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만행으로 인해 훼손된 보물 현각선사탑비

보물 제152호 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를 찾아가다

등록 2010.11.08 11:27수정 2010.11.08 13:08
0
원고료로 응원
a

현각선사탑비 보물 제152호 현각선사탑비. 구례 연곡사 경내에 소재한다 ⓒ 하주성

▲ 현각선사탑비 보물 제152호 현각선사탑비. 구례 연곡사 경내에 소재한다 ⓒ 하주성

고려 경종 4년인 979년에 조형되었으니, 벌써 천년 세월을 그 자리를 지키고 있다. 전남 구례군 토지면 내동리 산54-1 연곡사 경내에 세워진 보물 제152호인 현각선사탑비. 임진왜란 때 몸돌인 비는 파손되고 현재는 받침돌인 귀부와 머릿돌인 이수만이 남아 있다. 고려 전기의 승려인 현각선사를 기리기 위해 세워진 탑비이다.

 

사라진 비의 몸돌에는 현각선사의 일대기를 적었는데, 비문은 학사 왕융이 짓고, 장신원이 글을 썼다고 한다. 비는 임진왜란 때 화재로 손상을 입은 것이 풍화로 파손이 되고, 그 뒤에는 구한말에 의병항쟁 때 일본군의 방화와 약탈 등으로 더 손상이 된 것을, 1970년에 떨어진 조각들을 모아 붙여 놓았다고 한다. 천년 세월을 지켜 낸 비가 일제의 만행에 의해서 두 번이나 화를 당한 셈이다.

 

a

안면 커다란 눈에 바람이라도 내뿜을 듯한 콧구멍 등이 이채롭다 ⓒ 하주성

▲ 안면 커다란 눈에 바람이라도 내뿜을 듯한 콧구멍 등이 이채롭다 ⓒ 하주성

a

측면 얼굴의 측면. 용의 머리인 얼굴은 입 주위에 긴 수염이 머리 뒤편까지 늘어져 있다. ⓒ 하주성

▲ 측면 얼굴의 측면. 용의 머리인 얼굴은 입 주위에 긴 수염이 머리 뒤편까지 늘어져 있다. ⓒ 하주성

 

커다란 몸통의 현각선사 비

 

우선 현각선사탑비의 받침인 귀부를 보면 그 크기가 매우 크다는 것을 느낄 수가 있다. 일반적인 귀부보다 상당히 크다. 머릿돌인 이수에는 여덟 마리의 용이, 앞면과 뒷면에 각 네 마리씩 새겨져 있다. 이 여덟 마리의 용은 구름 속에서 화염에 싸인 여의주를 다투는 것과, 바깥쪽을 향해 있는 것으로 나뉘어 있다.

 

거북의 몸통은 귀갑문을 등에 새긴 거북이의 형상으로 네 발은 사방으로 뻗쳐 납작하게 엎드린 형상을 하고 있다. 머리는 용의 얼굴을 하고 있는데 눈방울이 부리부리하다. 눈썹은 길게 위로 뻗쳐 있으며, 입 주위에는 수염이 길게 자라 목 뒤편까지 뻗어져 끝이 모여 있다. 두 개의 커다란 콧구멍은 금방이라도 강한 바람을 뿜어 낼 듯하다.

 

a

이수 여덟 마리의 용이 조각되어 있는 이수 ⓒ 하주성

▲ 이수 여덟 마리의 용이 조각되어 있는 이수 ⓒ 하주성

a

뿔이 없는 용들은 괴이한 형태로 보인다 ⓒ 하주성

▲ 용 뿔이 없는 용들은 괴이한 형태로 보인다 ⓒ 하주성

 

이수에 조각한 여덟 마리의 용, 뿔이 없어 해괴한 모습

 

머릿돌인 이수에는 모두 여덟 마리의 용이 새겨져 있다. 서로가 여의주를 탐하기 위해 다투는 모습을 하고 있는 가운데의 용들은, 서로가 얽혀 있어 힘이 넘치는 모습이다. 발가락은 날카로운 발톱을 가진 맹금류의 발을 닮았다. 밖으로 돌출된 용들은 사실적으로 표현되었으나, 뿔이 없어 조금은 해괴한 모습이다.

 

이렇게 다양한 형태로 용들을 표현한 이수는 흔하지가 않다. 비석을 세우기 위한 몸통 위에 연결부분에는 안상과 귀꽃이 새겨져 있다. 그리고 빗물이 고이면 물이 흘러나갈 수 있도록 한 편에 배수구를 내놓았다. 이렇게 세심하게 조각을 한 현각선사탑비의 비가 몸돌이 사라졌다는 것에 아쉬움이 더한다.

 

a

용들은 사실적으로 표현을 하였으니 뿔이 없다 ⓒ 하주성

▲ 용 용들은 사실적으로 표현을 하였으니 뿔이 없다 ⓒ 하주성

a

용의 발은 발톱이 날카로운 맹금류의 발을 닮았다 ⓒ 하주성

▲ 발 용의 발은 발톱이 날카로운 맹금류의 발을 닮았다 ⓒ 하주성

두 기의 국보와 함께 연곡사의 보물 중 하나인 현각선사의 탑비. 고려 초기에 형성이 된 이 거대한 조각품이 이렇게 몸돌을 잃은 채 서 있다는 것에 대해, 새삼 우리 문화재의 아픈 과거에 대한 반성을 해본다. 전국에 이렇게 비문이 사라진 문화재가 곳곳에 수도 없이 많다는 것이 얼마나 가슴 아픈 일인가? 그런데도 아직도 알게 모르게 문화재의 훼파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사실에, 우리는 도대체 반성이라고는 할 줄을 모르는 민족이란 생각이다.

 

a

등에는 귀갑문이 표현되어 있다. 떨어진 것을 붙인 흔적이 보인다. ⓒ 하주성

▲ 등 등에는 귀갑문이 표현되어 있다. 떨어진 것을 붙인 흔적이 보인다. ⓒ 하주성

a

배수구 받침돌의 몸통 위에 비를 꽂는 부분에는 배수구를 내어 비가 손상이 되지 않게 했다. ⓒ 하주성

▲ 배수구 받침돌의 몸통 위에 비를 꽂는 부분에는 배수구를 내어 비가 손상이 되지 않게 했다. ⓒ 하주성

외침에 의해서 망가지고, 종교적인 이질감에 의해서 부수어지고, 거기다가 행정당국에 의해서 나 몰라라 식의 훼파까지 이어진다. 언제까지 말로만 떠드는 문화재보호에 문화국가임을 주절거릴 것인지. 그 끝이 보이지 않는다는 것에 가슴이 아프다.

덧붙이는 글 | 연곡사 현각선사탑비의 답사는 10월 23일에 다녀왔습니다.
이기사는 다음 뷰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2010.11.08 11:27 ⓒ 2010 OhmyNews
덧붙이는 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의 답사는 10월 23일에 다녀왔습니다.
이기사는 다음 뷰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현각선사탑비 #보물 #구례 #연곡사 #고려 초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황석영 작가 "윤 대통령, 차라리 빨리 하야해야"
  2. 2 샌디에이고에 부는 'K-아줌마' 돌풍, 심상치 않네
  3. 3 경찰서에서 고3 아들에 보낸 우편물의 전말
  4. 4 '25만원 지원' 효과? 이 나라에서 이미 효과가 검증되었다
  5. 5 "윤 대통령, 류희림 해촉하고 영수회담 때 언론탄압 사과해야"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