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국정원, 거짓말 덮으려 또 거짓말"

"녹음기는 국정원 것, 돌려줘야 한다" 주장 반박...

등록 2013.07.06 20:20수정 2013.07.06 20:20
0
원고료로 응원
국정원 "2007년 남북정상회담 사용한 녹음기 국정원 것"vs 문재인 "거짓말"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을 두고 국가정보원과 문재인 민주당 의원이 '진실' 공방을 벌이고 있다. 국가정보원이 지난 5일 <뉴시스>와 인터뷰에서 "(정상회담에 배석한 조명균 당시 대통령 안보정책비서관이 녹음에 사용한) 디지털녹음기는 원래 우리 것"이라며 노무현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 간 회담 내용을 녹음한 녹음기가 국정원 소유라고 주장했었다.

이에 대해 문재인 의원은 6일 자신의 트위터(@moonriver365)에 올린 글에서 "정상회담을 녹음한 녹음기가 자기들 거였다는 국정원 주장은 사실이 아니"라며 "국정기록을 담당하는 청와대 기록관리비서관실이 회담 배석자에게 녹음을 부탁하며 녹음기를 제공한 것"이라고며 국정원 주장을 반박했다. 특히 문 의원은 "불법을 덮으려는 거짓말이 자꾸 다른 거짓말을 낳고 있는 것이지요"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국정원 대변인은 <뉴스시>와 인터뷰에서 "우리가 조명균 당시 대통령 안보정책비서관에게 녹음기를 주면서 녹음을 좀 해달라고 부탁을 했다"라며 "조 비서관의 도움을 받아 녹음하는 것이 훨씬 자연스럽잖느냐. 그래서 그런 방법으로 녹음을 한 것이다. 그럼 조 비서관이 그걸 당연히 돌려줘야 한다"고 말했었다.

특히 국정원은 최종본을 전달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보고용으로 만든게 아니고 우리의 기록물로 만든 것"이라며 "정보를 수집·작성·배포한다는 것이 우리 의무이기에 정보를 수집·작성한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문제는 국정원이 대통령 정상회담을 정보수집을 위해 녹음할 수 있느냐다. <뉴시스> 보도 후, 홍익표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국정원이 노무현 전 대통령을 보좌한 게 아니라 사찰한 것"이냐며 "2007년 10월 중간본은 대충 만든 거고, 2008년 1월에 제대로 만든 거라면 제대로 만든 보고서를 현직 대통령에게 드리는 게 맞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ssan******는 "'국정원 소유의 녹음기를 빌려주었다. 그래서 정상회담 대화록이 국정원 것이다'는 국정원의 주장, 그럼 국정원이 보유한 승용차에 대통령이 탑승하면 대통령도 국정원 소유물 인가요?"라고 비판했다.


@Eld****는 "이번 국정원이 밝힌 정상회담 대화록이 청와대 보고용이 아니라 자체 정보수집용이라고. 직속상관이자 국가수반조차도 정보 수집대상이라니…. 게다가 그렇다면 확인되지 않은 녹음기라는 말. 이쯤되면 국가전복을 노린 테러단체지요"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한편, 문 의원은 지난 달 27일에도 국정원이 대화록 전문이 2008년 1월 생산한 것을 두고서도 "공개된 대화록은 2008년 1월에 생산된 것으로 돼있는데, 국정원의 누군가가 인수위 또는 MB정부에 갖다주기 위해 만든 것으로 보인다"며 "그것도 문제지만 더 큰 문제는 원대화록이나 부본을 사본한 것이 아니어서 내용의 동일성이 확인되지 않는다는 것"이라고 생산일자에 의문을 제기했었다.


국정원이 대화록 공개를 넘어, 정보수집을 위해 남북정상회담을 녹취까지 했다고 스스로 고백했다. 그리고 문재인 의원은 그 녹음기는 국정원 소유가 아니라고 반박했다. 녹음기 소유가 국정원 것이라도 대통령을 정보수집 대상으로 삼았다는 것 자체가 가볍게 넘어갈 문제가 아닌 것 같다.
#국정원 #남북정상회담대화록 #녹음기 #문재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당신이 태어날 때 당신은 울었고, 세상은 기뻐했다. 당신이 죽을 때 세상은 울고 당신은 기쁘게 눈감을 수 있기를.


AD

AD

AD

인기기사

  1. 1 국가 수도 옮기고 1300명 이주... 이게 지금의 현실입니다
  2. 2 딸이 바꿔 놓은 우리 가족의 운명... 이보다 좋을 수 없다
  3. 3 '100개 눈 은둔자' 표범장지뱀, 사는 곳에서 쫓겨난다
  4. 4 '헌법 84조' 띄운 한동훈, 오판했다
  5. 5 최재영 목사 "난 외국인 맞다, 하지만 권익위 답변은 궤변"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