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진 라돈침대 갈등, 야적장에 인력 투입돼 한때 긴장 고조

대진침대 “현장 파악한 것 뿐, 일부라도 해체해야”... 반대대책위 “당진에서는 해체 불가”

등록 2018.10.01 18:05수정 2018.10.01 18:05
0
원고료로 응원
 

대진침대 측과 주민들의 만남 1일 라돈 침대의 해체 문제를 둘러싸고 대진침대 측과 당진 지역 주민들이 만남을 가졌다. 이 자리에는 당진시, 원안위, 충남도 관계자 역시 참석해 양측의 대화를 지켜봤다. ⓒ 최효진

 
대진침대 측에서 당진라돈침대의 현장해체 강행 뜻을 통보한데 이어 현장에 인력까지 투입하면서 지역에 한때 긴장감이 고조됐다.

지난 9월 30일 대진침대 측은 물리적 충돌을 감수하며 인력투입을 강행하겠다는 뜻을 대진침대 해체 반대 대책위원회(이하 반대대책위)에 전달했다. 당진주민들이 상경집회(관련기사: "당진에 쌓인 라돈침대, 원안위가 해결해라")를 벌인 지 고작 하루가 지나서였다. 

혼란에 빠진 지역 주민들은 지난달 30일 오후 긴급회의를 갖고 인력투입을 막을 것을 결정했다. 지역 시민사회단체들 역시 당진참여자치시민연대 사무실에서 대책 회의를 열었다.

결국 당진시 등의 중재로 1일 오전 10시에 대진침대 측이 자신들의 입장을 주민들에게 전달하겠다며 한발 물러섰다. 하지만 양측이 만나기로 했던 당일(1일) 아침 대진침대 측은 동부항만 야적장에 인력을 투입했다.

대진침대 측은 "투입 인력은 현장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었을 뿐이다. 즉시 철수시키겠다"라고 해명했지만, 주민들은 "회의하자고 해 놓고 인력을 넣었다는 것은 회의가 의미가 없다는 것"이라고 강하게 반발해 대화 자리가 무산되는 듯 했다.

결국 다시 한 번 당진시의 적극적인 중대로 대진침대 측은 인력 투입 대신 주민들과의 만남을 통해 자신들의 입장을 다시 한 번 호소하기로 했다. 반대대책위 역시 인력 투입이 없는 것을 확인하고 대화의 자리에 나섰다. 

이날 열린 대화의 자리에서 우선 반대대책위 박소순 공동위원장은 "아무 연고 없는 당진에 라돈 침대를 들여 놓아 선량한 시민들이 고통 받고 있다. 당진시는 해결할 능력이 없다면 주민들이 싸울 수 있도록 놔둬라"라면서 대화만을 강조하며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는 당진시를 강하게 비난하기도 했다.


대진침대 측은 이날도 역시 당진해체 입장에는 변함이 없었다. 관계자는 "현재 해체대상 매트리스는 당진에 적재된 것만 남아 있다. 당진 주민들이 한 발 양보해 주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반대대책위 역시 당진해체 반대입장을 강하게 피력했다. 위원들은 "그 동안 당진 주민들은 약속한 시간을 넘겨도 대진침대의 입장을 고려해 뜨거운 여름을 견뎌가며 100일 넘게 싸워왔다"면서 "당진에서는 단 한 장의 매트리스도 해체할 수 없다"라고 말했다. 

또한 박 위원장은 "대진본사가 전국의 라돈침대 5만 8천여 장을 처리하면서 오직 당진 적재 라돈 메트리스만을 해체하지 못하겠다는 이유를 합리적으로 설명해 달라"라고 말하기도 했다.

이번 사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정부를 비판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반대대책위원 중 한 명은 "대진침대 역시 피해자다. 이번 사태는 방사능 물질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한 원안위와 졸속 처리를 지시한 정부에 있다. 결국 라돈 침대 사태의 최종 책임은 정부에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주민들의 반발이 강하게 이어지자 대진침대 관계자는 "당진 주민들이 일부라도 양해를 해준다면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겠다"라면서 이전보다 전향적인 입장을 내비치기도 했다.

현재 전국에서 수거한 라돈 침대는 대진본사에서 전량 해체가 마무리 된 상태이고 남은 건 연고도 없는 당진에 기습 반입된 1만 7000여개의 매트리스뿐이지만, 여전히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면서 그 긴장감은 높아만 가고 있다.
 
덧붙이는 글 당진신문에도 송고한 기사입니다.
#당진라돈침대 #대진침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본인이 일하고 있는 충남 예산의 지역신문인 <무한정보>에 게재된 기사를 전국의 독자들과 함께 나누고픈 생각에서 가입합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단독] 대통령 온다고 축구장 면적 절반 시멘트 포장, 1시간 쓰고 철거
  2. 2 플라스틱 24만개가 '둥둥'... 생수병의 위험성, 왜 이제 밝혀졌나
  3. 3 '교통혁명'이라던 GTX의 처참한 성적표, 그 이유는
  4. 4 20년만에 포옹한 부하 해병 "박정훈 대령, 부당한 지시 없던 상관"
  5. 5 남자의 3분의1이 이 바이러스에 감염돼 있다고?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