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 한나라당은 19일 백범기념관에서 이명박, 박근혜 후보에 대한 대선 예비후보 검증청문회를 열어 그간 제기돼온 각종 의혹을 검증했다. 이명박 후보가 19일 한나라당 후보검증 청문회에서 위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 인터넷사진공동취재단
이명박 캠프의 움직임이 예사롭지 않다. 후보 검증 청문회가 끝나자마자 캠프 안팎에서 여러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것들이다.

▲이명박 캠프가 4회 열 예정이던 TV 합동토론회를 1회로 줄이자며 8월로 예정된 3회의 토론회 불참 입장을 당에 통보했다 ▲이명박 캠프가 이르면 오늘(20일), 늦어도 금주 내로 김재정씨의 고소 취소 방침을 결정할 예정이다 ▲검찰 수사가 시작되기 사흘 전인 지난 12일 일본으로 돌연 출국한 이명박 후보의 맏형 상은씨가 귀국해 검찰 조사를 받는 걸 거부하고 있다

맥이 잡힌다. 검증 봉쇄다.

계기가 있다. 검증 청문회가 끝났다. 검증위원회는 오늘 검증 경과보고서를 당에 제출한다. 이로써 당 차원의 검증절차는 사실상 끝나게 된다. 이명박 후보로선 당의 '검증 명령'에 복무해야 할 의무기간이 끝나는 셈이다.

남은 절차가 있긴 하다. TV 합동토론회다. 하지만 이명박 캠프는 토론회의 성격을 달리 보고 있다. 합동토론회는 1회로 끝내고 이명박-박근혜 후보가 특정 주제만 다루는 맞장토론을 열자고 요구하고 있다.

검증 봉쇄 나선 이명박 캠프

'스몰 3'가 이 주장을 수용할지 의문이지만 이것 말고도 다른 문제가 있다. '특정 주제'가 관건인데 검증은 아닌 것 같다. 당 경선관리위의 이명박 후보 대리인인 권택기 기획단장이 말한 게 있다. 경선 투표일에 임박해 열리는 토론회에서 "음해성이나 폭로가 터져나올 경우 경선이 혼란에 빠진다"고 했다. 이명박 후보가 청문회에서 한 말도 있다. 이제 네거티브에서 포지티브로 나가야 한다고 했다.

이렇게 되면 검증 통로가 좁아진다. 검찰 수사로 모아진다. 그런데 이마저도 여의치 않게 된다. 김재정씨가 고소를 취하하고, 이상은씨가 조사를 거부하면 검찰 수사는 난관에 봉착한다. 검찰 수사는 두 트랙, 즉 재산 의혹과 개인정보 유출 의혹 중 후자에 집중된다. 이명박 캠프로선 나쁠 게 없다. 피해자로 묘사된다.

'우연'이든 '기획'이든 이명박 캠프 안팎에서 나타나는 움직임이 주효하면 검증은 사실상 봉쇄된다. 후보에 대한 국민의 알권리 또한 제한된다.

그렇다고 알권리를 국민 스스로 접을 일은 아니다. 천라지망에도 빈 구멍은 있기 마련이다. 언론이 남아있다.

<한겨레>가 주장했다. "본격 검증은 이제부터"라고 했다. "청문회는… 앞으로 두 후보에게 무엇을 더 따져야 할지를 보여준 좋은 기회였다"고 했다.

<한겨레>가 선언했다면 <경향신문>은 실천했다. "더 따져야 할" 게 무엇인지를 직접 보여줬다. 서울 서초동 땅은 현대건설이 매입해 관리해준 것이라는 이명박 후보의 주장에 의혹을 제기했다. 현대건설 퇴직 사원들의 모임인 '현대건우회' 우한영 사무총장의 말을 빌려 "회사에서 땅을 사준 적이 없다"고 했다. 우한영 사무총장은 1977년, 그러니까 서초동 땅이 집중 매입되던 해에 현대건설 인사부 급여담당 차장을 지낸 인물이다.

거듭 확인할 게 있다. 검증 주체는 당도, 상대 후보도, 검찰도 아니다. 국민이다. 당과 상대 후보와 검찰은 단지 국민에게 검증의 단서와 자료를 제공할 뿐이다.

국민이 "더 따져야 할" 게 무엇인지를 청문회를 통해 확인했다면 시시비비는 지속된다. 당이 물러서고 검찰이 위축되면 시시비비의 재료가 달리긴 하겠지만 "본격 검증은 이제부터"라고 다짐하는 언론이 있는 한 끊어지지는 않는다.

물론 모든 언론이 아니라 일부 언론만 팔 걷어붙였다는 한계, 그래서 검증 논에 대는 물이 저수지 물이 아니라 양수기 물이라는 한계는 있지만….

태그:#국민검증청문회, #박근혜, #이명박, #합동토론회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