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 '청와대 서별관회의' 겨낭?... 역시나

민언련 오늘의 '은폐가 의심되는 무보도'(7/5)

등록 2016.07.05 16:58수정 2016.07.05 17:17
0
· 청와대 서별관회의 논란, 축소 보도한 조선  
a

민주언론시민연합 ⓒ 민주언론시민연합


홍익표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통해 '대우조선 정상화 지원방안' 문건이 공개되면서, 당시 정부가 분식회계 의혹을 이미 알고 있었으면서도 '청와대 서별관회의'를 통해 대우조선해양에 추가 자금지원을 결정했음이 드러났다.

이에 대해 가장 많은 보도를 내놓은 것은 한겨레(7건)이었으며, 가장 적은 보도를 내놓은 것은 조선일보(1건)였다. 특히 조선일보는 국회 대정부 질문 첫날 공방 사안을 다룬 <야 "법인세 인상" 파상공세...유부총리 "투자 감소 우려"> 기사 말미에 "청와대 서별관 회의에 대한 의혹 제기도 이어졌다"고 언급하는 수준에 그쳤다.

중앙일보 역시 총 보도건수는 3건이지만, 서별관회의 자체를 다룬 기사가 아닌, 고재호 전 대우조선 사장 영장 청구 보도나 국회 경제부문 대정부질문 보도, 대통령의 국무회의 발언 소개 보도 등에서 이를 언급하는 수준에 머물렀다.

동아일보는 청와대 서별관회의를 직접 겨냥한 기사와 사설을 내놨다. 그러나 정부 책임론을 묻기보다는 <사설/회의록도 안 남기는 '청와대 서별관회의' 폐지하라> 등을 통해 "서별관회의 폐지가 합리적"이라는 결론을 내고 있을 뿐이다. 한국일보는 서별관회의의 문제점을 기사를 통해 지적하면서도 <사설/국회, 대우조선 부실 신중하게 조사해야>를 통해 "정치적 과욕으로 흐르지 않도록 절제가 요구된다"고 덧붙였다.

반면 경향신문과 한겨레는 적극적으로 정부에 책임을 물었다. 경향신문은 <사설/대우조선 분식회계 알고도 지원한 정부의 책임을 묻는다>에서 "서별관회의 폐지는 물론 관련 자료를 빠짐없이 공개"해야 하며, "서별관회의 참석자들이 결정 과정에서 부당한 압력을 행사했는지도 따져 책임"을 묻고, "국회가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를 요청하면 성실하게 임해야 할 것"이라 강조했다.

한겨레는 <사설/관치경제의 최악 결정판, 청와대 서별관회의>를 통해 "국회 국정조사를 통해 진상을 낱낱이 밝혀내고 엄중히 책임을 물을 것을 거듭 촉구"하는 한편 "의혹투성이인 서별관회의에 대한 근거 있는 문제제기를 '정치적 공방'으로 깎아내"리는 것에 대해 우려를 표했다.

· 한상균 징역 5년 선고, 폭력집회 주동 강조한 조선 
a

민주언론시민연합 ⓒ 민주언론시민연합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 한상균이 징역 5년을 선고받았다. 이를 보도한 것은 경향신문과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한국일보다. 동아일보는 보도하지 않았다. 그러나 보도를 한 신문 중 조선일보는 한상균 위원장이 폭력시위 주도자임을 강조하는데 주력했으며, 중앙일보는 해당 사안을 단신으로 처리했다. 한국일보는 법원의 판단만을 소개했다. 경향신문은 법원의 판결 뒤에 민노총 측의 입장을 덧붙였다. 한겨레는 이번 판결이 집회자유를 침해하는 것이라 기사와 사설을 통해 가장 강하게 비판하고 나섰다.


· 노동계 최저임금 대폭 인상 촉구 기자회견, 조선일보만 미보도
a

민주언론시민연합 ⓒ 민주언론시민연합


내년도 최저임금 협상이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4일 노동계가 최저임금 대폭 인상을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경향신문과 동아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한국일보이 이를 보도했고, 조선일보는 보도하지 않았다.

* 모니터 대상 : 경향신문,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한국일보 (종이신문에 한함)
덧붙이는 글 민언련 활동가 배나은입니다.
#민언련 #한상균 #최저임금 #서별관회의 #조선일보
댓글

민주사회의 주권자인 시민들이 언론의 진정한 주인이라는 인식 아래 회원상호 간의 단결 및 상호협력을 통해 언론민주화와 민족의 공동체적 삶의 가치구현에 앞장서 사회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는 단체입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모임서 눈총 받던 우리 부부, 요즘엔 '인싸' 됐습니다
  2. 2 카페 문 닫는 이상순, 언론도 외면한 제주도 '연세'의 실체
  3. 3 "개도 만 원짜리 물고 다닌다"던 동네... 충격적인 현재
  4. 4 생생하게 부활한 노무현의 진면모... 이런 대통령은 없었다
  5. 5 "4월부터 압록강을 타고 흐르는 것... 장관이에요"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