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이 바라는 세상을 꿈꾸며

정약용의 '목민심서'를 읽고

등록 2013.02.16 18:18수정 2013.02.16 18:18
0
원고료로 응원
최근 연일 불거져 나오는 일부 장관 내정자들의 비리를 바라보는 국민들의 심기가 여간 불편한 것이 아니다. 철저한 인사검증에도 내정자들의 비리가 속속 들어나는 것을 보면 공무원으로서 가져야 할 기본 덕목을 망각했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

각자가 맡은 위치에서 자신의 소임을 다해야 함에도 일부 내정자의 부도덕한 행위는 도가 지나쳐 눈살을 찌푸리게 한다. 지금이야말로 이들에게 일침을 주어야 할 시기가 아닌가 싶다. 따라서 정약용의 목민심서는 이들에게 경각심을 불러 일으켜 줄 지침서가 될 것이다.

이 책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목민심서가 쓰인 당시의 시대적 배경을 알 필요가 있다. 1800년대 초반은 탐관오리들의 가렴주구(苛斂誅求)가 횡행하던 어지러운 시대였다. 임진왜란(1592∼98) 이후 군사력 증강에 국력을 기울인 결과 국가재정이 궁핍해져 사대부들에 대한 봉록(俸祿)이 박해졌다.

조선말에 이르러 관리들은 뇌물을 챙기는 등 부정부패가 더욱 심해졌다. 관직을 돈으로 사는 매관까지 횡행했다. 돈으로 관직을 산 수령들의 수탈로 백성들의 삶이 도탄에 빠진 시기였다. 조정에서는 나라를 잘 다스리는 일보다도 당파싸움에 혈안이 돼 있는 등 나라가 몰락의 길을 걷던 시기였다.

목민심서는 고금의 여러 책에서 치민에 대한 도리를 논술한 책이다. 저자인 다산 정약용은 조선 순조 시대 학자로서 실학을 대표하는 학자이다. 이 책은 저자가 순조 때 천주교 박해로 전라도 강진으로 귀양 가 있는 동안 저술한 것으로 우리나라와 중국의 역사서를 비롯한 여러 책에서 자료를 뽑아 수록하여 목민관이 여러 일을 함에 있어서의 일의 처리방법, 사람을 대할 때의 몸가짐 등을 아주 세세하게 예를 들어서 목민관의 자세를 알려주고 있다.

이를 통해 지방의 관리들의 폐해를 제거하고 지방 행정을 쇄신하려고 한 것이었다. 특히 목민심서에서 제시한 목민관의 실천윤리 중 목민관이 갖추어야할 자질과 생활신조는 우리 모두가 눈여겨 볼 대목이 아닐 수 없다.

덕망, 위신, 총명 덕망과 위신은 부정이나 비리에 연루된 적이 없고 행동거지가 발라 주민들로부터 좋은 평판과 존경을 받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총명은 학식이나 판단력이 남보다 뛰어나지만 주민이나 실무자들의 의견에도 귀를 기울여 좋은 의견을 행정에 반영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볼 수 있다.


덕망은 있으나 위신이 없거나 위신만 있고 덕망이 없는 사람은 지자체를 꾸려갈 때 부하들이 잘 따르지 않을 위험이 있다. 또 총명은 자치단체장이 진행되는 일의 잘잘못을 가려낼 수 있는 정확한 판단력의 바탕이 되므로 오늘날에도 요구되는 자질이다.

그리고 청렴과 절검, 절용과 청심 자치단체가 결정하는 지역 내의 각종 개발과 정책 방향은 이해관계에 따라 여러 가지 이권과 결부된다. 이권과 관련해 결정권자에게는 많은 유혹이 따르기 마련이다. 청렴하지 않은 결정권자는 유혹에 빠져 부정부패하기 쉬우며 사치와 낭비를 일삼는 사람은 결국 부정한 방법으로라도 재물을 탐하기 마련이다. 따라서 자치단체의 최고 정책결정권자는 절약하고 검소해야 부정의 유혹에 빠지지 않으며 올바른 정책을 펴나갈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목민심서의 중요어구인 청렴, 애민, 덕망, 충·효 등은 오늘날 고하간을 막론하고 곱씹어 보아야 할 것들이다. 목민심서는 성리학에서 다루는 인간 내적인 우주·자연의 이치 및 기운 등의 문제와 인간심성의 탐구의 범주보다는 선진유학에서 다루어 왔던 인간관계에 착안한 윤리·도덕에 비중을 두고 있다.

다시 말해 유교 사상이 소망하는 목표인 자기수양을 통해 자신의 경지를 성인의 단계까지 높이고 유교에서 오늘날에 윤리라 불리어지는 '수기'와 정치문제인 '치인'에 중점을 두고 있다는 점이다. 이와 같이 현실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상상적 근간을 유교로 두고 있으면서 기존의 성리학적 비판과 현실 비판으로 문제해결을 했다는 것이다. 이는 아래의 글에서 잘 나타난다.

청렴이란 수령이 지켜야 할 근본 요체이고, 모든 선(善)의 원천이며 모든 덕(德)의 근본이다 따라서 청렴하지 않고 능히 수령 노릇할 수 있는 자는 없을 것이다. 우리 조선에 청백리(淸白吏)로 뽑힌 자가 통틀어 110명인데, 태조(太祖) 이후에 45명, 중종(中宗) 이후에 37명, 인조(仁祖) 이후에 28명이었다. 경종(景宗) 이후로는 드디어 이렇게 뽑는 것조차 끊어지고, 나라는 더욱 가난해지고 백성을 더욱 곤궁하게 되었으니, 이 어찌 한심하지 않는가! 400여 년 동안 예복을 입고 조정에서 벼슬한 자가 거의 천명이나 만 명인데 그중에서 청백리로 뽑힌 자가 겨우 이 수에 그쳤으니 역시 사대부(士大夫)의 수치가 아니겠는가!

인사청문회를 하기도 전에 인선된 내정자의 비리를 새삼 정약용이 지은 목민심서 내용이 떠올려지는 이유는 왜일까? 무책임한 관리자와 대안 없이 비판만을 일삼는 많은 지식인들, 그리고 저마다의 자리에서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들 모두에게 다산은 본받을 만한 완벽한 이상향을 보여주고 있다. 정보화시대를 살아가는 바쁜 요즘 우리들이 조선시대 목민관을 위해 썼던 다산의 책을 읽어봐야 하는 이유가 있는 것이다.

정약용이 꿈꾸던 세상은 과연 언제쯤 이 땅에 찾아올까? 정약용이 살던 당시에도 물론이고 현재에도 청렴하지 못한 공무원들이 비일비재(非一非再)하다. '수기가 반이고 목민이 나머지 반'이라는 그의 말처럼 공무원들뿐만 아니라 일반인 모두가 고통을 느끼지 않는 그날을 위해 대책을 강구하고 실천해 간다면 정약용이 꿈꾸던 세상이 이 땅에 빨리 찾아오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정약용 #목민심서 #새 정부 인선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금반지 찾아준 사람이 뽑힐 줄이야, 500분의 1 기적
  2. 2 '윤석열 안방' 무너지나... 박근혜보다 안 좋은 징후
  3. 3 '조중동 논리' 읊어대던 민주당 의원들, 왜 반성 안 하나
  4. 4 "미국·일본에게 '호구' 된 윤 정부... 3년 진짜 길다"
  5. 5 용산에 끌려가고 이승만에게 박해받은 이순신 종손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