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이주노동자들이 코로나 시기 친구를 만나거나 외출할 자유를 제한 받고 있다.
framewalk
"코로나 기간 외국인노동자는 거의 외출할 수가 없습니다. 근데 사장님은 한국인 동료가 나가면 아무 말도 없습니다. 외국인이 바이러스가 아닙니다. 공장에서, 기숙사에서 못 나오게 하니까 더 안 좋게 되고 바이러스에 더 약해집니다. 그리고 바이러스 취급해서 외국인노동자'만' 검사받으라고 하는 것은 차별이라고 생각합니다. 공장 일도 힘들고 기숙사에 사람도 많고 소독도 잘 안 하고 코로나 교육도 별로 없는 것부터 바꿔야 합니다.
한국에서 오랫동안 힘들게 일하면서 한국 문화와 사회에도 익숙해지고 말도 잘하게 되었는데, 여기서 더 꿈을 꿀 수는 없는 것입니까? 이런 차별 사례는 얼마든지 더 이야기할 수 있을 만큼 많습니다. 우리는 기계가 아닌 인간으로 살고 싶습니다. 자유와 권리를 원합니다." - 방글라데시에서 온 이주노동자 라셰드
사업장 방역 안 하고 잠재적 전파자 취급
코로나 사태의 발발로 이주노동자, 이주민들은 기존에 겪어 왔던 제도적, 구조적, 일상적 인종차별이 더욱 노골화되는 상황을 맞이했습니다. 코로나 초기에 중국 우한발 바이러스라는 이유로 중국 동포를 비롯한 중국 출신자에 대한 광범위한 혐오, 반대 정서가 퍼졌고 거주 지역을 부정적으로 묘사하고 잠재적 전파자 취급하는 보도들이 있었습니다. 상점, 식당 등에 '외국인(중국인) 출입금지' 안내가 붙기도 했고, 일부 단체는 중국인 입국금지 시위를 벌이기도 했습니다. 이는 중국 출신자에 대한 혐오를 넘어 이주민 전반에 대한 혐오로 확산되었습니다. 그리고 이번에 전수검사 행정명령에서 또다시 드러났습니다.
사업장에서는 이주노동자를 잠재적 전파자로 취급하는 사례가 많았습니다. 특히 사업장 바깥으로 아예 나가지 못하게 하는 경우가 많아서 몇 개월씩 밖으로 못 나오는 노동자들도 있었습니다. 2020년 6월, 어떤 사업장에서는 힘든 노동으로 인해 병이 생긴 노동자가 사업장 변경을 요청하자, 사업주가 코로나에 걸린 것으로 몰아 창고에 가두고는 근무서약서를 쓰지 않으면 못 나오게 했던 사례도 있었습니다.
만약에 사업주 지시와 다르게 사업장 밖으로 나가면, 다시 오지 말라고 하거나 코로나 진단검사 하고 오라고 위협하는 사례들도 있었습니다. 이주노동자들은 코로나 시기에 친구를 만나거나 외출할 자유를 잃었습니다. 중요한 일이 있어도 나가지 못하고 모든 것을 포기해야 했습니다. 최근엔 부산에 위치한 한 업체에서 일하는 이주노동자 11명이 밖에 못 나간 사례도 있었습니다.
기숙사는 아주 열악하고 환기도 제대로 안 되는 곳이 많습니다. 한 방에 3~4명 이상 살게 하는 곳도 있습니다. 일하는 현장에서 사회적 거리두기를 지킬 수 없는 상황입니다. 사업주들은 이것을 개선할 생각은 하지 않고 이주노동자만 못 나가게 하면 된다고 생각했습니다. 이주노동자는 사회에서 고립되고 있었습니다. 코로나 감염이 될 수 있는 노동 현장에서 일하고 열악한 숙소에 살았는데 이것을 개선해야 된다는 생각을 정부나 사업주 누구도 하지 않았습니다.
한글로 된 코로나 정보는 읽기 어려워
2020년 3월부터 판매된 공적 마스크에서 이주민 절반이 배제되었습니다. 중복 구매를 막는다는 이유로 정부는 약국에서 건강보험시스템을 통해서 구매자 확인을 했고, 이에 따라 건강보험에 가입되지 않은 이주민들은 공적 마스크를 살 수가 없었습니다. 이는 초기 코로나 대응에 있어 치명적인 배제조치였습니다. 당시 이주민 250만 명 가운데 절반이 제외되었습니다.
더욱이 이주노동자들은 건강보험에 가입되어 있더라도 일터에서 장시간 노동을 해야 하고 출생연도에 따라 요일별로 다르게 구매하러 가는 것에 대한 정보도 잘 알 수가 없어 구매 자체가 어려웠습니다. 면마스크를 빨아서 쓰거나 일터에서 쓰는 작업용 마스크를 계속 쓰는 사례도 많았습니다. 이주노동자들은 아무 방역 도구들이 없어서 불안하게 하루하루를 보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2020년 7월 공적 마스크 판매가 종료될 때까지 지속되었습니다. 내국인 노동자에게는 마스크를 지급하면서 이주노동자에게는 지급하지 않거나 적게 지급하는 사례가 종종 있었습니다.
코로나 관련된 정보가 매일 쏟아져 나오는데 핵심적으로 중요한 정보들이 제때 적절하게 통·번역되어 이주민들에게 제공되지 못했습니다. 그리고 가짜뉴스들이 횡행하면서 이주민들은 자국민 소셜미디어 등에서 걸러지지 않은 정보를 접하면서 오히려 공포가 가중되기도 했습니다. 중앙정부에서 1577-1366 다누리콜센터, 법무부 1345 콜센터, 질병관리청 1339 콜센터 등을 통해 상담을 제공하는데, 이는 전화를 걸어야만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일상적으로 확진자 발생 현황, 근처 보건소 위치, 증상 발현 시 행동요령, 선별진료소 및 생활치료센터 관련 정보, 검사 및 치료비 정보, 일터와 삶터에서 방역수칙, 지역별로 방역단계별 조치사항 등 핵심정보를 이주민들에게 친화적인 매체, 언어로 제공하지 않았습니다. 통·번역 시스템을 지자체별로 제대로 갖추는 것은 코로나 대유행 상황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방역 대책에 이주민이 참여하고 검사, 치료 등을 제대로 받기 위해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것입니다.
재난지원금은 결혼이주민·영주권자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