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카툰] 중국'에이스'의 기를 꺾은 '끝판왕' 신숙주

[史(사)람 이야기②] 명나라 최고문사 예겸과 우정을 나눈 세종 조 천재 성상문·신숙주, 그리고 엇갈린 운명

등록 2017.08.02 18:29수정 2017.09.25 10:29
1
원고료로 응원
a

[역사툰] 史(사)람 이야기 2화: 중국을 놀라게 한 조선 천재들 ⓒ KBReport.com(케이비리포트 역사카툰)


a

[역사툰] 史(사)람 이야기 2화: 중국을 놀라게 한 조선 천재들 ⓒ KBReport.com(케이비리포트 역사카툰)


a

[역사툰] 史(사)람 이야기 2화: 중국을 놀라게 한 조선 천재들 ⓒ KBReport.com(케이비리포트 역사카툰)


a

[역사툰] 史(사)람 이야기 2화: 중국을 놀라게 한 조선 천재들 ⓒ KBReport.com(케이비리포트 역사카툰)


a

[역사툰] 史(사)람 이야기 2화: 중국을 놀라게 한 조선 천재들 ⓒ KBReport.com(케이비리포트 역사카툰)


#국경을 초월해 우정을 나눈 조선-명나라 천재 문사들

1450년(세종 32) 한림원 시강 예겸(倪謙)은 명(明) 경태제(景泰帝)의 즉위를 알리기 위해 조선에 입국했다.


예겸이 명나라 사절단의 정사(正使)로 선발된 것은 그가 자국의 사대부들로부터 당대 최고의 '문학지사(文學之士)'로 인정 받았을뿐만 아니라, 관직이 황제의 시종신인 한림원시강(翰林院侍講)에 이르러 조명외교(朝明外交)를 잘 중재할 수 있는 인물로 기대되었기 때문이다.

예겸 이전 조선으로 입국한 명(明)사신들은 주로 조선계 중국인 환관들이었는데, 이들은 체류내내 갖은 횡포를 부리며 조선정부를 괴롭혔기 때문에, 예겸과 같이 학식과 덕망을 겸비(兼備)한 엘리트 문신의 출사 소식은 조선을 들뜨게 했고, 일류의 문학지사를 맞이하기 위해 집현전 학사(集賢殿 學士)출신인 정인지, 신숙주, 성삼문을 파견했던 것이다.

정사(正使) 예겸은 35세였고 접반사 정인지는 55세, 신숙주는 32세, 성삼문은 31세였다. 이들의 만남은 공자묘(孔子廟)를 배알하기 위해 예겸이 성균관으로 들어온 시점부터 시작한다. 이때부터 양자 사이에 기회가 있을때마다 여러차례 창수(唱酬)를 진행하게 된다.

처음엔 긴장된 분위기 속에 시문(詩文)의 경쟁이 이루어 졌지만, 차츰 시간이 지나자 서로간의 마음을 주고 받기 시작했다.

예겸은 조선 학사들의 고전(古典)에 대한 해박한 지식 그리고 겸손한 인품에 반하여 접반사 정인지를 두고는 "정상공(鄭相公)과의 하룻밤 대화는 10년 동안 책을 읽은 것보다 낫다."라고 품평할 정도로 감탄했으며 신숙주와 성삼문을 두고는 "동방의 거벽(巨擘)"이라고 극찬하기를 마지 않았다.


게다가 비슷한 연배였던 신숙주와 성삼문을 사랑하여, 형제의 의(義)를 맺기까지 했다고 성현의 '용재총화(慵載叢話)'에 언급되어 있다.

이러한 조명(朝明)간 문화외교는 명나라 입장에선 조선이 중국 못지 않은 문명국으로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고, 훗날 임진왜란이 발발했을땐 중화문명을 공유하는 '동반자'라는 시각에서 명나라의 참전 명분이 되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봉사조선창화시권》

a

<사진출처: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설명: 1 《봉사조선창화시권》제첨 2 왕숙안, 봉사조선창화시책(奉使朝鮮倡和詩冊), 《봉사조선창화시권》의 앞부분> ⓒ 국립중앙박물관


#《봉사조선창화시권》中, 예겸(오른쪽)과 신숙주(왼쪽)가 주고받은 친필 시문

a

<사진출처: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봉사조선창화시권》中, 설명: 예겸(오른쪽)과 신숙주(왼쪽)의 친필 시문> ⓒ 국립중앙박물관


예겸의 친필 시(오른쪽)

보검을 받은 은혜를 입었으니 작은 시 한편을 지어 감사하는 마음을 드리려하니
번개같이 봐주시기를 바랍니다.

옥갑(玉匣)에서 이름난 칼 꺼내니/

금고리에 채색끈 묶여 있구나/

구야(歐冶)의 손을 거쳐 만들어지고/

되강오리 기름 발랐으니 윤이 나겠지/

가을 개천에선 숫돌 갈며/

휘두를 때는 눈보라 쏟아낸다/

문방(文房)이 배(倍)나 더 무거워졌으니 /

호조(豪曺:구야가 만든 검)는 응당 셈에 넣지 않으리/

범옹(汎翁),근보(謹甫) 두 지원(知院) 현계(賢契)에게 예겸(倪謙)이 씁니다.

신숙주의 친필 시(왼쪽)

삼가 높으신 운을 이어서, 조사(詔使) 내한(內翰) 선생 문궤(文几)에 받들어 올립니다.

굳센 글 빼어나 예리한 칼 뽑은 듯하여/

가을 매가 갓끈 풀고 훨훨 나는 것만 같구나/

대인의 고상한 말씀은 옥가루 날리듯하고/

대인의 온화한 기운은 난초처럼 촉촉하네/

유림(儒林)의 우뚝 솟은 기둥이시고/

학해(學海)의 넓고 깊은 큰 물결이라네/

대롱처럼 좁은 소생의 식견 그저 보잘 것 없어서/

곁에 모시는 우리들은 정말 부끄러울뿐/

고양후학(高陽後學) 신숙주가 머리를 쪼아리며 올립니다.

*역자 주: 범옹(汎翁): 신숙주의 자(字)/*근보(謹甫): 성삼문의 자(字)/*지원(知院): 추밀(樞密)을 담당한 관리/*현계(賢契) :동년배에 대한 존칭/*조사(詔使): 황제의 조서를 받든 사신/*내한(內翰): 한림원 학사의 별칭/*문궤(文几): 책상 또는 문인에 대한 존칭

#《봉사조선창화시권》中, 예겸(오른쪽)과 성삼문(왼쪽)이 주고받은 친필 시문

a

<사진출처: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봉사조선창화시권》中, 설명: 예겸(오른쪽)과 성삼문(왼쪽)의 친필 시문> ⓒ 국립중앙박물관


예겸의 친필 시(오른쪽)

운(韻)을 써서 근보(謹甫) 지원(知院) 영계(英契)에게 답하여 드립니다.

이별의 슬픔, 눈빛으로 나타내어 두마음 다 아니/

바삐 다니며 나를 송별한 지금을 영원토록 생각하리/

방안에 들어간 지란은 아름다운 덕의 향기 피워내고/

하늘을 향한 송백은 기이한 자태를 잃지 않네/

정은 마자의 물처럼 마르지 않고/

시는 조아의 글처럼 절묘하구나/

이별 뒤의 슬픔 견디며 누가 길동무를 해주리오/

산꽃만이 길 떠나며 풀들과 헤어지누나/

*역자주: 영계(英契): 동년배에 대한 존칭

성삼문의 친필 시(왼쪽)

높으신 운(韻)을 다시 이어 봉별하옵니다.

서로 만나던 그날, 마음 알아 기뻤는데/

이별하고 나면 얼마 후에 다시 만날까요/

학령에 구름이 차고 섣달 눈이 날리건만/

압록강 푸른 파도에 봄빛만은 완연하리라/

금낭엔 어린 종이 담을 시가 부족할 뿐/

말술은 원래 번쾌도 사양치 않았다오/

천리 길에 공을 보내는 이 마음 둘 데 없으니/

한 잔 술로 남포에서 차마 이별할 뿐입니다/

창녕(昌寧) 성삼문이 절하고 드립니다.

[참고 문헌: 봉사조선창화시권, 한역: 장수찬]
덧붙이는 글 (케이비리포트 역사카툰. 글/그림: 장수찬 작가, 감수 및 편집: 김PD) 본 카툰은 카툰공작소 KBReport.com(케이비리포트)에서 제공합니다. 출판 문의 및 정치/대중문화카툰작가 지원하기 [ kbr@kbreport.com ]
#역사툰 #역사카툰 #신숙주 #성상문 #역사만화
댓글1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1,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대중문화/스포츠 컨텐츠 공작소 www.kbreport.com (케이비리포트)입니다. 필진 및 웹툰작가 지원하기[kbr@kbreport.com]

AD

AD

AD

인기기사

  1. 1 샌디에이고에 부는 'K-아줌마' 돌풍, 심상치 않네
  2. 2 경찰서에서 고3 아들에 보낸 우편물의 전말
  3. 3 '25만원 지원' 효과? 이 나라에서 이미 효과가 검증되었다
  4. 4 하이브-민희진 사태, 결국 '이게' 문제였다
  5. 5 용산에 끌려가고 이승만에게 박해받은 이순신 종손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