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덜란드 노동재단은 정부청사들이 모여 있는 헤이그 버자우던하우트서베흐 거리 60번가에 자리하고 있다.
조명신
2차 세계대전은 다른 유럽 국가들에서처럼 네덜란드에도 깊은 영향을 미쳤다. '사회협약모델'의 두 축으로 평가받고 있는 노동재단(1945년)과 사회경제위원회(1950년)가 생겨난 것이다.
이후 네덜란드에서는 중요한 사회경제정책을 '노사'(혹은 노사정) 협의를 거쳐 결정하는 '사회협약 문화'가 만들어졌다. 1982년 체결된 바세나르 협약이 이러한 역사의 대표적 사례다.
'노사협의기구'인 노동재단은 2차 세계대전 직후인 1945년 5월 출범했다. 전후 네덜란드를 재건하기 위해서는 '협조적 노사관계가 필수적'이라는 노사의 공통된 판단 때문이었다.
노사가 공동으로 출자해 협의기구를 만든 데에도 그러한 공통의 인식이 깔려 있었다.
2차 세계대전 이후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대립하는 노사가 함께 이러한 기구를 만든 것은 네덜란드가 유일했다. 그만큼 '혁명적인 아이디어'였다.
노동재단은 이사회와 의제위원회(agenda committee), 실무위원회(working group) 등의 조직을 두고 있다. 이사회는 총 20명으로 구성된다. 노사를 대표하는 회장 2인을 중심으로 사측에서는 네덜란드경영자연합(4명)과 중소기업연합(2명), 농업·원예연합(2명)이, 노측에서는 네덜란드 노총(4명)과 기독노총(2명), 중간사무직노련(2명)이 이사회에 참여하고 있다.
네덜란드 노사는 노동재단에서 수시로 만나 대화하고 사회경제 현안을 논의한다. 의제위원회는 1년에 10여 차례, 실무위원회는 한 달에 3∼4차례 만난다. 이들은 ▲임금 ▲고용 ▲노사관계 ▲교육훈련 ▲파트타임 노동자의 지위 등을 논의하고, 특히 노사협상자들에게 줄 '권고안'을 만든다.
주OECD 한국대표부는 '네덜란드 폴더모델과 노동사회개혁 추진의 시사점'이라는 보고서(2006년 3월)에서 "사회경제위원회가 더 구조적이고 장기적인 사회경제정책에 관여하고 정부와 의회에 자문하는 기구라면 노동재단은 임금 및 고용이슈에 관한 1차적 자문기관"이라고 평가했다.