저널인 <Recent Prog Hor Res>에 발표하는 등 국내 몇 안 되는 사춘기 개시기전 연구자로 알려졌다.

이 교수에 따르면 인간을 포함한 포유동물의 사춘기 개시는 곧 유아에서 성체로 발생을 완성하는 단계다. 여성이 사춘기에 이르면 초경이 시작되고 최초의 배란이 일어나는데, 사춘기 개시를 촉발하는 신호로서 뇌 시상하부 신경내분비 세포에서 생식소 자극 호르몬 분비호르몬이 분비돼 뇌하수체 전엽에서 생식소 자극 호르몬의 분비를 촉진한다는 것.

 

또 생식소 자극 호르몬은 난소를 자극해 난포성숙과 배란, 성호르몬의 합성과 분비 등 일련의 변화를 유도함으로써 사춘기를 시작하게 한다고 한다.

 

이 교수는 '남자도 사춘기 조절이 가능하냐'는 기자의 질문에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지만 남자에 대한 연구는 더 이상 하지 않고 여타 학자들의 몫으로 남길 것"이라며 "이제 학자들이 이 근거를 바탕으로 임상실험 등을 통해 조숙에 따른 성장장애 해결을 현실화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참고 사항

1. 키네신(kinesin): 신경세포에서 축색말단을 향한 물질수송을 담당하는 수송단백질이며, KAP3는 다수의 키네신 단백질 종류들 중에서 키네신2와 결합하는 단백질로 뇌 신경세포에서 주로 합성된다. KAP3는 키네신2와 시냅스 소낭 사이에 결합해 키네신2와 시냅스 소낭 사이의 결합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축색돌기: 신경세포의 두 가지 돌기 가운데 흥분을 원심적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3. 시냅스(Synapse): 신경과 신경 사이의 공간에 위치. 한 신경 단위(뉴런)의 축삭말단이 다른 뉴런의 수상돌기나 세포 체와 만나는데 이러한 만남을 뜻한다.

 

4. 뉴런(neuron): 신경 단위

 

5. Endocrinology는 국제내분비학회(Endocrine Society)에서 1960년대부터 1달에 1권씩 발행하는 호르몬 연구 분야를 대표하는 학회지. 호르몬과 관련된 대사, 생리 등에 관한 논문을 주 대상으로 하며, 이 분야에서 가장 권위 있는 국제 학술지이다.

 

6. 논문 원제: Kinesin superfamily-associated protein 3 is preferentially expressed in glutamatergic neurons and contributes to the excitatory control of female puberty.

덧붙이는 글 이기사는 <시사울산>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성장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울산지역 일간지 노조위원장을 지냄. 2005년 인터넷신문 <시사울산> 창간과 동시에 <오마이뉴스> 시민기자 활동 시작.

AD

AD

AD

인기기사

  1. 1 "아이 어휘력이 떨어져요"... 예상치 못한 교사의 말
  2. 2 한국인들만 모르는, 외국인들에게 소름 돋는 '어메이징 코리아'
  3. 3 그가 입을 열까 불안? 황당한 윤석열표 장성 인사
  4. 4 7세 아들이 김밥 앞에서 코 막은 사연
  5. 5 참전용사 선창에 후배해병들 화답 "윤석열 거부권? 사생결단낸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