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대 총장, 교수협 반대성명서에 반대서명 강요"

교수협 "인권침해... 국가인권위에 제소" - 수원대 "총장 지시 아냐"

등록 2013.04.17 20:53수정 2013.04.17 20:53
0
원고료로 응원
a

4월 17일, 이원영·배재흠·이상훈 수원대교수협의회 공동대표가 수원대를 규탄하는 성명서를 낭독하고 있다. ⓒ 유혜준


수원대가 재직 교수들에게 교수협의회를 반대하는 성명서에 서명을 강요, 물의를 빚고 있다.

지난 15일, 수원대 각 단과대학장들은 긴급 학과장 회의를 소집해 '3월 19일 창립된 교수협의회를 반대한다'는 내용의 성명서에 교수들의 서명을 받아 낮 12시까지 제출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이날 지시를 받은 학과장들은 교수협의회 공동대표인 배재흠·이상훈·이원영 교수와 이날 출근하지 않은 교수를 제외한 교수들의 서명을 받았다.

교협 반대 성명서 서명과 관련, 일부 교수들은 당혹감을 느끼며 서명을 망설였으나 3인의 교수협의회 공동대표들이 '강요에 의한 서명은 법적인 효력이 없으니 안심하고 서명해도 된다'는 입장을 밝히자 서명을 했다는 주장을 하기도 했다. 교수협 공동대표들은 "교수들이 성명서 서명에 부담을 느끼지 않도록 배려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고작 2시간 반 만에 수원대에 재직하는 교수 대부분이 성명서에 서명한 것에 대해 이들 공동대표들은 "수원대에서만 가능한 일"이라며 "학교 측이 교수들을 엄청나게 압박하는 증거"라고 주장했다.

이번 교수협의회 반대 성명서 서명은 이인수 총장의 지시에 따른 것이라는 게 이들 공동대표들의 주장이다. 수원대는 총장이 절대적인 권력을 휘두르고 있기 때문에 단과대학장들이 독단으로 이런 지시를 내릴 수 없다는 것이다.

17일, 이와 관련해 수원대 교수협의회는 "학교 측이 교수들에게 개인 의사와 상관없이 서명을 강요해 인권을 침해했다"며 학교를 규탄하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수원대학교 국토미래연구소에서 열린 기자회견에는 배재흠·이상훈·이원영 3인의 공동대표가 참석했다.

이들은 성명서를 통해 "4월 15일에 수원대에서 교육의 근본을 해치는 중대한 사건이 벌어졌다"며 "학교 측은 해서는 안 될 일을 저질렀다"고 주장했다.


"학교 측 협박 작용... 중대한 인권침해"

a

수원대교수협의회 반대 성명서 ⓒ 유혜준


이들 교수들은 "(학교 측이) 성명서에 서명하지 않은 교수는 교수협의회를 찬성하는 사람으로 간주하겠다는 협박을 한 것"이라며 "교수의 존엄과 양심의 파괴를 강요하는 중대한 인권침해"라고 강조했다.


특히 이들은 "교수협의회는 법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는 임의단체에 지나지 않는다, 교수들의 중지를 모으고 그 뜻을 대외적으로 알리는 정도의 일밖에 하지 못하는데 무엇이 두려워서 불법을 저지르면서 교수협의회를 탄압하느냐"며 "이 일의 책임은 총장에게 있다"고 주장했다.

이날 성명서를 발표하면서 공동대표들은 "교수협의회를 발족한 뒤 한 달 가까이 학교 측이 공동대표들에게 협박과 미행을 했다"며 "21세기 대한민국 대학에서 있을 수 없는 불법과 인권침해가 자행돼 왔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사실과 관련, 이들 교수들은 기자회견을 통해 국가인권위원회에 "학교 측이 교수협의회를 인정하지 않고 와해시키려는 의도로 인권침해를 자행하고 있다"며 "공정한 조사를 요구하는 진정서를 제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날 기자회견을 끝낸 배재흠·이상훈·이원영 교수는 곧장 국가인권위원회로 가서 진정서를 제출했다.

수원대 "반대서명 총장 지시설은 사실무근... 원만하게 해결하자"

a

수원대교수협의회가 국가인권위에 진정서를 접수하고 있다. ⓒ 유혜준


이와 관련, 수원대 홍보과장 이문행 교수는 "교수협의회 성명서 서명을 총장이 지시했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니"라는 입장을 밝혔다. 이 교수는 "단과대학장들이 학교가 걱정이 돼서 자발적으로 나선 것"이라며 "성명서는 아니고 의견을 같이 하는 분들이 서명을 했을 뿐으로 한 때의 해프닝으로 끝난 사안"이라고 해명했다.

이 교수는 학교 측이 교수협의회 공동대표들을 감시·미행했다는 교수협의 주장에 대해 "일부 교직원들이 학교와 상관없이 (교수협의회에 대해) 민감하게 생각하고 과잉 충성을 한 것"이라며 "바로 중단됐다"고 주장했다.

이 교수는 "교수협의회가 대화를 요구하면 학교 측은 언제든지 응할 수 있다"며 교수협의회의 국가인권위 제소와 관련해 "원만하게 해결하고 싶다"는 바람을 나타냈다.

수원대 교수협의회는 지난 3월 19일 창립됐으며 배재흠·이상훈·이원영 교수가 공동대표로 활동하고 있다. 창립일 당시 교수협의회 가입 교수는 30여 명이었으나, 17일 현재 50여 명으로 늘었다는 게 교수협의회의 설명이다. 교수협은 지속적으로 가입 교수들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수원대교수협의회는 교수협에 가입한 교수들의 신분이 드러날 경우 학교로부터 불이익을 당할 것을 우려, 공동대표 3인만이 대외적인 활동을 벌이고 있다.

현재 수원대교수협의회 인터넷 카페에는 교수협을 응원하는 글이 지속적으로 올라오고 있으며, 수원대 교수들의 열악한 처우 등에 대한 문제제기도 계속되고 있다. 또한 성명서 서명과 관련, 서명을 한 교수들이 솔직한 심정을 밝히는 댓글도 이어지고 있다.

[관련기사] 수원대 26년 만에 '교수협의회' 출범
[관련기사] 수원대 학생들 뿔났다 "등록금 어디다 썼나? 종편 투자?"
#수원대교수협의회 #수원대 #인권침해 #이인수
댓글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20,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고장난 우산 버리는 방법 아시나요?
  2. 2 세계에서 벌어지는 기현상들... 서울도 예외 아니다
  3. 3 세계 정상 모인 평화회의, 그 시각 윤 대통령은 귀국길
  4. 4 삼성 유튜브에 올라온 화제의 영상... 한국은 큰일 났다
  5. 5 마을회관에 나타난 뱀, 그때 들어온 집배원이 한 의외의 대처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