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운동가 정치도 못해?...<동아> '엉터리 통계'

민언련, 2월 27일자 주요 일간지 일일 모니터 브리핑

등록 2012.02.27 19:25수정 2012.02.27 20:56
0
<동아> 진보 시민단체 예비후보 비율 10배 뻥튀기

동아일보가 시민단체 출신 인사들의 정치권 진출을 부정적으로 다루는 기사를 대대적으로 내보냈다. 27일 동아일보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등록한 예비후보들의 이력을 조사했다며 1면과 3면에 관련 기사를 실었는데, 특히 진보 성향의 시민단체 출신들이 훨씬 많다면서 노골적으로 불편한 기색을 드러내고, 시민단체가 정치권으로 가기 위한 발판으로 이용되고 있다는 식의 악의적인 비난에 골몰했다.

<시민단체는 여의도행 정류장?>(동아, 1면/27일)
<감시자에서 '선수'로... 진보성향 단체 출신, 보수의 6.3배>(동아, 3면/27일)
<"정당정치 한계 보완" vs "비판견제 기능 약화">(동아, 3면/27일)

동아일보는 27일 1면 기사 <시민단체는 여의도행 정류장?>에서 "시민단체 출신 인사들이 4·11 총선을 통해 대거 정치권 진출을 꾀하고 있다"면서 "'심판' 역할을 해온 시민단체가 '선수'로 나서고 있는 것"이라 비꼬았다. 이어 "4·11 총선에 출마한 예비후보를 전수 조사한 결과 5명 중 1명꼴로 시민단체 활동 경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이 중 "상당수는 진보 성향 단체에서 활동해온 것으로 집계"됐다고 전했다.

시민단체 출신 인사들의 정치권 진출에 대해 "기성 정치권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어 줄 것"이란 기대도 있지만 '시민단체가 권력기관화하면서 정치권 진출의 디딤돌이 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면서 부정적 측면에 무게를 실었다. 기사는 "20일 현재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등록한 예비후보 1982명의 이력을 전수 조사한 결과 시민사회단체 활동 경력이 있는 후보는 모두 415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어지는 3면 기사 <감시자에서 '선수'로... 진보성향 단체 출신, 보수의 6.3배>에서는 예비후보들의 주요 이력을 바탕으로 직업군을 분석하면 '정당인 989명, 기업인 194명, 법조인 180명, 학계 170명, 공직자 80명, 언론인 58명, 시민운동가 54명'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시민단체 출신 예비후보들은 대부분 진보단체 출신이었다며 "진보단체에서 활동한 후보가 228명으로 보수단체 경력자 36명보다 6.3배 많았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동아일보 기사는 오류와 왜곡으로 가득 찬 보도이자 '진보단체 시민운동가의 국회 진출'을 매도하기 위한 악의적인 보도였다.


동아일보는 중복 집계된 수치를 이용하여 시민단체 출신의 정치권 진출 규모를 지나치게 부풀렸다. 비록 "예비후보자 한 사람이 활동했던 모든 시민단체를 대상으로 복수로 집계"했다는 단서를 달아 빠져나갈 구멍을 만들었지만 그렇다고 하더라도 그 도가 너무 심하다. 3면 기사에서 제시했듯이 예비후보 1982명 중 시민운동가는 54명으로 2.7%에 불과하고, 정당인, 기업인, 법조인, 학계, 공직자, 언론인에 이어 일곱 번째다.

그런데 1면 기사에서는 "5명 중 1명꼴로 시민단체 활동 경력", '1982명 중 시민사회단체 활동 경력 후보는 모두 415명'이라고 함으로써 마치 전체 예비후보자의 20%가 시민단체 출신인 양 서술하며 무려 10배가량 부풀렸다. 예비후보 1982명 중 54명인 시민운동가가 여러 단체를 거치는 과정에서 몸담았던 단체 수를 모두 더하면 415군데가 되는 모양인데, 이를 "1982명 중 415명"이라고 단정적으로 표현한 것은 실수라고 하기엔 지나치다. 마찬가지로 '진보단체 출신 후보가 228명으로 보수단체 출신 후보 36명보다 6.3배 많았다'는 분석도 실제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54명의 예비후보가 거친 단체 중 진보단체가 228군데, 보수단체가 36군데였던 모양인데, 이를 228명과 36명이라고 대비하는 것은 무리다. 권력을 감시하고 비판하면서 정부 차원에서 해결되지 않는 문제들을 사회적으로 제시하고 활동하는 것이 시민단체의 역할인 만큼 진보 시민단체가 훨씬 많을 수밖에 없는 것이 한국 사회의 현실이다. 그런데 이 당연한 현실을 '진보단체 출신이 정치권에 많이 간다'는 식으로 왜곡해서는 곤란하다.

제대로 기사를 쓰려면 54명 중에서 진보단체 출신이 몇 명이고 보수단체 출신이 몇 명인지 제시하는 것이 옳다. 기사에 따르면 동아일보 취재팀은 통계 자료를 이용하고 분석하는 기본 원리도 제대로 몰랐거나, 진보 시민단체를 공격하고자 의도적으로 자료를 왜곡하고 부풀렸다고밖에 생각할 수 없다.

3면 기사 <"정당정치 한계 보완" vs "비판견제 기능 약화">에서는 '시민단체 출신의 정치권 진입'에 대한 찬반 의견을 실었다. 기사는 긍정적 평가로 '지역구 중심의 기존 정당정치가 해결할 수 없었던 시민들의 욕구를 다양한 방향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긍정적 역할이 가능하다'는 것을 꼽았다. 또 '제도권 정치로 진입하는 인력풀이 넓어지는 장점'이 있고, 시민단체 출신은 '기존 정치 논리에 휘둘리지 않고 순수한 동기와 도덕적 사명감'이 있다는 점도 들었다. 반면 부정적 평가로 '시민단체가 직접 정치에 뛰어들면 권력에 대한 비판과 견제 기능이 훼손될 것'이란 우려를 실었다.

시민단체 내부에서도 "시민단체 활동이 자칫 정치권 진출을 위한 '발판' 또는 특정 정당의 '2중대'로 비치는 것을 가장 경계"하고 있다면서 "시민운동가들이 정치권으로 빠져나가면서 활동 자체가 부실해진다는 비판도 나온다"고 전했다.

물론 정치권에 진출하려는 시민운동가도 다른 예비후보와 마찬가지로 자질과 능력을 검증 받을 수 있고, 국회에 이미 들어간 시민운동가 출신 인사들에 대한 평가도 가능하다. 그러나 동아일보는 시민단체, 특히 진보 시민단체 활동가가 정치 영역으로 진출하는 것 자체를 부정적으로 보면서 경계하는 입장을 드러냈다. 또한 "시민단체 경력이 곧 정치권으로 가기 위한 '예비코스'라는 말까지 나올 정도"라고 하면서 마치 시민단체 활동을 정치인이 되기 위한 수단인 것처럼 비하했다.

시민이 정치에 참여하는 것은 당연한 권리이며 그 자체로 부정적으로 볼 이유는 없다. 또한 법조계, 학계, 언론계에서는 오랫동안 정치권에 진출해 왔고 특히 법조인 출신의 정치인은 지나치게 많다는 지적도 있는 데 비하면, 시민단체 출신의 비중은 동아일보 자료에 따르더라도 2.7%이니 아직 낮은 편이다. 더구나 각계각층의 대표자들이 국회에 진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차원에서도 다양한 영역의 시민단체에서 전문성을 쌓은 개혁적 시민운동가들의 국회 진출은 앞으로 더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동아일보는 시민단체 출신들의 정치권 진출을 부정적으로 언급하고 특히 진보 시민단체가 국회를 장악이라도 할 것처럼 겁을 주기 위해 객관적으로 제시해야 할 자료마저 부풀리고 왜곡했다. 이는 새롭고 개혁적인 세력이 정치권에 진출하는 것을 막고 구시대적 정치가 계속되기를 바라는 속내를 드러낸 것이다.

덧붙이는 글 | 이 글은 민언련 홈페이지(http://www.ccdm.or.kr)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덧붙이는 글 이 글은 민언련 홈페이지(http://www.ccdm.or.kr)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동아일보 #총선 예비후보 #시민단체 #시민운동가
댓글

민주사회의 주권자인 시민들이 언론의 진정한 주인이라는 인식 아래 회원상호 간의 단결 및 상호협력을 통해 언론민주화와 민족의 공동체적 삶의 가치구현에 앞장서 사회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는 단체입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금반지 찾아준 사람이 뽑힐 줄이야, 500분의 1 기적
  2. 2 검찰의 돌변... 특수활동비가 아킬레스건인 이유
  3. 3 '조중동 논리' 읊어대던 민주당 의원들, 왜 반성 안 하나
  4. 4 '윤석열 안방' 무너지나... 박근혜보다 안 좋은 징후
  5. 5 "미국·일본에게 '호구' 된 윤 정부... 3년 진짜 길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