묶음표에 갇힌 한자말 (58) 귀천(歸天)

[우리 말에 마음쓰기 913] 하늘마실, 하늘부름, 하늘로 돌아감, 죽음

등록 2010.05.12 19:43수정 2010.05.12 19:43
0
원고료로 응원

 

- 귀천(歸天)

 

.. 책과 그 안에 들어앉은 글은 태어난 그 순간부터 사람 위에 있다가 죽어서도 땅에 묻히지 않고 그 영혼이 하늘로 올라가 귀천歸天한다 ..  <윤성근-이상한 나라의 헌책방>(이매진,2009) 53쪽

 

"책과 그 안에 들어앉은 글"은 "책과 책에 들어앉은 글"이나 "책과 글"로 고쳐써야 올바릅니다. "태어난 그 순간(瞬間)부터"는 "태어난 그때부터"나 "태어난 때부터"로 손질하고, "그 영혼(靈魂)이"는 "넋이"로 손질해 줍니다.

 

이 보기글을 보면 '그'라는 대이름씨를 세 차례 쓰고 있습니다. 오늘날 퍽 많은 사람들이 글을 쓰면서 '그'라는 대이름씨를 아무 자리에나 넣고 있는 모습을 잘 보여준다 할 텐데, '그'를 넣어야 할 자리에는 넣어야 합니다만, 엉뚱한 자리에 얄궂게 넣어서는 안 될 말입니다.

 

이 보기글 첫머리는 "책과 글은 태어난 때부터"로 다듬으면 넉넉합니다. 그저 단출하고 홀가분하게 적바림하면 되는 글입니다. 무언가 더 이야기하고 싶어 이처럼 꾸밈말을 곳곳에 붙일 수 있는 노릇이지만, 애먼 꾸밈말이란 글쓴이 속내하고 엇나가기 일쑤입니다. 가벼우면서 쉽게 쓰고, 맑으면서 알맞게 쓰도록 스스로 가다듬을 수 있어야 합니다.

 

 ┌ 귀천(歸天) : 넋이 하늘로 돌아간다는 뜻으로, 사람의 죽음을 이르는 말

 │

 ├ 하늘로 올라가 귀천歸天한다

 │→ 하늘로 올라간다

 │→ 하늘로 돌아간다

 └ …

 

"하늘로 돌아간다"를 뜻하는 한자말 '귀천'입니다. 시인 천상병 님이 당신 시에 이 말마디를 쓴 뒤부터 사람들이 이 말마디를 퍽 즐겨쓰고 있습니다. 곰곰이 생각하면 '귀천'도 한 마디이지만 "하늘로 돌아간다" 또한 한 마디입니다. 글자수로 본다면 '귀천'은 둘이고 "하늘로 돌아간다"는 일곱이라 할 텐데, 두 말마디를 읽거나 듣는 결에서는 둘 모두 한 마디입니다.

 

한자말 '식사'도 한 마디이고, 우리 말 "밥을 먹다" 또한 한 마디입니다. 한자말 '촬영'도 한 마디이며, 우리 말 "사진을 찍다" 또한 한 마디입니다.

 

말마디란 글자수로 헤아릴 때가 있으며, 글자수 아닌 말흐름에 따른 결로 살필 때가 있습니다. 굳이 한 낱말로만 못박아야 한다면 우리는 우리 말흐름과 말결을 돌아보면서 한 낱말을 새롭게 지으면 됩니다. 여느 자리에서는 "밥을 먹다"와 "사진을 찍다"라 말하고, 애써 한 낱말로만 써야 하는 자리에서는 '밥먹기'와 '사진찍기'처럼 한 낱말로 추스르면 됩니다. 이런 흐름에 따라 '글쓰기'나 '말하기' 같은 말이 태어납니다. '세기-빠르기-묽기-크기-높이' 같은 낱말들은 모두 이러한 흐름을 따르며 태어났습니다.

 

 ┌ 하늘가기 / 하늘오름

 ├ 하늘마실 / 하늘나들이

 ├ 하늘길 / 하늘부름

 └ …

 

"하늘로 돌아간다"를 뜻하는 한자말을 쓰고 싶다면 이 한자말을 쓸 노릇입니다. 지난날 천상병 님이 시를 즐길 무렵을 생각하면, 그무렵에는 지식인이고 글쟁이이고 한문이나 한문 투 말마디를 즐겼습니다. 이 흐름은 오늘날에도 꽤 남아 있습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한결 부드러우며 손쉽고 해맑은 우리 말로 넉넉하게 문학을 즐기고 생각을 나눌 수 있음을 깨닫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예전에는 "하늘로 돌아간다"를 있는 그대로 말하지 못했을 뿐 아니라 한 낱말로 마무르는 슬기를 뽐내지 못했다지만, 이제는 이 말마디를 그대로 즐기면서 한 낱말로 마무르는 슬기를 빛낼 수 있어요.

 

말 그대로 '하늘가기'라 하면 됩니다. '하늘오름'이라 할 수 있습니다. 느낌을 북돋우며 '하늘마실'이나 '하늘나들이'라 해 볼 수 있어요. 이런저런 말틀을 곱씹으며 이밖에 여러모로 새 낱말을 빚어도 잘 어울립니다. 생각하기 나름이고 쓰기 나름이며 살아내기 나름입니다.

 

더군다나 이 보기글을 보면 "하늘로 올라가 귀천歸天한다"로 되어 있는데, 도무지 말이 안 되는 얄궂은 겹말입니다. 그냥 "귀천한다"라고만 하든지 "하늘로 올라간다"라고만 해야 합니다. 아무렇게나 글을 쓰면서, 엉터리로 글을 쓰면서, 되는 대로 글을 쓰면서, 우리들이 어떻게 서로서로 깊거나 너른 생각을 나눌 수 있겠습니까. 글자랑 말치레를 하면서 어찌 '하늘오름'을 할 수 있겠습니까.

 

우리는 돈이나 물질이나 힘이나 권력이나 이름값이나 명예나 고스란히 내려놓을 줄 알아야 하늘가기를 할 수 있습니다. 하늘마실이란 새털처럼 가벼운 매무새로 할 수 있습니다. 하늘나들이란 솜털처럼 보드라우며 가뿐한 몸가짐으로 할 수 있습니다.

 

저잣거리 장사꾼 아저씨 아주머니하고도 웃으며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말투를 되찾아야 합니다. 아니, 예닐곱 살 어린이하고 즐거이 생각을 주고받을 수 있는 글투를 헤아려야 합니다. 되찾는다기보다 생각해야 할 노릇이고, 찾아내야 한다기보다 느끼고 받아들여야 합니다.

 

한자도 알고 영어도 알고 중국말이나 일본말도 안다 하여 지식이 더 뛰어나거나 대단한 사람이 아닙니다. 글을 쓰거나 말을 할 때에 온갖 바깥말을 뒤섞을 수 있다 해서 생각이 더 깊거나 거룩한 사람이 아닙니다. 우리가 글을 쓰거나 말을 하는 이 나라 이 땅을 돌아보아야 합니다. 이 나라 이 땅에서 어느 자리에서 어떻게 살아가는 사람들과 어우러지고자 하는 글이거나 말인지를 살펴보아야 합니다. 내 말과 내 글은 어떤 사람한테 스며들거나 다가서는 말과 글인지를 톺아보고 깨달아야 합니다.

덧붙이는 글 | - 글쓴이 누리집이 있습니다.
[우리 말과 헌책방 이야기] http://cafe.naver.com/hbooks
[인천 골목길 사진 찍기] http://cafe.naver.com/ingol

- 글쓴이가 쓴 ‘우리 말 이야기’ 책으로,
<생각하는 글쓰기>(호미,2009)가 있고,
<우리 말과 헌책방>(그물코)이라는 1인잡지가 있습니다.

2010.05.12 19:43 ⓒ 2010 OhmyNews
덧붙이는 글 - 글쓴이 누리집이 있습니다.
[우리 말과 헌책방 이야기] http://cafe.naver.com/hbooks
[인천 골목길 사진 찍기] http://cafe.naver.com/ingol

- 글쓴이가 쓴 ‘우리 말 이야기’ 책으로,
<생각하는 글쓰기>(호미,2009)가 있고,
<우리 말과 헌책방>(그물코)이라는 1인잡지가 있습니다.
#묶음표 한자말 #한자 #우리말 #한글 #국어순화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새로 쓴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를 꾸린다. 《쉬운 말이 평화》《책숲마실》《이오덕 마음 읽기》《우리말 동시 사전》《겹말 꾸러미 사전》《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비슷한말 꾸러미 사전》《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숲에서 살려낸 우리말》《읽는 우리말 사전 1, 2, 3》을 썼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딸이 바꿔 놓은 우리 가족의 운명... 이보다 좋을 수 없다
  2. 2 '100개 눈 은둔자' 표범장지뱀, 사는 곳에서 쫓겨난다
  3. 3 '헌법 84조' 띄운 한동훈, 오판했다
  4. 4 카자흐스탄 언론 "김 여사 동안 외모 비결은 성형"
  5. 5 최재영 목사 "난 외국인 맞다, 하지만 권익위 답변은 궤변"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