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문제에 관심이 많습니다.

내가 작성한 댓글

* 소셜댓글 도입(2013.07.29) 이후 오마이뉴스 아이디로 로그인해서 남긴 소셜 댓글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다른 소셜 계정을 이용해 남긴 댓글은 라이브리 사이트의 마이 페이지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1. 2013년, 2015년 사업시행인가 과정에서 관할 자치구와 서울시 각 부처의 검토를 받아 ‘역사유산 흔적남기기’ 반영을 조건부로 하여 통과. 서울시는 편의시설 구축, 역사문화 콘텐츠 개발, 시설 운영에 적극 협조하겠다는 입장을 표했으며 2019년에는 설명자료를 통해 보존동을 기부채납분으로 인정하고, 단순히 옛 건물을 남기는 것이 아닌 주민편의시설, 생활사박물관 등으로 새활용(업사이클링, up-cycling)하는 방안이 최종 결정되었다고 밝힌 바 있음. ‘역사유산 흔적남기기’ 방침은 2012년 「근현대 유산의 미래유산화 기본구상」 이후 2013년 서울시 가이드라인 제정, 2014년 서울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 조례 제8조 개정, 2015년 「2025 서울시 도시‧주거환경정비 기본계획」 실무매뉴얼, 2016년 전수조사와 DB구축, 2017년 가이드라인 보완, 2018년 서울시 흔적남기기 소위원회 구성 등 과정을 통해 제도화됨. 주된 내용은 정비사업 추진 시 역사문화유산 보존 활용계획 수립, 흔적남기기 시설 기부채납 인정, 개발용적률 인센티브 5% 부여와 용적률 산입 제외 등. ‘역사유산 흔적남기기’ 방침은 이미 대전광역시와 전주시가 시행 및 추진 중이며, 최근 광주광역시에서 임동 전남방직‧일신방직 부지개발 TF팀을 통해 1930년대 건축물 보존을 원칙으로 세우는 등, 도시의 역사‧문화 가치 보존, 지역활성화를 목적으로 하는 도시계획상의 조치로 점차 확산‧보편화되고 있음. 아파트 지을거라고 그 사람들 멋대로 다 할수 있는게 아님. 잘 알지도 못하면서 '흉물 남기기'라고 무식한 소리하지 말고, 조합에서 바라는대로 보존동 부수면 인센티브 준건 어떻게 해야할지 얘기해야함.
  2. ㅋㅋㅋㅋㅋㅋ 박물관에 있는 공룡뼈처럼 보존하는게 아닌건 재건축조합 측이 가장 잘 알지 않나? 이런 댓글 단 당신 정체가 더 의심스러워 ㅋㅋㅋㅋㅋ
  3. 기부채납이 뭔지 모르나? 기부채납해서 시민공간으로 지을건데 왜 재건축조합 맘에 안든다고 부수게 해달라고 하는거지? 시행인가 받을때 인센티브 받은건 그럼 토해낼건가? 말이 되는 소리를 해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