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성남시장 후보 경선, '불공정 논란'으로 파행?

경선일정 확정 하루만에 예비후보 간 난타전... 모두 경선 불참 등 행동 시사

등록 2010.04.06 20:28수정 2010.04.06 20:28
0
원고료로 응원

민주당 성남시장 후보 경선이 '불공정 논란' 속에서 파행으로 치닫고 있다. 논란의 원인은 경선 방식보단 경선 일정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민주당의 기초·광역단체장 경선일정에 따르면 성남시장 후보는 오는 10일 시민공천배심원제(배심원 50% + 전당원여론조사 50%)로 선출키로 돼 있다. 성남시의 경우, 예비후보들이 시민공천배심원제 적용에 모두 합의한 터라 적용 방식에 대한 후보 간의 이견은 없다. 다만, 중앙당이 나흘 밖에 안 남은 상황에 경선 일정을 확정해 각 후보 간의 입장차가 극명하게 갈리게 된 것이다.

 

지난 3월 민주당에 입당, 성남시장에 출사표를 던진 김창호 예비후보(전 국정홍보처장)이 먼저 포문을 열었다. 김 후보는 6일 오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시민공천배심원제와 당원전수조사 등 경선절차와 관련한 중요 사항들에 대해 편파적인 결정이 이뤄지고 있다"며 "오는 4월 20일까지 경선 일정을 연기할 것"을 요구했다. 또 김 후보는 자신의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는 경우 경선도 불참할 수 있다고 시사했다.

 

그는 "자신이 민주당의 경선일정 발표가 있기 전까지도 성남지역에 시민공천배심원제가 적용된다는 사실을 통보받지 못했다"고 말했다. 민주당 경기도당 공심위가 지난 3월 25일 수원·성남·고양시를 시민공천배심원 경선 지역에 추가하기로 의결했지만 중앙당 최고위 의결이 없어 적용이 확정된 것으로 볼 수 없었단 얘기였다.

 

무엇보다 김 후보는 "자신과 달리 경선상대인 이재명 후보 측은 이미 일주일 전부터 10일에 경선을 한다고 말해왔다"고 지적했다. 또 "경선상대인 이 후보는 2월 2일까지 지역위원장직(분당 갑)을 사퇴해야 하나 3월 30일에서야 사퇴하겠다고 밝힐 정도로 공정 경선을 위한 기본적인 규칙마저 지켜지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즉 이 후보 측이 지역위원장 직을 경선 방식 및 일정 확정 전까지 쥐고 있으면서 밀실에서 자신에게 유리한 쪽으로 조정했다는 얘기였다.

 

김 후보는 이어 "이런 상황에서 경선일자마저 상대후보가 일방적으로 밀실에서 결정한다면 불공정 경선이 될 것"이라며 "공정한 경선이 이뤄지기 위해 경선 세부절차에 대한 후보간 합의와 지역위원장들과의 협의가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선 일정 미리 알고 있어" VS. "이길 수 있을 때까지 경선 연기하자는 것"

 

그러나 이재명 후보는 이날 오후 반박 기자회견을 열고 "김 후보의 주장은 자신이 이길 수 있을 때까지 (경선을) 연기하자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현재 열세에 몰린 김 후보가 경선 일정이 촉박하게 잡히자 억지 주장을 펼치고 있다는 얘기였다.

 

이 후보는 "김 후보는 현재 지역활동 경험이 전무해 여론조사 인지도가 15%에 불과하나 저는 50%에 육박하고 각종 가상대결 조사에서도 저와 김 후보의 경쟁력 차이가 확연히 드러난다"며 "때가 바뀐다고 민심이 변하는 것은 아니다"고 비판했다. 

 

그는 특히 "단수추천사유에 해당하는 현격한 경쟁력 격차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김 후보의 요구를 받아들여 배심원제를 수용했다"며 "그런데도 터무니 없는 핑계를 대며 경선연기를 주장하는 것은 결코 받아들일 수 없다"고 강조했다.

 

또 "당이 당초 일정대로 경선을 치를 것을 믿는다"며 "혹여 당이 김 후보 측의 억지 주장을 받아들인다면 우리도 당의 입장을 고려치 않는 행동에 돌입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김 후보 측이 자신에 대해 제기한 의혹에 대해서도 "허위주장"이라고 강도 높게 반박했다.

 

이 후보는 "자신은 지난 5일까지도 10일 (사무실)개소식을 준비하고 있었다"며 "경선일자를 일주일 전에 알고 있었다는 것은 명백한 허위"라고 밝혔다.

 

아울러, 그는 "당무위 의결로 하남, 광주, 화성, 오산 등과 함께 성남시가 지역위원장 사퇴 의무 예외 지역이 됐지만 김 후보의 의견을 받아들여 자진 사퇴한 것"이라며 "지역위원장으로 인한 불공정 문제라면 중원구 위원장과 수정구 위원장의 공개적 지지를 받고 있는 자신에 대해선 뭐라고 변명할 것인가"라고 반문하기도 했다.

 

한편, 성남시와 함께 민주당 경기도당 공심위에 의해 시민공천배심원제 적용지역으로 추천된 수원·고양시는 지난 5일 중앙당 최고위에서 '후보 간 이견'을 이유로 시민공천배심원제 적용이 무산됐다.

2010.04.06 20:28 ⓒ 2010 OhmyNews
#성남시 #민주당 #시민공천배심원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파묘' 최민식 말이 현실로... 백두대간이 위험하다
  2. 2 도시락 가게 사장인데요, 스스로 이건 칭찬합니다
  3. 3 제주가 다 비싼 건 아니에요... 가심비 동네 맛집 8곳
  4. 4 1심 "김성태는 CEO, 신빙성 인정된다"... 이화영 '대북송금' 유죄
  5. 5 '내'가 먹는 음식이 '우리'를 죽이는 기막힌 현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