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파 3사의 편향된 올림픽 중계, 씁쓸

[주장] 인기 종목 위주로 편성해 리모컨 선택권 박탈

등록 2016.08.09 11:20수정 2016.08.09 11:20
1
원고료로 응원
a

31회 브라질 올림픽 ⓒ sbs


지난 6일(한국 시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전세계 208개국, 1만903명의 선수가 모인 가운데, 세계인의 축제가 시작되었다. 개막 전, 준비되지 않은 경기장과 지카 바이러스의 위협, 거기에 '올릭픽'이라는 전세계인의 축제에 대한 자국민들의 끊이지 않는 반발 등, 과연 31회 브라질 올림픽이 무사히 열릴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우려가 컸다. 하지만 막상, 브라질의 자연 환경을 주제로 한 초록의 오륜기가 수놓은 개막식을 시작으로, 그런 우려는 수면 아래로 가라앉고 전세계인의 축제에만 세간의 이목이 집중되었다. 
우리나라라고 다를 것이 없다. 아니, 언제나 그래왔듯이, '올릭픽 특수'라는 이 한 철 장사에 지상파 방송국은 멀쩡하게 방영되던 드라마마저 올림픽을 핑계로 조기 종영시켰다. 더불어 마치 올림픽만이 유일하게 볼 만한 것인양, 브라질 현지에서 경기가 열리는 시간에 맞춰 방송 피크 타임인 밤 10시 이후 거의 프로그램을 '올림픽'으로 도배해 버린다. 전세계적 축제에 '올림픽'이 아닌 시청자의 볼 권리는 무가치해지고, 삼지선다는 커녕, ox도 아닌, '획일적 선택지'를 내놓는다.

지상파 3사를 장악한 올림픽 

덕분에 얼마 전만 해도 연일 터지는 연예인들의 가십성 스캔들로 도배되던 뉴스는, 굳이 캐캐묵은 스캔들까지 길어올릴 필요가 없어졌다. 이제 올림픽과 관련된 제반 뉴스와 거기서 파생되는, 심지어 한 연예인 부모가 올린 인스타그램 반응까지 가십화시키며 이목을 집중시킨다.

불가피하게 그런 과정에서 배제되는 것은, 말해 입만 아픈, 각종 정치, 사회적 현안들이다. 배부르게 야식까지 먹으며 밤을 세워 지켜본 올림픽 경기가 구현하는 영화 <국가 대표>는 저리가라 할 '인간 승리', 혹은, '인간 실격'의 드라마들이, 시청률 안 나오는 드라마의 조기 종영은 당연한 것으로 만들어 버린다. 당연히, 한국 사회에서 벌어지는 골치아픈 현안들도, 모자란 잠과 함께 시큰둥해 질 뿐이다. 잠시, 현실을 벚어난 한여름밤의 축제에 젖어들 시간이다.

그런데, 그렇게 밤을 새워 노는 올림픽 축제, 과연 제대로 즐기고 있는 것일까? 한국 시간으로 8월 6일부터 22일까지 벌어지는 올림픽 경기 기간 중, 39개 분야, 28개 종목의 경기가 벌어진다. 그 중에서 한국이 참가하기로 확정된 종목은 현재 24개 종목이다. 그런데, 매일 밤 지켜보는 종목들은 어떤가?

8월 8일 공중파 3사의 방송 편성표에 따르면, KBS1이 펜싱, 핸드볼, 유도, 사격, KBS2가 핸드볼, 양궁, 펜싱, 유도, MBC가 여자 핸드볼, 펜싱, 유도, SBS가 핸드볼, 양궁, 펜싱, 유도를 중계했다.

물론 올림픽 경기는 16일의 기간 동안 각 경기의 예선부터 시작해서,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것이다. 따라서 앞서 벌어지는 경기가 있고, 뒤에 벌어지는 경기가 있다. 하지만, 편성표를 보고 있노라면, 이건 분명한 전파 낭비란 결론에 이르게 된다. 메달 가능성이 높은, 유도와 같은 종목에 편중된 것은 물론, 이것을 KBS1까지 지상파 네 개의 채널들이 겹쳐서 방영하고 있는 것이다.


펜싱이나 핸드볼은 우리 선수들이 메달을 따기 전만 해도 외면받던 종목들이었지만, 이젠 우선적으로 편성 배려를 받는다. 탁구처럼  최근 부진한 종목의 예선전 경기들은 당연히 편성에서 제외된다. 그래도 하이라이트랃ㅎ 방영되면 그나마 다행이다. 조정이나, 사이클 등은 아예 눈을 씻고 찾아봐도 없다.

시청자의 선택권? 강요된 편성 

a

16강 탈락한 유도 유망주 안창림 ⓒ 안창림


지상파들이 '메달'을 딸 가능성이 있는 종목 위주로 앞다투어 편성을 하다보니, 시청자들은 여기를 돌려도, 저기를 돌려도 똑같은 종목의 중계를 봐야 한다. 리모컨 선택권조차 빼앗긴 것이다. KBS2는 광고를 내보내는 채널이니 광고의 중요성 때문에 인기 종목 위주로 편성을 했다고 쳐도, 최소한 KBS1이라도 메달 가능성이 희박한 종목을 배려해야 하는 것 아닌가.

중요한 국가적 스포츠 행사에서 매번 반복되는 일이니 새삼스럽지도 않다. 하지만 매번 그 반복되는 일에 대한 반성이 여전히 눈꼽만큼도 없는 상황에 익숙해지는 것이 사실 더 이상하지 않은가. 그렇다 보니, 축구 경기를 비롯하여 중요 경기마다 방송사들은 시청률을 올리기 위해, 차별성을 위해 유명 선수들을 해설자로 내세워 '호객 행위'를 한다.

그러나 방송사들의 편향된 중계가 올해는 그다지 빛을 발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아쉽게도 8월 9일 경기에서 남자부 73kg급 금메달 유망주였던 안창림 선수와 여자 57kg급 김잔디 선수가 16강에서 조기 탈락하며 충격을 안겼다. 남자 양궁 세계 랭킹 1위 김우진이 조기 탈락하였으며, 여자 펜싱 사브르 김지연은 16강의 문턱을 넘지 못했다. 어렵사리 출전한 박태환은 예선의 벽을 뚫지 못했다. 30회 런던 올림픽에서 종합 5위에 빛났던 한국의 위상이 흔들리고 있는 중이다.

방송사들이 올림픽의 목적에 맞게 국민들을 전 세계의 축제에 제대로 안내하려면, 지금이라도 올림픽 방송 편성 계획을 수정해야 한다. 국민들이 원하는 건 '금메달 사냥 레이스'를 관람하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더불어 국민들은 예측했던 대로 '메달 사냥'을 하지 못한 올림픽 대표 선수들에게 아쉬움과 비난을 쏟아붓기 전에, 한국사회 문제로 제기되는 경쟁 우선주의를 비판하는 기회로 삼는 것은 어떨까. 또 진정한 세계인의 축제를 즐기고 싶다면, 메달을 따지 못하는 외면받는 종목도 중계해줘야 한다. 그리고 그런 종목의 경기도 기꺼이 밤새워 지켜보는 진짜 스포츠 정신이 필요하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이정희 시민기자의 개인블로그(http://5252-jh.tistory.com)와 <미디어스>에도 함께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올림픽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이사 3년 만에 발견한 이 나무... 이게 웬 떡입니까
  2. 2 장미란, 그리 띄울 때는 언제고
  3. 3 '삼성-엔비디아 보도'에 속지 마세요... 외신은 다릅니다
  4. 4 "삼성반도체 위기 누구 책임? 이재용이 오너라면 이럴순 없다"
  5. 5 [단독] 신응석 남부지검장, '대통령 장모' 의혹 저축은행과 혼맥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