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시도자, 치료·상담 서비스 받고 위험도 60% 줄었다

보건복지부, 사후관리사업 결과 발표... 전제 자살자 중 여성이 남성보다 2배 많아?

등록 2023.08.31 14:39수정 2023.08.31 14:39
0
원고료로 응원
a

2022년도 자살시도자 성별 현황 및 연령대별 추이 ⓒ 보건복지부

 
자살을 시도했던 사람이 적절한 치료와 상담 등을 받을 경우 자살 위험도가 약 60%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 아래 복지부)와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이사장 황태연)은 31일 '2022년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에 따라 지난해 총 80개 병원에 내원한 자살시도자 2만6538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31일 밝혔다. 

특히 자살시도자를 대상으로 사례관리 서비스를 완료한 1만1321명의 서비스 효과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 자살위험도가 높은 사람의 비율이 약 60% 감소(15.6%→6.5%)했다. 이는 우울감(18.8%p↓), 불안/초조(10.0%p↓), 자살사고(11.4%p↓), 충동성(12.0%p↓) 등의 자살위험요인이 감소한 것이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이란 분석이다. 

'자살시도자 사례관리(case management)'란 자살위험을 포함한 정신건강상태를 평가해 자살시도자가 지닌 복합적인 문제에 대응하여 상담, 치료비 지원, 지역사회 연계 등 개인별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복지부는 "자살시도자의 자살위험은 일반인 대비 약 25배 이상으로 '자살 재시도 예방'을 위한 각별한 관리가 필요하다"면서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은 응급실 내원 자살시도자에게 적절한 치료와 상담을 제공하고 지역 사회와 연계하여 자살 재시도 예방을 목적으로 한다"고 설명했다. 2013년도 자살실태조사에 따르면, 자살시도자의 자살사망률은 일반인의 자살사망률 대비 약 25배에 달했다. 
 
a

연도별 내원 자살시도자 연령대 추이 ⓒ 보건복지부

 
또한, 지난해 이번 사업을 수행한 병원에 내원한 자살시도자 2만6538명 중에 여성이 1만7294명 65.2%, 남성이 9244명 34.8%로 여성 자살시도자가 남성보다 약 2배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연령대별로는 20대가 27.9%(7400명), 10대 16.5%(4368명), 30대 13.6%(3607명) 순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전년 대비 대부분의 연령대에서 자살시도자 수는 증가했으나, 20대 비율은 소폭 감소(29.7% → 27.9%)했고, 10대가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14.7% → 16.5%)한 것으로 조사됐다. 

내원한 자살시도자의 10명 중 9명은 충동적으로 자살을 시도했으며, 성·연령대별로 충동성에 큰 차이가 없었다. 자살시도 동기는 ▲정신적 문제가 38.1%로 가장 높았고, ▲대인관계 18.9% ▲말다툼 등 10.3% ▲경제적 문제 6.6% 순으로 나타났다. 자살시도 방법은 ▲약물음독 56.0% ▲둔기/예기 20.1% ▲농약음독 6.0% ▲가스중독 5.3% 순으로 높았다. 한편 자살 시도를 암시하거나 주변에 도움을 요청한 자살시도자는 절반 이상인 56.0%였다. 


사례관리 서비스를 완료한 자살시도자 수는 10년 전에 비해 약 33배(341명⟶ 1만1321명, 총 5만3094명) 늘었다. 같은 기간 지역사회로 연계되어 지속적으로 관리받는 자살시도자 또한 32배 이상(135명⟶ 4341명, 총 2만1070명) 증가했다.

2013년부터 2022년까지 10년 동안 사업을 수행한 결과, 수행병원은 초기(25개소)에 비해 3배인 80개소 이상, 내원자 수는 15배 이상 증가(1721명⟶ 2만6538명)했다. 사례관리 서비스를 완료한 자살시도자 수는 33배 증가(341명⟶ 1만1321명)했으며, 지역사회로 연계되어 지속적으로 관리받는 자살시도자 또한 32배 이상(135명⟶ 4,341명) 증가했다. 

곽숙영 보건복지부 정신건강정책관은 "이번 결과를 통해 응급실에서의 적극적인 초기 개입과 서비스 제공이 자살위험 감소에 효과적임을 확인했다"면서 "10년간의 사업 성과를 토대로 응급실에서 적절한 치료와 상담을 바탕으로 생명안전망 역할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보건복지부 #자살시도자 #사례관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용산 대통령실 마감하고, 서울을 떠나 세종에 둥지를 틀었습니다. 진실 너머 저편으로...

AD

AD

AD

인기기사

  1. 1 이사 3년 만에 발견한 이 나무... 이게 웬 떡입니까
  2. 2 '내'가 먹는 음식이 '우리'를 죽이는 기막힌 현실
  3. 3 도시락 가게 사장인데요, 스스로 이건 칭찬합니다
  4. 4 장미란, 그리 띄울 때는 언제고
  5. 5 "삼성반도체 위기 누구 책임? 이재용이 오너라면 이럴순 없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